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 후 귀가길서... 구입한 냄비로 머리 후려쳐



요리할 때 사용하는 냄비형 프라이팬도 치한을 물리치는 아주 효율적인 무기(?)가 될 수 있다.


시드니 노스 맥마혼스 포인트(McMahon's Point)에 거주하는 한 여성이 집 앞까지 뒤쫓아 남성을 냄비로 수차례 머리를 가격, 쫓아낸 사건이 화제다.


46세의 이 여성은 금주 목요일(10일) 오전 식품류와 함께 냄비용 프라이팬을 구입한 뒤 집으로 걸어가는 길에 누군가 뒤를 쫓아오고 있음을 알아챘다. 그녀는 모른 척 계속해서 걸어 덤바턴 스트리트(Dumbarton Street) 상에 있는 아파트 입구에 도착했다. 바로 그때 뒤따라오던 남성이 뒤에서 그녀를 붙잡았다. 이미 누군가 따라오고 있음을 알고 있던 이 여성은 침착하게 쇼핑에서 구입한 프라이팬으로 남성의 머리를 수차례 가격했다.


신고를 접수한 이 지역 경찰 크레이그 소프(Craig Thorpe) 형사는 “머리를 여러 차례 가격 당한 남성은 상처를 입고는 곧바로 도주했다”면서 이 여성에 대해 “아주 용감했으며, 당시 상황에서는 그런 방법으로 대처하라고 조언하고 싶다”고 말했다.


당시 사건을 목격한 다른 사람이 도주하는 남성을 뒤쫓았지만 잡지는 못했다. 이 여성은 손에 약간의 상처만 입었다. 경찰은 이 남성이 다시 찾아와 여성에게 해를 줄 수 있다며 주의할 것을 조언했다.


소프 형사는 이 지역의 다른 여성들로부터 이날 사건과 마찬가지로 여성들의 뒤를 따라다니는 비슷한 사례를 몇 건 신고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혼자서 다닐 때는 항상 주변을 살피는 것이 좋다”면서 만약 누군가 뒤쫓아 오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 그냥 전화기를 들고 “나 지금 다 왔어”라는 식의 말을 해 아주 가까운 곳에 친구나 다른 사람이 기다리고 있음을 알게 하는 것도 범죄를 피하는 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소프 형사는 “이날 사건을 신고 받은 뒤 추가로 비슷한 사건을 더 접수했다”면서 “CCTV 등을 통해 여성들 뒤를 따라다니는 남성을 잡으려 노력하고 있는데, 피해자들이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이 남성의 용모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다.


이날 프라이팬으로 두들겨 맞고 도주한 남성은 175cm 정도의 키에 단단한 체격이며 검은색의 긴 곱슬머리를 하고 있다. 당시 그는 밝은 색 상의에 검은색 바지 차림이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1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50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9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8 호주 부스터샷은 언제 맞아야 하? 또한 백신접종 면제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7 호주 호주 국경 제한 완화 발표, 11월 이후 해외여행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6 호주 NSW 주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이벤트, 11월부터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5 호주 “면역력 심각하게 저하된 이들, 세 번째 COVID-19 백신접종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4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1단계, “지방 지역 여행은 아직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3 호주 ‘판도라 페이퍼즈’... 해외 불법 자금에 잠식당한 주요 호주 부동산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2 호주 NSW 공공보건 명령 1단계 완화 조치, 이번 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의 낡은 주택, 잠정가격에서 33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40 호주 주택가격 상승 속도, 다소 둔화… 연간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9 호주 봉쇄 조치 기간 중 일자리 찾기 포기 늘어나... 실업률,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8 호주 농업부 장관, "NSW 주의 입국자 검역 폐지, 농장 인력 확보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7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조디 맥케이 NSW 주 의원, 사임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6 호주 연방정부의 디지털 백신접종 증명서, ‘Service NSW'에 통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5 호주 호주 국경 다시 열린다지만... 유학생들 “호주로 돌아갈 매력 잃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4 호주 연방정부, ‘비자 취소’ 권한 강화를 위한 ‘인성검사’ 법안, 재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3 호주 연방정부, 해외여행자 위한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2 호주 NSW 주,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역 절차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1 호주 NSW 주의 국제여행자 검역 폐지... 꼭 알아야 알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수준의 윌로비 소재 주택, 370만 달러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9 호주 광역시드니 주택 임대료, 사상 최고치 기록... 유닛 임대료 다시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8 호주 정부가 주문한 노바백스 백신, 11월 제공 예정... “추가접종 위해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7 호주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발병 이후 NSW 사망자 500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6 호주 NSW 주 정부, 학령기 자녀 가정에 ‘레저 활동’ 지원 바우처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5 호주 NSW 주 관광부, 호주 국경 개방 맞춰 대대적 관광 캠페인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4 호주 호주 국제여행 허용... '콴타스‘ 및 ’넷스타‘의 운항 노선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3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화이자 COVID-19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2 호주 호주 부스터샷 승인... 알려진 추가접종 관련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1 호주 불법 마약구매, COVID 이전보다 쉽다?... 팬데믹 기간 중 코카인 사용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그린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9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9 호주 NSW 주 지방 지역 임대료 지속 상승, 현지 지역민들 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8 호주 Sydney Water, “이런 물품은 반드시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7 호주 10대 어린이-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가입, 부모 동의 필요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6 호주 호주 원주민 암각화, 최대 4만3천 년 전 만들어진 것일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5 호주 파라마타 지역구 줄리 오웬 의원, 다음 연방선거 ‘불출마’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4 호주 연방정부, COVID-19 방역 위한 국민들의 ‘해외 출국 제한’ 공식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3 호주 COVID-19 빠른 항원검사 허용... 11월 1일부터 자가 테스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2 호주 호주 백신자문그룹, 2차 접종 6개월 지난 성인 대상으로 추가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1 호주 ‘풍토병’ 되어가는 코로나 바이러스... ‘리빙 위드 코비드’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0 호주 NSW 주 정부, COVID-19 공공보건명령 완화 로드맵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09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 변경, 주요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08 뉴질랜드 오클랜드 10월 5일까지 경보 3단계 일요시사 21.11.08.
1207 뉴질랜드 '시설 대신 집에서 자가격리' 10월말부터 시범, $1,000의 요금 지불 일요시사 21.11.08.
1206 뉴질랜드 8월11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일주일 연장 일요시사 21.11.08.
1205 뉴질랜드 새 코로나19 보호 체제 나왔다... 녹색, 황색, 적색 3단계 일요시사 21.11.08.
1204 뉴질랜드 오클랜드 11월 9일 밤 11시 59분부터 경보 3단계 스탭 2 일요시사 21.11.08.
1203 뉴질랜드 Covid-19 11월 2일 새 감염자 126명, 오클랜드 1차 접종률 90% 일요시사 21.11.08.
1202 뉴질랜드 Covid-19 11월 3일 새 감염자 100명 일요시사 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