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5-5.jpg

 

프랑스의 이혼 부부 또는 별거 부부의 경우, 아이들을 전 부인이 키우면, 전 남편이 전 부인에게 식비 수당(pension alimentaire), 별거 수당, 양육 수당 등을 지불해야 한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전 남편의 지불 유무와 상관없이, 자녀 1인당 104,75€를 가족 수당 금고 CAF (Caisse d’Allocation Familiale)로 부터 매월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자녀들의 식비 수당이, 가족 문제 담당 검사 앞에서 이혼 소송을 하는 부부의 가장 큰 분쟁 요소이다. 이혼 후에도 헤어진 부부 사이에 가장 큰 싸움의 불씨로 남는다. 대부분의 경우, 아버지, 즉 전 남편이 자녀 1인당 프랑스 전체 평균 월 170€를, 자녀를 키우는 전 부인에게 지불해야 한다. 아버지들의 36%가 이 부담금의 일부만 지불하며, 16%는 늦게 지불하고, 13%는 아예 한 푼도 지불하지 않는다.

4월 1일부터 실시되는, 이번의 새 조치가 모든 것을 다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어머니(전 부인의 수입의 1/5정도가 되는 이 식비 수당이 절대로 필요한 어머니(전 부인)에게는 좋은 소식임에 틀림없다. 

정부의 요청으로, 가족 수당 금고(CAF)가 25개 도에서 2014년부터 시험적으로 실시해 온 « 식비 부담금 미지불액 보증 (Gipa, Garantie contre les impayés de pensions alimentaires) 제도를 프랑스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한 결과이다. 

자녀 1인당 104,75€의 즉시 대체 지불 수당 (allocation de substitution immédiate)인데, 지금까지는 미지불이 2개월 이상 지나야  가족 지원 수당 ASF (Allocation de soutien familial)을 신청할 수 있었다. 양육비를 두 달에 한 번씩 지불하는 나쁜 지불자 (전 남편, 자녀의 아버지) 때문에, CAF에 가족 지원 수당 ASF의 신청을 할 수가 없었다. 검사가 정한 양육 수당, 즉 식비 수당에 비해 부족분이 누적되어도, 이 즉시 지불 ASF로 아버지에 의한 미지불금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소액의 식비 수당의 연장선 104,75€는 소액 식비수당보다 높은 금액이므로, 그 차액을 CAF가 부담한다. 예를 들어 전 남편이 월 50€를 식비 수당으로 내기로 정해져 있는 경우, 55€ 추가 ASF를 CAF가 부담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전 남편으로부터 약간의 도움을 받는 전 부인이, 전혀 도움을 받지 않는 전 부인보다 돈을 적게 받는 일이 없게 되었다. 모든 경우에, 양육비 수당은 RSA(최저 생계비 수당)계산에 반영되므로, RSA 금액이 변동 될 수 있다.

CAF는 미지불 식비 수당 (Pension alimentaire, 양육수당) 24개월(2년)까지를 채무자인 전 남편으로부터 회수 할 수 있다. 즉 전 남편이 이것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전 남편이 내지 않을 경우 CAF는 세무서로부터 전 남편의 주소, 세금액, 고용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채권자인 전 부인이 채무자인 전 남편에게 식비 수당 지불을 직접 요구하거나 법원을 통해 요구하기가 곤란한 경우, 즉, 폭행 등을 당할 수 있는 경우는, CAF가 채무자의 월급에서 원천 징수할 수 있다. 전 남편에게서 미지불금 환수를 현재까지는 6개월분까지 했으나, 지금부터는 2년분까지 환수가 가능해 졌다. CAF는 앞으로 이런 조치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버지에 의한 식비 수당 (Pension alimentaire)지불은 따로 사는 자녀가 성인이 되는 18세에 자동적으로 끝나지 않고, 대학을 졸업하여 자율적 생활이 가능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이다.  

 

【한위클리 / 이진명 jinmieungli@gmail.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8 프랑스 장-뱅상 플라세 전 장관의 참회, '부끄럽다, 알콜중독도 치료하겠다' 프랑스존 18.04.26.
837 프랑스 프랑스 40여 개 도시에 '아르노 벨트람' 거리 조성된다 프랑스존 18.04.26.
836 프랑스 파리의 AirBNB 주택 임대 82%가 불법 프랑스존 18.04.26.
835 프랑스 시리아 대통령 레지옹 도뇌르 훈장 반환 프랑스존 18.04.26.
834 프랑스 윤곽드러나는 프랑스 의회 개혁안 프랑스존 18.04.19.
833 프랑스 인기 좋은 여름 휴가철 job은? 프랑스존 18.04.19.
832 프랑스 에어 프랑스 파업으로 1억7천만 유로 손실 프랑스존 18.04.19.
831 프랑스 프랑스, 올해 230만 명 채용한다 프랑스존 18.04.19.
830 프랑스 노벨문학상 수여하는 한림원, 성 스캔들로 들썩 프랑스존 18.04.19.
829 프랑스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르 클레지오의 '빛나, 서울 하늘 아래' 불어판 소설 출간 프랑스존 18.04.19.
828 영국 英매체 ‘김정은 방중’ 관심 file 뉴스로_USA 18.03.31.
827 프랑스 500년 시공을 초월한‘천재탄생’ 틴토레토 프랑스존 18.03.27.
826 프랑스 프랑스인들의 직업별 월급은 얼마? 프랑스존 18.03.27.
825 프랑스 2018 평창올림픽 프랑스 메달리스트는 상여금을 얼마나 받을까? 프랑스존 18.03.27.
824 프랑스 유럽 여러 나라의 최저 임금 프랑스존 18.03.27.
823 프랑스 '평창 올림픽은 역대 최상이었다'... 외신들 극찬 프랑스존 18.03.27.
822 프랑스 평창에서 영웅이 된 프랑스 선수, 마르탱 푸르카드 프랑스존 18.03.27.
821 프랑스 프랑스도 미투운동 확산... 프랑스 여성 10명 중 1명 성폭력 피해 프랑스존 18.03.27.
820 프랑스 9월부터 프랑스 중학교에서 핸드폰 사용금지 프랑스존 18.03.27.
819 프랑스 이달고 파리시장, 환경오염 정책에 제동 걸리나? 프랑스존 18.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