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Vivid 1).jpg

겨울시즌, 시드니 최대 이벤트 중 하나인 'Vivid Sydney'가 이달 26일부터 6월 17일까지 예정된 가운데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이 축제를 여는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s Sydney)은 이 조명 쇼를 즐기려는 관람객에게 야간 입장료를 받기로 해 반발이 일고 있다. 사진 : vividsydney.com

 

5월 26일~6월 17일... Royal Botanic Garden에서는 7월 중순까지 Lightscape 지속

 

매년 5월 말 시작되는 빛의 축제 ‘비비드’(Vivid Sydney. 5월 26일부터 6월 17일)는 겨울 시즌, 시드니의 최대 이벤트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약 3주 동안 이어지는 이 축제 기간의 밤이면, 오페라하우스(Sydney Opera House)를 비롯해 시드니 도심 80여 개의 랜드마크 빌딩 및 유명 공원길이 화려한 빛으로 장식된다.

Vivid Sydney는 시드니 도심 일대의 상징적 건축물에 야외 조명을 설치하고 야간에 빛을 쏘아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호주 최대의 조명 축제이다. 비단 건축물뿐 아니라 야외 공원 등에 조명을 이용해 다양한 빛깔과 형상을 연출해냄으로써 호주는 물론 전 세계 여행자를 불러들이고 있다. Vivid Sydney 행사위원회(www.vividsydney.com)에 따르면 지난 팬데믹 사태 직전인 2019년, 비비드 이벤트 관람객은 200만 명을 넘어섰다.

전염병 대유행으로 2년간(2020몇 및 2021년) 열리지 못했던 이 행사는 지난해 규모를 축소해 다시 열렸으며, 올해에는 2019년 이전처럼 시드니 전역 주요 장소에서 화려한 빛을 만들어낼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Vivid Sydney가 펼쳐지는 시드니 도심 일대 가운데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찾았던 시드니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Sydney)이 올해부터는 Vivid Sydney가 열리는 야간 시간, ‘유료 입장’ 방침을 결정, 많은 반발을 사고 있다.

보타닉 가든은 무성한 나무와 숲길이 조성되어 가장 화려한 빛을 만들어냄으로써 비비드 기간에는 가장 사랑받는 장소로 자리잡아 왔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4인 가족(성인 2명, 자녀 2명)이 이곳에서 비비드를 즐기려면 128달러를 지출해야 한다.

 

종합(Vivid 2).jpg

로얄 보타닉 가든에서 펼쳐진 조명 쇼 'Lightscape’의 한 장면(사진). 보타닉 가든은 올해부터 조명 쇼 관람을 유료화하고 이 이벤트를 7월 중순까지 연장,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사진 : The Royal Botanic Garden Sydney

   

이 기간 중 보타닉 가든은 오후 5시30분부터 ‘Lightscape’ 티켓을 가진 이들에게만 입장을 허용한다. 입장권은 성인 40달러, 어린이 28달러이며 성인 2명에 2명의 자녀가 한꺼번에 티켓을 구입하면 128달러이다. 만 2세까지는 무료이지만 13세 이상은 성인 요금을 내야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보타닉 가든에서 펼쳐지는 Vivid Sydney는 올해 다시 시작되는 것으로, 지난 2019년까지는 무료 입장이었다.

NSW 주 정부 및 보타닉 가든 측의 ‘유료 입장’ 결정은 그러나 각계 인사들로부터 상당한 비난을 받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가계 재정이 압박을 받는 가운데서 이전에 무료였던 보타닉 가든의 비비드 이벤트가 유료로 전환한 것에 대해 SNS를 통해 큰 실망감을 표했다.

 

종합(Vivid 3).png

시드니의 한 해변에서 펼쳐지는 Vivid Sydney 프로그램 중 하나(사진). 보타닉 가든 측이 이 쇼 관람을 유료화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시드니 시의 클로버 무어(Clover Moore) 시장을 비롯해 시드니 시티 지역구 알렉스 그린위치(Alex Greenwich. 무소속) 주 의원 등은 SNS를 통해 이를 강하게 비난했다. 사진 : vividsydney.com

   

시드니 시(City of Sydney)의 클로버 무어(Clover Moore) 시장은 “Vivid 축제위원회를 비롯해 Place Management NSW 및 Royal Botanic Garden은 공동체 이벤트를 이용해 이익을 보려는 이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어 시장은 “시드니 거주민을 위한 공동체 엔터테인먼트를 수익화하려는 결정은, 어떤 이들에게는 시드니 도심을 방문하게 하고 또 다른 어떤 이들에게는 그렇지 못하게 가로막는, 계급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는 New Year’s Eve 행사(불꽃놀이)에서 NSW 주 정부가 도심 해안을 따라 유리한 지점 입장을 유료화하여 수익을 만들어낸 것과 유사한 상황”이라고 비난했다.

시드니 시티 기반의 알렉스 그린위치(Alex Greenwich) NSW 하원의원(무소속)도 “(관람객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것은 지역사회 이벤트와 관광객 유치 카드로서의 Vivid Sydney를 약화시킨다”며 “시드니 공원의 상업화에 강력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린위치 의원은 이어 “공유지에서 무료로 열렸던 이벤트가 갑자기 유료화된 것에 시드니사이더들(Sydneysiders)도 우려하고 있다”면서 “우리 모두가 생활비 위기에 대처하는 가운데 공개 행사에서 비용 지불이 가능한 이들만 즐길 수 있는 ,‘우리와 그들’로 갈라지는 도시가 되지 않도록 감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Vivid Sydney는 지난 2009년 시작됐으며, 도심 곳곳에서 펼쳐지는 조명 쇼는 모두 무료 관람이었다. VIvid 기간 중 보타닉 가든에서 조명 쇼가 시작된 것은 2016년부터이며, 2029년까지 이 가든은 무료 입장이었다.

