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닉스, 휴스턴 지역 5만여명 늘어... LA, 시카고 등은 감소
 
census.jpg
▲ 미국 인구조사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인구 이동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일부 대도시에서 인구가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웹사이트 화면 켑처.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 인구조사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인구 이동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일부 대도시에서 인구가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초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의 인구가 큰 폭으로 줄었던 점에 비추어 이번 보고서는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20년 7월부터 2021년 7월까지 1년 동안 미국에서 가장 큰 15개 도시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인구가 줄었다. 미국의 최대 도시인 뉴욕의 경우 이 기간 시 인구의 3.5%(30만 명) 이상이 줄었다.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로스앤젤레스(LA)도 시 인구의 약 1%인 4만 명이 줄었고, 3위 도시인 시카고는 시 인구의 1.6%에 해당하는 4만5천 명 이상이 줄었다.

그런데 지난해 일부 대도시에서 다시 인구가 늘어났다.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애리조나주의 마리코파카운티였다. 이 지역은 애리조나주에서 가장 큰 도시인 피닉스가 포함된 지역으로, 지난해 인구는 약 5만7천 명이 늘었다. 미국 내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가 많았고, 이에 더해서 출생은 늘고 사망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텍사스주 해리스카운티 역시 인구가 늘어난 지역이다. 이 지역은 주의 대표적 도시인 휴스턴이 있는 지역으로 4만5천 명 이상의 인구가 늘었는데, 특히 해외 이주민 유입이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 2021년 큰 폭의 인구 감소를 경험한 뉴욕카운티 역시 인구가 늘었다. 이 지역은 맨해튼을 포함한 곳으로, 1만7천 명 이상의 인구가 늘었다.

반면에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한 곳도 있다. 캘리포니아주의 로스앤젤레스카운티의 인구는 9만 명 이상이나 줄었다. 이 외에도 시카고가 포함된 일리노이주의 쿡카운티 역시 6만 8천 명의 인구가 줄었다.

교육 기관과 인구 이동의 상관관계가 드러나 보이는 곳도 있다.

인구조사국의 크리스틴 하틀리 박사는 큰 대학교가 소재한 지역에서 인구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완화하면서 학생들이 다시 캠퍼스로 복귀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대표적으로 워싱턴주립대학교가 있는 워싱턴주의 휘트먼카운티는 지난 2020년에서 2021년 사이 인구가 9.6% 줄었으나 지난해 다시 10% 이상 늘었다.

인구 이동과 관련해 Z세대 인구의 이동도 주목할 만한 특징을 보였다.

Z 세대는 20세기 마지막에 태어난 세대로, 통상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말한다. Z세대 인구 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미국 수도인 워싱턴 D.C.로 약 1만3천 명 늘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최대 도시 컬럼비아, 매사추세츠주 최대 도시 보스턴 등에서도 Z세대 인구가 1만 명 이상 늘었다.
  • |
  1. census.jpg (File Size:126.4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7 캐나다 앨버타 정치인들, 연방 예산에 흐뭇해하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6 캐나다 밴프 및 재스퍼 일대, 봄철 야생 진드기 경보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5 캐나다 캘거리 한 편의점, 영문 모를 헤로인 소포 배달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4 캐나다 캘거리, 절도 침입 사건 50% 이상 폭증 추세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3 캐나다 캘거리, ‘국제 인종차별 철페의 날’ 맞아 각종 단편 영화 상영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2 캐나다 넨시 시장, 연방 예산 발표에 앞서 장기적 교통 재원 희망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1 캐나다 넨시 시장, 'SW BRT' 반대 단체의 청원에 대한 진위 여부 의심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30 캐나다 '앨버타 푸드 뱅크', 수요 증가속에 ‘CIBC 은행’ 역대 최대 기부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9 캐나다 앨버타 주정부, 저소득 가정 위한 새 ‘차일드 베네핏’ 발표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8 캐나다 연방 정부, 밴프 국립 공원에 3천9백만 달러 투자 발표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7 캐나다 에드먼턴 카톨릭계 학교들, 기본 수업료 면제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6 캐나다 에드먼턴 시의회, ‘블래치포드’ 지역 에너지 시스템 개발 연기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5 캐나다 에드먼턴으로 복귀하기 위한 ‘우버(Uber)’의 노력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4 캐나다 에드먼턴 외곽 주거 단지 확대, 14억 달러 세수 부족 야기할 것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3 캐나다 ‘밸리 라인 LRT’ 절감 예산, 교통부문에 재투자해야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2 캐나다 에드먼턴 운송 노조, 버스 기사 폭행에 대한 조치 요구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1 캐나다 에드먼턴, 대규모 인프라 건설에 연방 예산 투입 예정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20 캐나다 도서관에서 ‘아동 포르노’ 보다 체포된 42세 남성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19 캐나다 맥도날드’, ‘홈 디포’… 앨버타에서 3천 명 신규 채용중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718 미국 테마공원 시월드, 범고래로 웃고 울었다 코리아위클리.. 16.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