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jpg


2월부터 혹스 베이 지역에 돼지독감(H1N1)으로 확진되거나 추정되는 사례가 8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3명은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1명은 혼수상태에 빠졌다지난 2009 H1N1 바이러스가 확산되었을 당시에는 국내에서만 78만 명의 감염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혹스 베이의 한 여성은 쌍둥이 자매가 H1N1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나 본인에게도 양성 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시간문제가 되었다니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여성은 쌍둥이 자매가 혹스 베이에서 발생한 H1N1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혼수상태에 빠졌으며 산소호흡기에 의지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쌍둥이 자매가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 첫날부터 지속적으로 기침을 하였으며 이틀째 되는 날에는 병원을 방문해 폐렴을 진단 받고 항생제 처방을 받았다고 했다.


 


그리고 이후 급격하게 상태가 악화되어 8일째 되는 지난 13일에 다시 병원을 방문하게 되었으며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이송되는 동안 혼미한 상태에 빠졌다고 말했다병원에 도착한 그는 호흡이 매우 가빠져 중환자실로 옮겨졌으며지난주 '돼지독감'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H1N1 바이러스 감염을 확진 받았다증상을 보인 지 20일째 되는 니키의 자매는 현재 병원에서 12일째 입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니키는 "그런 바이러스에 감염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으며 아직 여름이라 백신 접종도 받지 않은 상태"라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전염병 전문의 앤드류 번스 박사는 독감 시즌이 혹스 베이를 다소 이르게 덮쳤다며 "보통 독감이 발생하는 것은 6월이나 7월이지만 올해는 1월부터 독감으로 보이는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상태가 위중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최근 매우 독한 독감이 돌았던 북미는 독감 감염자 중 90% H1N1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 전 인구의 40% H1N1 백신 접종을 받았다번스 박사는 뉴질랜드에서 H1N1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이 25% 가량이라고 말했다.


 


유행하고 있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나이가 많거나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또 임산부는 한시라도 빨리 백신 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H1N1 2009년부터 예방 접종이 가능한 바이러스에 포함되었으며 보건부는 2010년 자료를 발표해 2009년 확산된H1N1 독감의 영향을 알렸다가장 감염 위험이 높은 것은 취학 연령의 아동으로 3명 중 1명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고이 감염자 중 절반에 가까운 수는 뚜렷한 증상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번스 박사는 "미국의 질병관리당국에서 지난 2년간 생후 6개월 이상의 모든 사람은 백신 접종을 받으라고 권고했다"며 건강한 성인이라도 백신 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그는 생후 6개월 이하의 영아는 백신에 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영아를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그는 북미의 감염률이 뉴질랜드에서도 똑같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피해율을 예측하는 것은 언제나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번스 박사는 H1N1 바이러스가 사람들이 말하는 동안 튄 침이 상대방의 입으로 들어가게 되며 감염된다고 말했다혹스베이 지역보건당국은 매년 독감으로 인해 뉴질랜드에서 400명이 죽고 있으며 작년에는 1000여 명이 병원에 입원했다고 말했다이들은 "취약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건강한 성인이라도 독감에 걸려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1 호주 홀덴 떠난 SA, 한국산 자동차 존재감 부각…SA 경찰 순찰차 채택될 듯 톱뉴스 17.08.11.
6750 뉴질랜드 혼자 버스 타고 쇼핑하러 가는 견공(?) NZ코리아포.. 18.01.17.
6749 호주 혼스비 바비큐 식당서 살인사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47 뉴질랜드 혹스베이 지역 병원, 완전한 소독 안된의료 도구 사용 논란 NZ코리아포.. 19.02.14.
6746 뉴질랜드 혹스 베이 주택 위기, 올 겨울 모텔에 400명 넘는 어린이 살기 시작 NZ코리아포.. 19.04.29.
6745 호주 호주한인총연합회, 차세대 한인들 정계진출 욕망 일깨워 톱뉴스 19.09.24.
6744 호주 호주판 ‘스티브 잡스’ 기대... 호주 10대 청소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6743 호주 호주판 ‘맹모삼천지교’... 유명 학군 주택가격 큰 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6742 호주 호주판 ‘늙은 군인의 노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호주한국신문 14.04.24.
6741 호주 호주통계청,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독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740 호주 호주중앙은행, 이달만 두 번째 금리 0.25%p로 인하! ‘호주 달러 가치도 폭락’ 호주브레이크.. 20.03.19.
6739 호주 호주중앙은행 총재 ‘비트코인은 범죄자에 매력' 톱뉴스 17.12.15.
6738 호주 호주정부의 석탄화력발전 사랑…IPCC ‘중단’ 제안 일축 톱뉴스 18.10.22.
6737 호주 호주정부, 차량 테러 방지 대책 발표 톱뉴스 17.08.22.
6736 호주 호주정부, 이민자 유입량 연 3만명 감축 움직임 톱뉴스 18.11.25.
6735 호주 호주정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지지’ 톱뉴스 17.08.07.
6734 호주 호주정부, 외국인 범죄자 추방 조치 강화 움직임 톱뉴스 18.01.07.
6733 호주 호주정부, 북미정상회담에 “신중한 환영” 톱뉴스 18.06.17.
6732 호주 호주정부, 범죄 전력 비자 소지자 추방 강화 움직임 톱뉴스 19.08.13.
6731 호주 호주정부, 가족 이민 초청자 재정 요건 대폭 강화 99개 비자 조항은 10개로 축소 톱뉴스 18.04.20.
6730 호주 호주정부 “지방 정착 이민자, 지방에 상주하라”…비자 규정 개정 추진 톱뉴스 18.05.18.
6729 호주 호주인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6728 호주 호주인의 자부심 와틀, ‘Acacia’ 학명을 갖기까지의 식물 논쟁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6727 호주 호주인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심장-뇌졸중-폐 관련 질환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6726 호주 호주인들이 느끼는 생활비 압박감, 가장 심한 도시는 시드니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6725 호주 호주인들이 강변 주택에 매료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6724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자주 위험에 처하는 해외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723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6722 호주 호주인들의 올 크리스마스 선물 구입, 88억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721 호주 호주인들, 포키-경마 등으로 연간 240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6720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6719 호주 호주인들, 지난 한해 갖가지 사기 행각 피해로 총 31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718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6717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716 호주 호주인들, 전 세계 국가 비해 암 걸릴 확률 2배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6715 호주 호주인들, 일부 부문 세금 인하하면 GST 인상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5.11.19.
671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6713 호주 호주인들, 연간 89억 달러 상당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file 호주한국신문 19.04.04.
6712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6711 호주 호주인들, 비자금 모아 의류 구입-도박-유흥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10 호주 호주인들, 도박으로 연간 23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6709 호주 호주인들, “은퇴하기에는 모아둔 자금 너무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08 호주 호주인들, “여행 계획에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여행업, 빠르게 회복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707 호주 호주인들, “양부모 가족은 아이 성장에 필요”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6 호주 호주인들, “세금 인하보다는 더 저렴한 생활비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4.11.
6705 호주 호주인들, “83만 달러 있어야 재정적 자유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6704 호주 호주인들, 2014년 자선단체에 68억 달러 기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703 호주 호주인들 공화제 지지 비율 42%로 낮아져... 역대 최저 호주한국신문 14.04.17.
6702 호주 호주인구의 지속적 성장으로 높은 기준금리, 더 오랫동안 이어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