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수혜자 12만2895명 불과, 기존 사립 수혜자 8만4505명
 
▲ 플로리다주 교육부 장학금 제도 정보 사이트 헤드라인. ⓒ fldoe.org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올해 플로리다주가 모든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사립학교 등록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했지만, 바우처를 획득한 신규 학생수는 이달초까지 12만3000여명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우처 확대 비평가들은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을 공립학교에서 대거 빠져나가게 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으나 공식 집계수로 보아 아직까지 '공립학교 대탈출'은 발생하지 않은 셈이다.

플로리다에서 대부분의 바우처를 관리하는 단체인 '셋 업 포 스튜던츠(Step Up for Students)'의 보고서 기준으로 9월 8일 현재 바우처를 이용한 사립학교에 등록한 학생은 총 24만2929명이다. 이는 지난 학년도(2022~2023)의 바우처 학생수 17만 여명에 비해 7만여 명이 늘어난 수치이다.

그러나 올해 신규 바우처 학생 12만2895명 중 69%인 8만4505명은 이미 사립학교에 재학중이지만 처음으로 바우처를 이용한 학생들이다. 또 유치원생 2만2294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13%인 1만6096명만이 공립학교에서 사립학교로 전학했다. '셋 업 포 스튜던츠'는 이같은 보고서를 제시하며 신규 바우처 수혜 학생 중 13%만이 공립학교에서 빠져 나온 것을 가지고 '대탈출'이라 할 수 있겠냐며 바우처 확대를 반대하는 이들의 주장을 꼬집었다.

공화당이 장악한 주의회에서 올해 바우처 프로그램 확대 법안이 논의되자, 민주당과 비평가들은 많은 수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공립학교를 그만두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바우처 확대에 회의를 표해 온 비영리 단체인 플로리다 정책 연구소(FPI)는 새로 나온 보고서 데이타에 여전히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이 단체는 신규 바우처 수혜자 10명 중 7명이 이미 사립학교에 등록된 학생이라는 점을 들었다. 이 단체는 바우처가 1인당 평균 8000달러의 등록금을 보조했고, 학생 가족은 자금 용도가 늘어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번 '스탭 업' 보고서는 FPI와 수십 개의 다른 단체들이 지난 14일 주 교육 관계자들에게 바우처 프로그램에 대한 투명성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바우처 확대법은 무엇보다 바우처를 받기 위한 소득 자격 요건을 없애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사립학교에 등록한 바우처 학생의 27%가 연방 빈곤 수준의 400%(4인 가족 기준)인 12만달러 이상의 연소득을 가진 가정 혹은 소득 정보를 제출하지 않은 가정 출신이다. 또 바우처 학생의 약 29%는 빈곤 수준의 185%에서 400%사이 그리고 44%는 연방 빈곤 수준의 185% 이하의 가정 출신이다. 여기서 185%는 4인 가족 기준 연소득5만5000 달러임을 의미한다.

한편 장애 등 특별한 필요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바우처인 '가족 역량 강화 장학금(Family Empowerment Scholarships for Students)' 혜택 학생은 지난해 약 7만명에서 올해는 7만9035명으로 늘어났다.

일반 학생이 받는 바우처인 '세금 혜택 및 가족 역량 강화 장학금(Tax Credit and Family Empowerment scholarships)' 신청은 35만3425개였으며 이중 34만0731개의 바우처가 수여됐다. 그러나 수여된 바우처가 모두 사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바우처 확대와 함께 온 또 다른 변화는 홈스쿨링 학생들이 바우처를 받을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1만5097명의 홈스쿨링 학생들이 새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 |
  1. k12.jpg (File Size:16.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7 캐나다 코퀴틀람센터 한인주거지 폭행 사건 추가 피해자 신고 받습니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3.
396 캐나다 젊은, 아시안, 이민자로 캐나다 운전 점점 더 악화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3.
395 캐나다 19일 기준 전주 전국 새 코로나19 확진자 4847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3.
394 캐나다 한인 주요 주거지인 트라이시티에 백인 우월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6.
393 캐나다 코퀴틀람 경관 살해 아파트 거주자 감옥 같은 격리 상황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6.
392 미국 골드만삭스 "헤지펀드들, 美 증시 약세에 베팅 확대" 라이프프라자 23.09.26.
391 미국 미국, 태평양 섬나라 시리즈 정상 회의 라이프프라자 23.09.26.
390 미국 미국, 러시아 처벌하기 위해 수백만 달러 슈퍼 요트 압수, '부채 덩어리' 부담… 라이프프라자 23.09.27.
389 미국 미국 주식 급락, Dow Jones는 거의 400포인트 하락, S&P 500은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 라이프프라자 23.09.27.
388 캐나다 7월 평균 주급 연간 4.3% 상승한 1215.02달러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9.
387 캐나다 BC, 캐나다 성장 견인차에서 꼬리칸 추락 위험 밴쿠버중앙일.. 23.09.29.
386 캐나다 이비 주수상, 한인문화가 BC주 발전에 기여할 제안에 끄덕 file 밴쿠버중앙일.. 23.09.29.
385 캐나다 BC 이비 주수상의 추석 축하 성명서 file 밴쿠버중앙일.. 23.09.30.
384 캐나다 연방유산부 다문화 담당 장관의 일천한 다문화 지식 file 밴쿠버중앙일.. 23.09.30.
383 미국 미국 역사상 두 번째 흑인 출신 합참의장 탄생 코리아위클리.. 23.10.02.
382 미국 바이든 정부, 베네수엘라 이민자 47만명 합법체류 허용 file 코리아위클리.. 23.10.02.
381 미국 플로리다 최저임금 12달러-팁 9달러로 오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10.02.
380 미국 탬파베이 수돗물 맛, 지역 따라 차이 나는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3.10.02.
379 미국 플로리다 태양광 설비 증가, 올해 상반기 미국 1위 file 코리아위클리.. 23.10.02.
» 미국 플로리다 바우처 확대 불구 '공립학교 대탈출'은 없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