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몽골,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 제2회 2016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포럼 참가한다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 오는 8월 6일 토요일, 제2회 2016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의 국외 현황과 활성화’ 포럼을 서울 동자 아트홀에서 오후 1시부터 개최한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6/06/02 [14:34]
 
 
【UB(Mongolia)=Break News GW】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가, 오는 8월 6일 토요일, 종이문화재단(KPCF=Korea Paperculture Foundation & WJJO=World Jongie Jeopgi Organization, 이사장 노영혜), 범국민단소불기운동본부(본부장 박희덕)와 공동 주최로, 제2회 2016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의 국외 현황과 활성화’ 포럼을, 서울 동자 아트홀(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327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KDB생명타워 B2)에서 오후 1시부터 개최한다.

 
2015072424566750.jpg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 오는 8월 6일, 제2회 2016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의 국외 현황과 활성화’ 포럼을 서울 동자 아트홀에서 오후 1시부터 개최한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본 포럼에는 권재일 한글학회 회장과 유인촌 전 문화관광부 장관이 외빈으로 자리를 같이 하며, 이에 앞서, 오전 10시부터는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 총회가 개최된다.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는, 지난해 2015년에는, 제1회 ‘2015 한국어와 한국문화 세계화 전략’ 포럼을, 8월 8일 토요일,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소재 종이문화재단(KPCF)의 종이나라빌딩 2층 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 포럼은 제2회째가 된다.

 
2015080907519375.jpg
지난해 2015년,  8월 8일 토요일,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소재 종이문화재단(KPCF)의 종이나라빌딩 2층에서 열린 제1회 ‘2015 한국어와 한국문화 세계화 전략’ 포럼 현장. 앞줄 가운데가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회장인 심용휴 미국 이스턴미시간대학교 교수이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본 포럼의 공동 주최 기관인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회장 심용휴 미국 이스턴미시간대학교 교수)는, 지난 2013년 8월 대한민국에서 열린 2013년 재외 한국어 교육자 국제학술대회를 계기로, 세계 각국의 현지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육자(교수 및 교사)들 간의 상호 협력과 유대 강화를 목적으로 하여 지난 2013년 8월 16일 금요일 오후 2시 30분 서울에서 공식적으로 출범된 학술 단체이다.
 
2015030358361005.jpg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와트크=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회장 심용휴 미국 이스턴 미시간대학교 교수) 공식 로고.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지난 2013년 재외 한국어 교육자 국제학술대회 참가 차 잠시 고국을 방문 중이던 재외 한국어 교육자들은 그 해 2013년 8월 16일 금요일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소재 종이문화재단(KPCF)의 종이나라빌딩 2층 202호 회의실에서 오전 10시 30분부터 회의를 갖고 장장 4시간에 걸친 열띤 토의 끝에 오후 2시 30분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의 공식 출범을 완료한 바 있다.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와트크=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창립 회의 현장. (2013. 08. 16).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요컨대,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의 공식 출범에 앞서, 당시 '2013 재외 한국어 교육자 초청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했던 재외 한국어 교육자들은, '지구촌 현지 외국인 교육 담당 재외 각급 교육 기관 교육자들 간의 지구촌 네트워크화(化)의 열악한 실정'을 중시하고, 일부 교육자들 간의 1차 회의 및 전체 교육자들 간의 2차 회의를 진행해, '지구촌 한국어 교육의 진흥을 위해서 지구촌 현지 외국인 교육 담당 재외 각급 교육 기관 교육자들 간의 네크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재외 한국어 교육자들의 뜨거운 애국심을 바탕으로 하는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의 창설을 찬성하는 서명'을 그 해 2013년 8월 10일 토요일에 완료했다.
 
2013081730334267.jpg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와트크=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창립의 근거가 된 '2013 재외 한국어 교육자 초청 국제학술대회' 참가 재외 한국어 교육자들의 서명 목록. (2013. 08. 10).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실상, 같은 한국어 교육이라고 하더라도, 한국어학과 또는 강좌가 개설된 지구촌 현지 대학 교수 및 강사, 현지 국공립 및 사립학교 한국어 교사 등을 포함한 국외거주 재외 한국어 교육자가 주도해 나가는 한국어 교육 환경은, 외교부와 재외동포재단(OKF)이 지원하는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지구촌 각국 한글학교 주관의 한국어 교육 환경이나,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NIKL)이 지원하는 세종학당재단(KSIF) 주관의 한국어 교육 환경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다.

바로 이런 점이, '2013 재외 한국어 교육자 초청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한 한국어학과 또는 강좌가 개설된 지구촌 현지 대학 교수 및 강사, 현지 국공립 및 사립학교 한국어 교사 등을 포함한 국외거주 재외 한국어 교육자들이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를 창설하게 된 근본 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2015112346532553.jpg

하지만,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가 명실공히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앞글에 쓴 바 대로, 지구촌 각국에 퍼져 있는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회원들이 해마다 단지 총회 참석을 위해 모두 서울에 집결하기란 쉽지 않은데다가, 게다가, 행사 개최를 위한 재원 마련을 감당하기란 녹록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어와 한국문화 세계화 작업에는 남녀노소, 지위고하, 학연, 지연, 경제력, 권위, 명예, 유무명, 학력과 지식의 차이, 여야 정파, 이념, 기타 등등의 구분이 결코 있을 수 없다. 본 기자는 이 사실이 절대적 진실임을 굳게 믿는다.

