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C업체 참여 삼성물산, 듀로와 계속 추진


 


삼성물산이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업체로 참여 중인 서호주 필바라의 로이힐 광산개발에 대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계약이 지난 20일에 체결됐다. PF 계약은 72억 달러(79억 호주달러) 규모로 한·미·일 ECA(export credit agencies, 수출신용기관)와 일본 4개 은행이 참여했다. 19개 금융권 콘소시엄과 호주 4대 은행들이 대출 기관으로 참여한다. 광산개발에 필요한 자금 구성이 완료됨에 따라 광산개발과 인프라 건설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삼성물산은 한화 5조3천억원 규모의 EPC 계약을 체결해 2013년에 6천억원의 매출이 발생했고, 2015년 12월까지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 2월 하도급 업체 중 포지(Forge)가 법정관리를 신청했지만 듀로(Duro) 단독 계약으로 변경했고, 포지가 담당했던 공사를 삼성물산이 직영으로 수행하고 있어 공기 지연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2014년에 토목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회사의 실적 고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다.


스페인 듀로 팔구에라는 25일(현지시간) 삼성물산 자회사인 삼성C&T와 함께 진행 중인 호주 로이힐 광산개발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최근 로이힐 프로젝트에서 듀로와 함께 시행사로 참여했던 포지그룹이 법정관리에 들어감에 따라 투자하기로 했던 14억7000만 호주달러(약 1조4178억원)를 취소한 바 있다. 하지만 듀로는 이날 스페인 시장규제당국에 보내는 문건에서 삼성물산이 포지그룹 부분을 담당하기로 하고 듀로가 로이힐 프로젝트에 계속 참가하는 내용의 문건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로이힐 프로젝트는 서호주 서부 필바라 지역에 위치한 매장량 24억톤 규모의 광산개발 사업으로, 삼성물산은 이번 공사에서 철광석을 운반하기 위한 플랜트와 철도, 항만 등 인프라를 조성하는 공사를 맡았다.


이 공사의 수주액은 총 56억 호주달러(약 6조5000억원)였다. 이는 지난해 삼성물산 해외수주 목표액(11조6000억원)의 절반을 넘는 수준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시행사로 포지그룹과 듀로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했으나 지난 11일 포지그룹이 법정관리를 신청, 삼성물산은 대안책 마련에 들어갔다.


콜린 바넷 서호주 주총리는 로이힐 PF 타결 소식은 서호주에게 큰 뉴스라고 환영했다. 지난 18개월 동안 협상 끝에 호주 최대 부호인 지나 라인하트 핸콕광산 대표가 지난 20일 서명을 했다.


베리 핏제랄드 로이힐 CEO는 “5500만톤의 철광석을 생산하는 17-20년 프로젝트는 100억 호주달러 규모로 호주 최대”라면서 2015년 9월부터 생산 시작을 예상했다.


로이힐 프로젝트는 광산 인프라에 4천명, 광부 등 운영 직원 2천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스티븐 프라이스 호주 근로자 노조(Australian Workers Union)의 서호주 사무총장도 고용 창출을 환영했다. 그러나 외국인 고용계약(Enterprise Migration Agreement)에 대해서 불만을 제기했다. AWU는 로이힐과 140개 작업장 고용계약을 등록했다.


로이힐 프로젝트는 지나 라인하트 대표의 핸콕 광산이 70%의 지분을 소유하며 나머지는 한국 포스코, 일본 마루베니상사, 대만의 중국철강(China Steel Corporation) 콘소시엄이 공동 소유하고 있다. 핸콕과 투자 파트너는 32억 호주달러를 투자했다.

  • |
  1. 서호주_필바라_로이힐_서명.jpg (File Size:93.2KB/Download:7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01 호주 세계보건기구, 또 하나의 변이 ‘Mu’ 바이러스 모니터링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300 호주 ‘COVID zero’ 불가능...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단계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9 호주 집단면역 가능한 COVID-19 백신접종률, 달성 시기는 언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1298 뉴질랜드 재외국민 우편투표 허용을 위한 관련 선거법 개정 요청 일요시사 21.09.13.
12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아발론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7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6 호주 전염병 사태 따른 ‘록다운’, 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이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5 호주 ANZ 은행, “올해 호주 주택가격 20% 이상 상승할 것”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4 호주 광역 멜번 3분의 1 지역, 주택가격 상승이 가계소득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3 호주 NSW-Queensland 주 정부, 필부 업무 대상 ‘Border Bubble’ 합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2 호주 호주의 ‘mRNA’ 백신 생산 계획,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1 호주 호주 사회상식- 고립된 이들에 대한 관심, ‘R U OK Day’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90 호주 NSW 주 공공보건 명령의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9 호주 NSW 주, 백신접종 받은 이들 제한 완화… 증명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8 호주 9.11 테러 공격 20년… 2001년 9월 11일 사건이 세상을 바꾼 세 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1287 뉴질랜드 뉴질랜드 생물학적 남녀 성별 사라진다? 일요시사 21.09.18.
1286 뉴질랜드 오클랜드 카운실 주최 예정 이벤트들 취소 일요시사 21.09.18.
1285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올 여름부터 새 캠핑 법규 적용 추진 일요시사 21.09.18.
128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하버필드 주택, 잠정가격에서 무려 202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3 호주 로즈의 새 주거 프로젝트, ‘햇볕 나눔’ 위한 ‘힐리어스탯’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2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1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4.5%로 다시 하락하기는 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80 호주 백신접종 마친 호주인,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9 호주 “추석은 다문화 국가인 우리가 가진 다채로움의 일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8 호주 경제 전문가들, 부동산 부문에 치중된 지나친 자금 투입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7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 향후 수년간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6 호주 캔버라-시드니-멜번, 세 도시 록다운 조치의 차이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5 호주 NSW 주 총리, “COVID 핫스폿 대상 더 엄격한 제한은 최악의 옵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4 호주 호주 12~15세 아동-청소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배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127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어스킨빌의 4개 침실 테라스 주택, 324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2 호주 시드니 지역 해변 5km 이내 주택가격, 도시 평균의 최대 4배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1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70 호주 NSW 주 정부, ‘Service NSW 앱 활용한 ‘백신 여권’ 시범 실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9 호주 팬데믹 상황 길어지자 가정폭력 사례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8 호주 팬데믹으로 호주 고용시장 크게 변화… 7명 중 1명, 보건 분야 종사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7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ATAGI, ‘부스터샷’ 배제 안 해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6 호주 COVID-19 예방접종, 감염위험 차단 정도와 그 지속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5 호주 호주 대학졸업자들, 전공 분야 직업 얻기까지 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4 호주 NSW 주 정부, 공공보건 명령 완화 ‘3단계 로드맵’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3 호주 NSW 주의 제한 완화 로드맵… 꼭 알아야 할 것들(This is what you need to know)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근로 패턴, 어떻게 바뀔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12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60년대 지어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60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9 호주 연방정부, 전 세계 일부 국가 시행 중인 ‘빠른 항원검사’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8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대비… COVID-19 격리 규정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7 호주 디지털 ‘COVID-19 백신접종 증명서 활용’ 계획 속, ‘위조 가능성’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6 호주 모리슨 총리, 국경 제한 변경… 11월부터 해외여행 재개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5 호주 연방정부의 국경 재개 계획...국제 여행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4 호주 NSW 주 총리 이어 부총리까지… 집권 여당 의원들, 사임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3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재무장관, 제46대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125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뱅시아 주택, 잠정가격에서 5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