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테러리스트).jpg

최근 참수된 시리아 정부군의 목을 들고 찍은 사진을 트위터에 올려 충격을 준 바 있는 칼레드 샤로프(Khaleed Sharrouf). 시드니 태생으로 이라크 및 시리아 반군 테러단체에 가담해 활동하는 그의 소셜 미디어가 호주 일부 젊은이들을 ‘워너비’(wannabe)로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호주 젊은이들, 미화된 내용-왜곡된 이슬람 해석에 열광...

IS 활동 호주인 테러리스트들, 새로운 ‘워너비’들에게 영감 제공

 


시드니 출신의 IS(Islamic State) 테러리스트 칼레드 샤로프(Khaled Sharrouf)처럼 젊고 감수성이 예민한 지하디스트(Jihadist)의 소셜 미디어 팬들이 자국 내에서의 가장 큰 테러 위협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이 경고했다.

 

ISIL(Islamic State of Iraq and Syria)로 알려진 IS 테러 단체를 추종하는 일단의 호주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이 대테러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시드니 출신으로 중동으로 건너가 IS 반군 단체에 가담해 테러 활동을 벌이는 샤로프와 모하메드 엘로마르(Mohamed Elomar)는 참수한 시리아 정부군의 목을 들고 있는 끔찍한 사진과 생생한 동영상, 심지어 샤로프의 어린 아들이 살해당한 정부군의 목을 들고 있는 사진까지 트위터에 올려 충격을 주고 있으며(본지 1104호 보도), 이들이 올린 사진과 동영상은 젊은 시드니사이더(Sydneysider)의 열광적인 팔로워(follower)를 확보하고 있다.

 

이들이 트위터에 올린 이 같은 끔찍한 장면에는 ‘알라가 보상할 것’이라는 등의 댓글과 함께 테러 활동을 노골적으로 지원하는 메시지 등이 이어지고 있다.

 

체육교사로 펀치볼(Punchbowl)에 거주하는 한 페이스북 사용자는 이라크에서 반군으로 활동 중인 샤로프에 대해 “우리가 그리워하는 정말 좋은 형제”라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비롱(Birrong)에 거주하는 또 다른 네티즌은 ‘F’로 시작되는 극심한 욕설을 달아 호주 정부와 경찰, 미국을 비난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호주의 대테러 당국은 이미 체포 영장이 발부되어 호주로 돌아오는 즉시 체포될 샤로프와 엘로마르의 테러 활동이 소셜 네트워크에서 미화되고 있다며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메시지와 사진 공유 등을 포함해 이들의 테러 관련 활동이 두드러지게 드러난 가운데 보안 당국은 국가안보 위협 수준을 ‘중간’ 단계로 설정했다. 이는 테러발생 가능성을 의미하는 수준이다.

 

글로벌테러연구센터(Global Terrorism Research Centre)의 그렉 바튼(Greg Barton) 교수는 “호주에서의 가장 큰 위협은 보스턴 폭탄 테러나 영국군인 리 릭비(Lee Rigby)의 해킹처럼 순박한 개인에 의해 저질러지는 테러 공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곳 호주에서 우리가 대처해야 하는 것은, 한편으로 주류(mainstream)가 아닌 사람들, 다른 한편으로는 단단한 사회적 관계를 가진 사람들”이라며 “만약 이들이 동료나 친구들에게 아무런 말도 없이 테러 행위를 저지를 지식이 있다면 이를 성사시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고 경고했다.

 

지난 2009년, ‘올해의 호주인상’(Australia of the Year Awards) 수상자이자 라켐바 스포츠클럽(Lakemba Sports Club) 회장인 자말 리피(Jamal Rifi) 박사는 “이들(IS에 가담해 활동하는)은 자신의 증오와 이슬람에 대한 왜곡된 해석으로 소셜 미디어를 채우고 있다”고 비난했다.

 

금주 수요일(13일) 엘로마르가 되려고 하는 한 트위터로부터 협박을 받기도 했던 리피 박사는 “우리는 이런 외톨이들에 대해 우려하지만 이들 일부 키보드 전사들의 아픈 곳을 사정없이 건드려야 한다”면서 “이들은 (테러에 대한) 열기를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주 화요일(12일), 호주 다문화 공영방송인 SBS는 ‘인사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뱅스타운(Bankstown)에 거주하는 열아홉 살의 IS 지지자 아부 바크르(Abu Bakr)의 여권이 취소된 배경을 전하기도 했다.

