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 보상).jpg

NSW 주 정부의 사회기반 시설 계획으로 시드니 몇몇 주택 소유자들은 집을 팔지도 못한 채 떠나고 있으며 보상금도 평균 부동산 가격보다 턱 없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쿠링가이에 살고 있는 쉘리 영(Sheryll Young)씨 가족. 그녀의 주택 역시 주 정부 건설 계획에 부지가 포함되어 일반에 판매할 수 없게 되었다.


전문가들, 관련 법 허점 많아... 해당 가구들 ‘고통’

 


쉐릴 영(Sheryll Young)씨는 만약 그녀 소유의 주택을 판매할 계획이 있어 부동산 회사에 내놓으면 카운슬이 구매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 2008년 영씨 가족은 세계 금융위기 이후 5년간의 손실을 만해하기 위해 집을 팔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더 높은 가격을 받기 위해 은행 융자를 받아 집을 수리했다.

 

이후 이들은 부동산의 에이전트를 고용했으며 에이전트는 이 집의 부지가 새 도로 건설을 위해 묶여 있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카운슬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다른 이에게는 판매를 할 수 없는 주택으로 지정되어 있다는 얘기다.

 

쿠링가이(Ku-ring-gai) 카운슬은 잠재 구매자들에게 수차례 걸쳐 카운슬이 이 주택을 매입할 것이라고 알렸다. 최근 카운슬은 몇 달 안에 이 집의 가치를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영씨 가족에게 통보했지만 지난해까지만 해도 이러한 협상 자체는 존재하지 않았다.

 

더욱이 카운슬에서 평가한 주택가격은 현재 시드니 부동산 시장 가격보다 몇 십만 달러 못 미치는 금액이었다.

 

그녀는 이 집으로 인해 가족의 삶 여러 면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전하며, 더 이상 이곳은 우리의 보금자리도, 또 안정적인 가정도 아니라고 하소연했다.

 

카운슬의 계획 담당자는 이러한 낡은 집들을 사회기반 시설을 위한 목적이 없다 하더라도 매매하지 못하도록 몇 년 간 묶어 둘 수가 있다.

 

변호사들은 법의 허점으로 인해 시드니에 살고 있는 몇몇 가족들은 그들이 집을 팔지 못한 채 떠나기도 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측면을 포함해 다른 여러 병폐들로 인해 NSW 주 정부의 의무적 매입제도를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얼마 전 NSW 주 예산안이 발표되면서 또 다른 지역의 몇몇 부동산들은 사회기반 시설 건설 부지에 포함되어 매매가 안 될 가능성도 있다.

 

주 정부의 의무적 매입제도로 인한 분쟁 건을 100회 이상 맡았던 니콜라스 브런튼(Nicholas Brunton) 변호사는 리버풀에 살면서 5년 넘게 다른 집을 구입하기 위해 카운슬 의해 평가된 자신의 주택 가격을 재조정해달라고 청원하고 있는, 나이든 커플을 포함해 현재 세 명의 고객이 영씨와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브런튼 변호사는 “카운슬에서 주택 소유자들을 유린하고 있으며, 이들은 불면증에 시달리는 등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의무적 매입 법(compulsory acquisition law)이 2006년에 개정되었고 카운슬은 이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시장가격과는 독립적으로 부동산 가격을 산정하여 다른 구매자들의 접근을 막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내 고객은 60대 후반으로 여러 연금등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다른 소득은 없다”면서 “리버풀 카운슬은 그들의 독립적인 보상금 측정으로 합당한 보상을 해달라는 내 고객의 청원을 거절했다”고 말했다.

 

슬래이트 앤 고든(Slater and Gordon) 사 부동산 분야 빈센트 부쳐(Vincent Butcher) 대표는 “2012년 사회기반 시설 건설 계획으로 적어도 웨스턴 시드니의 20개 이상 주택이 건설부지 안에 포함되었고, 현재 지루한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하며 “카운슬이 적극적으로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부동산 소유자들이 원하는 것은 집을 다시 구매하는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보상금을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5년간 NSW 주 정부에 의해 1천 개 이상의 부동산이 강제로 매입됐다. 쿠링가이 카운슬은 이번 영씨 가족의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답변을 회피한 채 성실하게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만 전했다.

