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ncouver.jpg

 

 

주정부 이번에도 반대 입장, 재정부 "부동산 개발로 주거 공간 늘리는 것이 우선"

 

지난 해 "거래가 상위 5%에 해당하는 부동산에 추가 양도세를 부과하자"고 주장했던 그레고 로버트슨(Gregor Robertson) 밴쿠버 시장이 이번에는 "소유주가 있으나 거주하지 않는 빈 집에 추가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소유주가 거주하지 않는 주거 공간을 임대를 통해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세금의 목적"이라며 "주민들은 생활 공간을 얻고 소유주는 부가 수입을 얻는 것으로 서로 윈-윈이다. 한번 탄력을 받으면 지역 문화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고가 부동산 양도세에 반대했던 BC 주정부는 이번에도 반대 의사를 보였다. 재정부는 공식 성명을 통해 '밴쿠버의 빈집 비율은 지난 십여 년 동안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집 값 상승과도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응답했다. 또 '부동산 개발을 통해 주거 공간을 늘리는 것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버트슨 시장이 매번 주정부의 역할을 강조하자 일부에서는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일도 있을텐데 너무 주정부에만 책임을 전가한다'는 비난도 들려오고 있다. 그러나 시장은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 시청이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 주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477 캐나다 1~4월의 불법약물로 인한 사망, 지난 해보다 75% 증가 밴쿠버중앙일.. 16.06.14.
8476 캐나다 BC 주민 4/5, '소유주만 있고 거주자 없는 부동산에 특별 세금 부과해야' 밴쿠버중앙일.. 16.06.14.
8475 캐나다 클락 수상, 어린 시절 겪은 성폭력 경험담 고백 밴쿠버중앙일.. 16.06.14.
8474 캐나다 '제5회 캐나다-한국 의회 토론회' 개최 밴쿠버중앙일.. 16.06.14.
8473 캐나다 멀고 먼 길 돌아 온 포트 맥 주민들 CN드림 16.06.14.
8472 캐나다 핏불 싸움 말리던 여성, 부상입고 병원 옮겨져 밴쿠버중앙일.. 16.06.17.
8471 캐나다 아트 갤러리에서 모인 시민들, '미 올란도 총격 희생자' 추모 밴쿠버중앙일.. 16.06.17.
8470 캐나다 UBC 대학 새 총장, 일본계 캐나다인 산타 오노 밴쿠버중앙일.. 16.06.17.
8469 캐나다 밴쿠버 6월은 '이탈리아 이민자의 달' 밴쿠버중앙일.. 16.06.17.
8468 캐나다 교통 경찰, 로히드 역 발생 폭력 가해자 찾아 밴쿠버중앙일.. 16.06.17.
8467 캐나다 신재경 의원, 6.25 참전 유공자회 회원과 간담회 가져 밴쿠버중앙일.. 16.06.17.
8466 미국 기적의’ 곡물 퀴노아 인기 열풍 코리아위클리.. 16.06.17.
8465 미국 플로리다 기업 퍼블릭스, 포춘지 선정 전미 87위 코리아위클리.. 16.06.17.
8464 미국 디즈니월드 애니멀 킹덤 올해부터 대대적 변신 코리아위클리.. 16.06.17.
8463 미국 전자상거래 늘면서 미국 '배달 문화' 확산 코리아위클리.. 16.06.17.
8462 미국 수영장 소독제가 땀과 섞이면 위험 물질 방출 코리아위클리.. 16.06.17.
8461 미국 플로리다 국립공원 에버글레이즈는 ‘시체 처리장’? 코리아위클리.. 16.06.17.
8460 캐나다 웨스트밴에서 홍수, 주민 수십 명 대피 밴쿠버중앙일.. 16.06.18.
» 캐나다 로버트슨 시장, "빈집 별도 세금 부과" 주장 밴쿠버중앙일.. 16.06.18.
8458 캐나다 UBC, BCIT에 이어 SFU 대학도 교내 성폭력 사건 조사 중 밴쿠버중앙일.. 16.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