최하위 가구와 최상위 가구 소득의 7분의 1

새 이민자일수록 최하위 계층 비율이 높아

 

높아지는 물가에 캐나다 전체 인구 중 절반 가량이 하루 하루 살아가는 것에 대해 걱정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이 8일 발표한 조사자료에 따르면 44%의 국민이 일일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지에 대해 크게 걱정하고 있었다.

 

특히 가장 낮은 저소득층은 높아진 식품비, 주거비, 그리고 다른 생활비 등에 대한 걱정이 최고조에 달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소득 계층을 5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저소득층의 63%가 매우 걱정이라고 입장이다. 반면에 최상위소득층은 19%만이 걱정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 

 

각 소득층의 의식주 지출 비율을 보면 우선 최하위 20% 가구는 주거에 31.6%, 식품비에 15.1%, 그리고 의류에 4.4%를 지출해 필수 의식주 비율이 51.2%였다.

 

반면 최상위 20%는 주거비에 25.6%, 식품비에 11.6%, 그리고 의류에 4.5%로 의식주 지출이 전체 지출의 41.7%였다.

 

이번 조사에서 이민 여부와 최하위층 비율 관련 분석에서 2016년에서 2020년 사이에 이민을 온 경우 24%로 더 오래된 이민자의 14%나 캐나다 출생자의 13%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열악했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12.7%로 알버타주의 9%에 이어 가장 최저소득층을 보이는 주가 됐다.

 

휘발유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를 견인하고 있는데 최하위층은 이에 대한 걱정이 73.3%로 나타났으며, 최상위층도 47%로 다른 어떤 것보다 근심을 주고 있었다.

 

지난 6개월간 가계 지출 항목 중 물가 상승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항목은 식품비였는데 이는 저소득층이나 고소득층이나 모두크게 걱정을 주었다.

 

2019년 기준으로 세후 중간 소득에 있어, 최하위층은 2만 1000달러로 최상위층 14만 6000달러에 비해 겨우 7분의 1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높아지는 물가에 최저소득층의 부담은 커지고 또 상대적으로 필수적인 지출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17 캐나다 조직 폭력 책 집필 인도계 작가, "갱 부모에게도 총격 책임 물어야"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6 캐나다 올해 불꽃축제 일정 발표, 캐나다 팀은 참여 안해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5 캐나다 버나비, 8세 아동 납치 사건 - 경찰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4 캐나다 밴쿠버 교육청 vs BC 교육부 갈등 완화, 그러나 갈 길 멀어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3 캐나다 골프장 발생 대형 화재, 출근길 대 혼란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2 캐나다 에버그린라인, 포트 무디 역 부분 개방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1 캐나다 사니치, 홈디포에서 방화 추정 대형 화재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4.14.
8710 캐나다 포코, 코퀴틀람에 이어 수제 맥주 도입에 박차 밴쿠버중앙일.. 16.04.14.
8709 캐나다 버나비 MP, 연방 하원의회에 첫 온라인 청원 통한 안건 발의 밴쿠버중앙일.. 16.04.14.
8708 캐나다 써리 RCMP, 처벌 없이 총기 회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동 중 밴쿠버중앙일.. 16.04.14.
8707 캐나다 공산주의 희생 기념비 건립, 펀드레이징 행사 열린다 밴쿠버중앙일.. 16.04.14.
8706 미국 유일호 부총리, 뉴욕서 한국경제 설명회 개최 file 뉴스로_USA 16.04.14.
8705 미국 슁글-대상포진 40대 이후 주로 발생 코리아위클리.. 16.04.14.
8704 미국 대학 결정엔 재정보조가 큰 부분 차지 file 코리아위클리.. 16.04.14.
8703 미국 해수 상승으로 금세기말 미 해안가 1300만명 피해 코리아위클리.. 16.04.14.
8702 미국 50년 만에 미국-쿠바간 크루즈선 달린다 코리아위클리.. 16.04.14.
8701 캐나다 트라이시티, 주택 소유주 13% 공과금 미납 밴쿠버중앙일.. 16.04.15.
8700 캐나다 밴쿠버 학교 밴드부, 예산 축소에 맞서 연주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4.15.
8699 캐나다 중국과 연결된 온라인 부동산 리스팅 업체 조사중 밴쿠버중앙일.. 16.04.15.
8698 캐나다 밴쿠버의 노년 부부, 장물거래 혐의로 체포 밴쿠버중앙일.. 16.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