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따른 금융·부동산 시장 불안도 생각해야"

"가계부채 비율 100% 밑으로 낮추는 게 제 책임…경기 고려해 천천히 조절"

"우선 DSR 규제 '구멍' 줄여 증가세 얼마나 막는지 지켜봐야"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먼저 규제 정책을 다시 타이트하게 하고, 그래도 가계부채 늘어나는 속도가 잡히지 않으면 그때는 심각하게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은 대상 국정 감사에서 다수 의원이 가계부채 급증 대책을 묻자 이렇게 답하였다.

아울러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 금리를 왜 올리지 않느냐'는 의원들의 추궁에 고금리에 따른 금융·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불안 등까지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이 총재는 "저희(한은)가 금리를 더 올릴 경우 물론 가계대출을 잡을 수 있다"며 "그러나 이에 따른 금융시장 안정 문제는 어떻게 할지 생각해야 하고, 물가(소비자물가 상승률)도 한 때 2.3%까지 내려갔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는 금융당국이 지난해 말과 올해 초 부동산 규제를 완화한 것에 대해서도 "금융시장과 부동산시장 불안에 대응한 조치였다"고 부연하였다.

이 총재는 "저희(한은)가 이자율이나 정부와의 정책 공조를 통해 점차 가계부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을 100% 미만으로, 90% 가깝게 낮추는 게 제 책임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당장 너무 빨리 조절하려다 보면 경기가 너무 나빠지기 때문에 천천히 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가계대출 규제 방향에 대해서는 "현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해당하는 차주의 비중이 작다"며 "당국과 단기적으로 DSR 규제의 루프홀(빠져나갈 구멍)이 많지 않도록, DSR 규제 해당 가구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해서 어느 정도 증가를 막는지 보고 그 다음 거시정책을 생각해야한다"고 말하였다.

최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가계부채 증가 배경 등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한은은 서민의 어려움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고 말한 데 대해서는 "(위원장과) 통화를 했는데 금리라는 정책이 마이크로(미시)적으로 그런 섹터(서민·취약층)를 받치지 못하고 (금리 인상으로) 전체적 영향을 줬다는 뜻이었다고 말씀하셨다"고 대신 해명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023071751002?section=news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69 9시간 매거진 완성..기네스북 감 [4] file 뉴스로_USA 17.04.25.
168 ‘국민투표 로또’ 한번 해볼까 file 뉴스로_USA 17.04.23.
167 “세계에 한국바로 알리기 강화해야” 반크 file 뉴스로_USA 17.04.22.
166 홍콩서 핀 장애청소년의 꿈 file 뉴스로_USA 17.04.20.
165 충남도 학교급식 게국지 등 향토음식 화제 file 뉴스로_USA 17.04.19.
164 2017 재외한인언론인대회 개막 file 한호일보 17.04.18.
163 “한성임시정부를 기억하십니까?” file 뉴스로_USA 17.04.13.
162 박하선, 유해발굴감식단 국내외 홍보 file 뉴스로_USA 17.04.10.
161 위안부피해 ‘동백꽃할머니’ 별세 file 뉴스로_USA 17.04.06.
160 식목일 맞아 독도 ‘섬기린초’ 나눔행사 file 뉴스로_USA 17.04.05.
159 “국민대통령시대 열겠다” 문재인 대선후보확정 file 뉴스로_USA 17.04.04.
158 ‘촛불시민들’ 백악관, 유엔에 사드반대 서한 file 뉴스로_USA 17.04.03.
157 최성 “촛불-위안부 노벨평화상 공동수상 추진” file 뉴스로_USA 17.04.01.
156 “박근혜구속은 적폐청산의 시작” 네티즌 말말말 file 뉴스로_USA 17.03.31.
155 안철수 ‘재외국민 공약’ 발표 file 뉴스로_USA 17.03.30.
154 안창수화백 창원에서 닭그림전 file 뉴스로_USA 17.03.30.
153 서경덕교수, 전주 ‘글로벌 홍보대사’ 선임 file 뉴스로_USA 17.03.29.
152 “얘들아 많이 추웠지..너무너무 미안하다” file 뉴스로_USA 17.03.27.
151 ‘서울 국제 불교박람회’ 역대 최대규모 눈길 file 뉴스로_USA 17.03.25.
150 최성, 대한민국 대개조 10대정책 발표 file 뉴스로_USA 17.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