바야흐로, 한국어와 한국문화 세계화를 위한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World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회원들의 견인불발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지구촌 한인 동포들의 물심양면의 가일층의 성원과 지지가 더욱 소망스러워지는 시점이다.

한편, 몽골 현지에서는,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본 포럼에 단독으로 참가한다.

 
2014052827216656.gif
▲몽골 현지에서는,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본 포럼에 단독으로 참가한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 집행부 명단
2015030358361005.jpg
▲회장 : 심용휴(미국, 이스턴 미시간대학교 교수)
▲자문위원 : 이병화(중국, 베이징화지아대학교 명예 총장)
▲수석 부회장 : 박춘태(중국, 베이징화지아대학교 교수)
▲부회장 : 강외산(몽골, 몽골인문대학교 교수, 홍보이사 겸임), 김경숙(캐나다, 앨버타주립대학교 교수), 조미화(스페인, 국립바르셀로나대학교 교수)
▲사무총장 : 현재 공석
▲기획이사 : 현재 공석
▲대외협력이사 : 주철수(중국, 헤이룽장성 헤이룽장둥팡대학교 교수)
▲재무이사 : 김명희(캐나다, 맥길대학교 교수)
▲홍보이사 : 강외산(몽골, 몽골인문대학교 교수, 부회장 겸임)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k1_left_t.gif   k1_right_t.gif
 
2012060402216889.jpg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k1_left_bt.gif   k1_right_bt.gif
 
 
 
 
 
imgt_sns.gif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6/06/02 [14:34] 최종편집: ⓒ 2018breaknews.com
  • |
  1. 2015030358361005.jpg (File Size:14.8KB/Download:6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22 캄보디아 프놈펜 FTA활용지원센터, 부산세관 수출입기업지원센터 자문받아 뉴스브리핑캄.. 21.07.29.
1621 캄보디아 내가 코로나19 양성이라면?... 자가 대처 가이드 숙지해야 뉴스브리핑캄.. 21.07.29.
1620 캄보디아 캄보디아 정부, 중국·러시아와 원자력 협정 체결 뉴스브리핑캄.. 21.07.29.
1619 캄보디아 프놈펜 좋은학교 ‘MK들을 위한 시냇물교실’ 열어 뉴스브리핑캄.. 21.07.29.
1618 캄보디아 캄보디아 당구 여제 스롱피아비, 한국서 '스롱피아비 챔피언십' 개최 뉴스브리핑캄.. 21.08.13.
1617 캄보디아 프놈펜 한글학교 14일 2학기 '온라인' 개학 뉴스브리핑캄.. 21.08.13.
1616 몽골 [몽골 특파원] 독일 유한나 씨, 제13-14회 통합 캐나다 민초해외문학상 대상 수상 file GWBizNews 21.08.26.
1615 캄보디아 캄보디아 한류 홍보 서포터즈 첫 출범 'SNS 통해 한국 문화 알린다' 뉴스브리핑캄.. 21.08.27.
1614 캄보디아 일성건설, 캄보디아 48번 국도 개선공사 계약 체결 뉴스브리핑캄.. 21.08.27.
1613 몽골 [Alex Kang] KBS월드 한민족 네트워크 몽골 소식 제44탄(2021. 09. 01) file GWBizNews 21.09.01.
1612 몽골 KBS 한민족 하나로 몽골 소식 제69탄 file GWBizNews 21.09.03.
1611 캄보디아 대사관, 제13대 한인회장 공정 선거 위한 적극 지원 약속 뉴스브리핑캄.. 21.09.09.
1610 캄보디아 재캄 노인회 로컬 NGO 취득 "노인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 주며 가치 증명할 것" 뉴스브리핑캄.. 21.09.09.
1609 캄보디아 코이카, 캄보디아 국립창업보육센터 기공식 개최 뉴스브리핑캄.. 21.09.09.
1608 캄보디아 한인회 사랑나눔에 함께해요! 오는 13일(월) 생활고 겪는 교민에게 생필품·방역용품 전달 뉴스브리핑캄.. 21.09.09.
1607 몽골 몽골 강외산 교수, 대한적십자사 헌혈 유공장 명예장 수훈 file GWBizNews 21.09.10.
1606 캄보디아 Cam Capital Plc, 굿네이버스 통해 초등학교 교육환경 개선사업 지원 뉴스브리핑캄.. 21.09.16.
1605 캄보디아 캄보디아 태권도인의 축제 2021 주 캄보디아 대사배 태권도 대회 성료 뉴스브리핑캄.. 21.09.16.
1604 캄보디아 프놈펜한국국제학교 중·고등학교 설립 간담회 열어 뉴스브리핑캄.. 21.09.16.
1603 캄보디아 교육은 즐겁게! 공평하게! 이화소셜서비스가 만들고 싶은 특별한 온라인 교육 뉴스브리핑캄.. 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