 

종합(Vivid 4).jpg

보타닉 가든에서 펼쳐진 'Lightscape’의 한 장면. 이 공원은 지난 2016년부터 Vivid Sydney 이벤트에 참가했으며 팬데믹 직전인 2019년까지는 무료로 개방했다. 사진 : vividsydney.com

   

Vivid Sydney 행사위원회 대변인은 “보타닉 가든의 Lightscape는 특별히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며 미국 영국 및 퍼스(Perth, WA)와 멜번(Melbourne, Victoria)에서도 유료로 진행되어 매진을 기록하고 있기에 보타닉 가든이 이를 유료화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변인은 “보타닉 가든 외 서쿨라키(Circular Quay)에서 바랑가루(Barangaroo), 달링하버(Darling Harbour)를 거쳐 센트럴 기차역(Central Station)까지 이어지는 ‘Vivid Sydney Light Walk’는 여전히 무료”라면서 “2016년부터 운영되는 타롱가 동물원(Taronga Zoo)의 산책로, 윈야드 기차역(Wynyard Station) 아래의 오래된 터널에 설치한 조명 쇼는 유료로 관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Vivid 1).jpg (File Size:153.7KB/Download:14)
  2. 종합(Vivid 2).jpg (File Size:163.6KB/Download:16)
  3. 종합(Vivid 3).png (File Size:389.4KB/Download:19)
  4. 종합(Vivid 4).jpg (File Size:142.1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살인마 아이반 밀랏, 일요일(27일) 감옥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6450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 살인마 아이반 밀랏의 최후의 몇 마디... 톱뉴스 19.10.30.
6449 호주 호주 최대 직업학교 ‘Careers Australia’ 부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6448 호주 호주 최대 육가공업체 ‘토마스 푸드’, 이민자 착취 이익 극대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6447 호주 호주 최대 유통기업 웨스트필드 해외 매장, 프랑스 기업에 "매각" 톱뉴스 17.12.15.
» 호주 호주 최대 빛의 축제 ‘Vivid Sydney’, 올해부터 ‘보타닉 가든’은 유료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445 호주 호주 최대 두 도시가 직면한 문제, “너무 크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6444 호주 호주 최대 도시, 시드니를 위협하는 8가지 요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11.24.
6443 호주 호주 최대 규모 목장, 광산재벌 품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644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6441 호주 호주 최대 경마대회... 올해 멜번컵 우승마는 ‘레킨들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440 호주 호주 최대 경마, 올해 멜번컵 우승마는 ‘알만딘’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439 호주 호주 최고의 해안가 주택 구입, 얼마만큼의 자금이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5.30.
6438 호주 호주 최고의 엔터테이너 중 하나인 주디스 더엄씨, 7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6437 호주 호주 최고 지도자로 꼽히는 밥 호크 전 총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6436 호주 호주 최고 소득자들, 퍼스에 거주... 연소득 최저는 NSW 주 일부 지방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6435 호주 호주 최고 부자들은 누구... 호주한국신문 14.07.03.
6434 호주 호주 최고 부자들, 평생 50배 이상 부 축적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433 호주 호주 최고 부자 지나 라인하트, 자산 80억 달러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432 호주 호주 최고 부자 라인하트 자산, 1년 사이 80억 달러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6431 호주 호주 최고 디자인의 레스토랑-카페-바-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6430 호주 호주 최고 권위의 방송대상, Logies awards 2018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6429 호주 호주 총리, “세계 경제가 공포에 휩싸였다”…G20 긴급 재무장관 회의 개최 제안 호주브레이크.. 20.03.15.
6428 호주 호주 총리, 중국 방문 라이프프라자 23.10.23.
6427 호주 호주 초등학교 남학생 5명 중 1명, ‘정서행동장애’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6426 호주 호주 청소년들, 소셜 미디어 순위에 매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425 호주 호주 청량음료업계, 설탕 함유량 20% 감량 계획 발표…의학계 반응은 ‘써늘’ 톱뉴스 18.07.01.
6424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423 호주 호주 직장평등 수준, 여전히 낮아... 여성 임금 23%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7.
6422 호주 호주 직장인 절반 가까이, “직장에서 외로움 느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6421 호주 호주 직장 내 여성 성차별과 성추행, ‘충격적’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8.
6420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호주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6419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418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417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416 호주 호주 중앙은행, 한 달 만에 기준금리 또 인하... 1%로 (1)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4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최저 기준금리 15개월째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41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사상 최저 1.25%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41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0.75%→0.5%로 역대 최저치 호주브레이크.. 20.03.03.
641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19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6411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포인트 또 인상, 4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641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 포인트 인상 결정... 0.8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6409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3.35%로... 로우 총재, “추가인상 필요”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40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407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6406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405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40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640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 금리 1.5% 유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402 호주 호주 중앙은행, “하락하는 물가 수치 지켜보겠다”... 이달 금리 인상 ‘보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