 


정영혁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01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여성, 2차 대전 당시 영국군 탱크 팔려다가 제동 NZ코리아포.. 19.06.05.
2400 뉴질랜드 투명 배낭에 담겨 주인과 함께 등산하는 고양이 NZ코리아포.. 19.06.05.
2399 호주 NT 다윈 시내서 총기 난사 사건 발생…4명 사망 톱뉴스 19.06.05.
2398 호주 호주, 겨울 시작과 함께 눈, 강우, 강풍…역대급 ‘강추위’ 기습 톱뉴스 19.06.05.
23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모스만 주택, 잠정 가격에서 101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6 호주 미국서 호주여성 수천명 개인정보 단돈 $60에 유출돼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5 호주 시드니 겨울 즐기기- ‘Pier One’ 호텔의 이글루 테마 상품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4 호주 미래 인터넷 환경... ‘중국 vs. 서양’의 디지털 냉전 시작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3 호주 호주 공정근로위원회(Fair Work Commission) 최저임금 3% 인상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2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1 호주 노동당 앤서니 알바니스 대표, 야당 내각 명단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90 호주 호주 최고 부자들, 평생 50배 이상 부 축적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89 호주 “주택 가격 하락, 끝이 보인다” 부동산 전문가들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88 호주 북부호주 다윈 시내서 총기난사 사고 발생, 호주사회 ‘충격’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87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사상 최저 1.25%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86 호주 NSW 주, 셀렉티브 스쿨 늘리고 영재교육 프로그램도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2385 뉴질랜드 "반갑다 슬로프야!" 주말 Mt Hutt 스키장에 수천명 몰려 NZ코리아포.. 19.06.10.
2384 뉴질랜드 긴 시간 스크린 들여다보는 습관, 어린이 안구 건조증 초래 NZ코리아포.. 19.06.10.
2383 호주 호주당국, 시가 12억 달러 규모 밀반입 마약 적발 톱뉴스 19.06.12.
2382 호주 호주 국가 가사 개정 ‘공론화’ 톱뉴스 19.06.12.
238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헨리(Henley) 소재 주택, 잠정 가격에서 25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80 호주 광역 시드니 100-300만 달러대 주택 마련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9 호주 Start the Chat... “자녀들과 자주 대화를 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8 호주 배수구 양말 (Drain Sock) 이라고 들어보셨나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7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 전용 버스 ‘Strathfield Connector’ 블루루트 운행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6 호주 호주에 세계 최초 NASA 해외 우주로켓 발사지 설립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5 호주 Do you know? 12 The Best Public Arts around Sydney city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4 호주 연방 국회의원들 연봉 오른다... 최저 21만1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3 호주 “시드니 관광산업의 가장 큰 고객은 호주 현지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2 호주 1.25%의 사상 최저 기준금리... 모기지 절약은 얼마?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1 호주 NSW 주, 첫 주택구입자들에게 2년간 8억5천만 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70 호주 연방정부 예산 1580억 달러 소득세 감축안, 상원통과 불확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13.
2369 호주 럭비 스타 이스라엘 폴라우 “동성애는 죄악, 동성애자는 사탄” 톱뉴스 19.06.18.
2368 호주 아다니 광산개발 프로젝트 최종 승인...시위 격화할 듯 톱뉴스 19.06.18.
2367 뉴질랜드 이라크 내 NZ군 파견기지 "로켓 공격 받아, 부상자는 없어" NZ코리아포.. 19.06.18.
2366 뉴질랜드 CHCH 테러 영상 퍼트린 남성, 21개월 징역형 선고받아 NZ코리아포.. 19.06.18.
2365 뉴질랜드 70%이상 키위 운전자, 도로에서 운전 분노 NZ코리아포.. 19.06.18.
2364 뉴질랜드 호주 추방자들로 인해 "국내에서 갱단도, 마약 판매도 크게 늘었다" NZ코리아포.. 19.06.18.
2363 뉴질랜드 통계청, 매 시간마다 사람들 움직임 추적 방안 도입 NZ코리아포.. 19.06.20.
236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61 호주 자동차 업계 화제- Lexus RC F Track Edition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60 호주 호주 10대 청소년들의 성 관련 조사, “The kids are all right...”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59 호주 12 best public arts around Sydney city(2)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58 호주 Victoria 주 안락사 허용, 호주 최초로 ‘조력자살’ 법안 발효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57 호주 "감기 조심하세요!" 올 겨울 독감 극성, 병원들 환자로 넘쳐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56 호주 2019-20 NSW Budget - 공교육 부문 및 교통 인프라 건설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55 호주 2019-20 NSW Budget -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9.06.20.
2354 호주 ‘살인 독감’ 호주 전역서 맹위….독감 사망자 NSW주 50명 돌파 톱뉴스 19.06.25.
2353 호주 BTS ‘조롱’ Ch9, 방탄소년단 팬에 ‘사과’…"인기 강조한 유머" 해명 톱뉴스 19.06.25.
2352 뉴질랜드 안락사 관련 법안, 2차 독회 통과 NZ코리아포.. 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