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앤드류 포레스트 1).jpg

호주의 광산재벌이자 인권운동가이기도 한 ‘Fortescue Metals Group’의 앤드류 포레스트(Andrew Forrest) 전 회장. 그가 설립한 인권재단 ‘Walk Free Foundation’이 전 세계 강제노동 실태를 조사한 결과 호주에도 노예상태의 강제 노동이 폭넓게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Walk Free Foundation’의 글로벌 노예실태 보고서 발표 통해

 

호주의 광산 재벌이자 인권 운동가인 앤드류 포레스트(Andrew Forrest. 전 ‘Fortescue Metals Group’ 회장)씨가 강제 노동착취 근절을 위한 법 제정을 촉구하며 세계 지도자들에게 노예제 폐지를 외치고 있다.

시드니 모닝헤럴드는 금주 화요일(31일) 공개된 ‘2016 세계 노예실태 보고서’(Global Slavery Index)를 인용, 호주에만 4천300여 명을 포함해 전 세계에 걸쳐 대략 4천580만 명이 노예 신분으로 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보고서는 호주의 인권단체 중 하나로 포레스트 전 회장이 설립한 ‘워크프리 재단’(Walk Free Foundation)이 실태를 파악해 작성한 것으로, 이 재단은 노예 신분의 노동착취 근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재단은 전 세계 25개국, 4천3백여 명을 대상으로 강제 노동, 인신 매매, 부채 노예, 아동 착취 그리고 강제 결혼 등과 같은 착취 실태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 결과 60%에 이르는 노동착취 행위가 중국,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에 집중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관련, 조사기관인 갤럽(Gallup)이 특히 노동 착취가 만연한 식품생산업과 성 매매업 등 두 분야에 대한 집중 조사한 결과, 호주 내에만 4천3백여 명이 노예 아닌 노예로 살아가는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Walk Free Foundation’의 포레스트 이사는 “호주 동부의 식품가공 산업에서부터 서부 지역의 토마토 재배 농장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불행히도 호주 내의 광범위한 강제노동 현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뿐 아니라 강제 성매매까지 있었다”고 털어놨다.

호주의 소비자들 역시 생산과정에서 강제 노동착취를 일삼은 기업의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노예 관행의 공모자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일반적으로 노예와 같은 강제 노동이 ‘호주 내에서는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기에 오히려 이런 행위가 지속될 수 있었다”면서 “예를 들어 우리가 옷가게에 들어섰을 때 ‘이 자재는 어디서 온 것이죠? 어떻게 제작되었나요? 생산 과정에서 강제 노동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확신할 수 있나요?’등의 질문을 하지 않고 또 우리가 던질 수 있는 질문들이 아니며, 우리는 그저 무관심에 굴복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레스트 이사는 이어 “지금 말하고자 하는 것은, 소비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의류나 식품류 생산망에서 강제노동이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Walk Free Foundation’은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브라질, 이탈리아, 러시아 등 경제 강국 지도자를 대상으로, 해당 국가로 수입되고 판매되는 모든 상품 및 용역의 투명한 생산과정 공개 관련 법률 제정을 설득하기 위해 이번 보고서를 발행했다.

‘Walk Free Foundation’는 이번 보고서 서문에서 “자사의 생산망에서 발생하고 있는 강제노동 착취를 능동적으로 찾아내지 않는 기업들은 ‘불타는 갑판’(burning platform: 급격한 변화를 필요로 하는 긴박한 상황) 위에 서 있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포레스트씨는 노예문제 해결을 위한 호주 정부의 조치, 즉 대기업들이 생산과정에서 강제 노동착취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영국의 ‘The Modern Slavery Act’와 같은 유사한 법률 채택을 지지한 데 대해 찬사를 보냈다.

 

■ 각 국가별 강제노동 실태

(Source : Walk Free Foundation)

종합(앤드류 포레스트 1).jpg

 

종합(앤드류 포레스트 2).jpg

호주 인권단체인 ‘Walk Free Foundation’이 전 세계 25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전 세계서 4천600만 명 이상이 현대판 노예로 강제노동 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라프는 강제노동 상황에 처한 이들이 50만 명 이상에 달하는 국가들이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앤드류 포레스트 1).jpg (File Size:27.9KB/Download:40)
  2. 종합(앤드류 포레스트 2).jpg (File Size:19.6KB/Download:3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51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50 호주 ‘COVID 부스터샷’,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보다 강한 보호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9 호주 베레지클리안 전 NSW 주 총리, 연방 모리슨 총리 ‘구애’ 사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8 호주 2차 접종 후 부스터샷 기간 5개월로 앞당겨, 오미크론 확산 대비 차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7 호주 연방 재무장관, “호주경제 회복 중... 오미크론에 과민반응 자제”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6 호주 5-11세 어린이 COVID-19 백신, 내년 1월 초부터 접종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5 호주 NSW 주, ‘Small Business Fees and Charge Rebate’ 2천 달러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4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15일부터 3단계 완화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3 호주 상위 ‘금수저’들이 재학 중인 NSW 주의 사립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2 호주 ‘알파’에서 ‘오미크론’까지... COVID-19 변이 바이러스 명칭과 특성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1 호주 문 대통령의 호주 방문을 보는 호주 전문가들의 시각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1140 호주 빅토리아 주 St Andrews Beach, 올해 주택가격 상승폭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9 호주 시드니 지역 경매 낙찰률 다소 하락, 주택가격도 떨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8 호주 NSW-Victoria, ‘오미크론’으로 일시 중단됐던 입국자 규제 철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7 호주 매일 일정량의 요구르트 복용, 고혈압 관리 필수 식품 될 수 있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6 호주 “우리 모두 일상으로 돌아가고 2022년에도 안전을 유지할 수 있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5 호주 지난 10년 사이 NSW 공공 부문 성별 임금격차 크게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4 호주 아만다 로리, ‘마일즈 프랭클린’이어 ‘Prime Minister's Literary Award’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3 호주 COVID-19 백신접종... 바이러스 장기 질환 위험, 과연 줄여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2 호주 ‘Australia's Welfare 2021’… 전염병 사태에서의 호주 복지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1 호주 NSW 주 모바일 과속 단속 카메라 벌금, 지난 12개월 동안 4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30 호주 취임 두 달 맞는 NSW 주 페로테트 주 총리, 주요 내각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9 호주 오미크론 변이 중증은 백신으로 보호, 확산은 계속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1128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호황 이어갔던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7 호주 연방 내각, 감염자 밀접 접촉자 격리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6 호주 ‘Services Australia’의 ‘팬데믹 병가 지원금’, 수혜 대상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5 호주 기록적인 COVID-19 환자 입원 수치 불구, 감염자의 심각한 위험성은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4 호주 연방정부, 호주입국 국제학생-백패커에게 비자 수수료 환불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3 호주 기후변화 지속... 호주인들, 영상 50도의 위험한 폭염에 익숙해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2 호주 감추어져 있던 호주의 흑역사... “호주 역사서를 업데이트할 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1 호주 만약 빠른 항원검사에서 COVID-19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1120 호주 브리즈번 주택 임대료, 지난해 연간 성장률에서 모든 도시 ‘압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9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8 호주 COVID-19 감염 차단의 필수품, 가장 좋은 안면 마스크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7 호주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2020년 호주인 기대수명’ 0.7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6 호주 ‘델타’ 변이 이후 호주 경제 회복세...일자리 붐으로 실업률 급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5 호주 세계보건기구, “COVID-19 극단적 단계는 올해 끝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4 호주 COVID-19와 함께 한 호주의 2년... 감염자 1명에서 188만 9757명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3 호주 COVID-19 감염 관리... 증상은 무엇이고 언제 진료를 받아야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1112 호주 지난해 광역시드니 대부분 지역 주택가격, 최대 5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11 호주 2021년 주택 구매자들의 수요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멜번 남동부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10 호주 2021년도 호주 주택가격, 1980년대 이후 가장 큰 22%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9 호주 중국의 높은 관세 부과로 호주 와인산업, 10억 달러 규모의 시장 상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8 호주 호주 소비자들, 신용카드 지불 증가 속 현금 사용도 여전히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7 호주 COVID-19 관리... 감염 후 한 달 이내 재감염 가능성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6 호주 NSW 주 정부,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방역지침’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5 호주 NSW 주 정부, ‘오미크론 영향 받은 기업 회생 패키지’ 10억 달러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4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3 호주 서부호주 ‘미저리 비치’, 호주정부관광청 선정 ‘2022 최고의 해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1102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오미크론’에서 파생된 새 변이 바이러스 출현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