 

호주 정보국인 ASIO(Australian Security Intelligence Organisation)는 아부 바크르가 극단적 이념을 갖고 있으며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단체에 가입하고자 해외로 나갈 계획임을 확인했다.

 

울릉공 대학 테러연구를 담당하는 아담 돌닉(Adam Dolnik) 교수는 “샤로프는 주목받기를 갈망하는 새로운 ‘워너비’(wannabe. 좋아하는 인기인의 외모·복장 등을 흉내 내며 그들을 영웅시하고 닮아가려 하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돌닉 교수는 “대담한 것처럼 보이는 샤로프의 허세에 고무된 호주의 젊은이들, 특히 생각이 같은 이들의 의욕을 진작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바튼 교수는 “약 2개월 전까지만 해도 연방 경찰은 물론 각 주 경찰은 소셜 미디어가 테러 환경에서 얼마만큼 중요한지 깨닫지 못했었다”고 말했다.

“칼리드 샤로프는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할 능력이 없었을 터이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해 영웅이 되면서 보다 큰 영향력을 갖게 됐다”는 게 바튼 교수의 분석이다.

 

이와 관련, 연방 법무부 대변인은 “우리(호주)에게 해를 끼칠 의도는 물론 능력을 가진 개개인에 대한 정보를 확보했다”면서 “ASIO가 호주내에서의 테러에 대한 구체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확보함에 따라 전반적인 테러 위협 수준은 더 높아졌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1 뉴질랜드 향후 20년 이내, 뉴질랜드에 2백만명 비만 환자 예상 NZ코리아포.. 18.07.05.
3550 뉴질랜드 키위 5명중 3명, 한달에 한 번 이상 온라인 물품 구입 NZ코리아포.. 18.07.05.
354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시드니 하버 전망 아파트, 높은 낙찰가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8 호주 건설현장 사망원인 1위, ‘고공 작업장’ 안전문제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7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3개월 연속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6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5 호주 호주 최고 권위의 방송대상, Logies awards 2018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4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올해 공사 개시... 비행경로는 미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3 호주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바람직하다?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2 호주 100달러 위조지폐 기승... 의심 위조지폐 신고 및 배상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1 호주 고령연금, 해외여행 시에도 받을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0 뉴질랜드 과거 고소공포증이었던 사업가, 70미터 번지 점프 건설 계획 NZ코리아포.. 18.07.06.
3539 뉴질랜드 수술 대기중이었던 환자 44명, 이름이 사라져... NZ코리아포.. 18.07.06.
3538 뉴질랜드 1달러 항공요금, 사기범들의 조작 NZ코리아포.. 18.07.06.
3537 뉴질랜드 휴식없는 14시간 근무, 노예처럼...택배 기사의 힘듬 NZ코리아포.. 18.07.06.
3536 뉴질랜드 수 백 마리 닭 풀어, 무지개 도마뱀도 잡고 달걀도 전달하고... NZ코리아포.. 18.07.06.
3535 호주 호주 낙농업계, 기술이민 확대 촉구 톱뉴스 18.07.09.
3534 호주 호주 무역 수지 5개월 연속 흑자행진…호주 달러화 급등 톱뉴스 18.07.09.
3533 호주 시드니 웨스트 페난트힐즈 10대 남매 사살 용의자 '아버지' 숨진채 발견 톱뉴스 18.07.09.
3532 뉴질랜드 ‘Steam Veggies’ 상표 달린 수입 냉동식품 리콜 중 NZ코리아포.. 18.07.10.
3531 뉴질랜드 추격하던 범인에게 물어뜯긴 경찰견 NZ코리아포.. 18.07.10.
3530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발견된 시신 “부검 불구 여전히 사인은 ‘미상(unexplained)’” NZ코리아포.. 18.07.10.
3529 뉴질랜드 연어 양식회사의 이사로 나서는 빌 잉글리시 전 총리 NZ코리아포.. 18.07.10.
3528 뉴질랜드 의료 진단서로 자녀들 등교 안 시키며, 학교 야외 활동만...엄마 유죄 NZ코리아포.. 18.07.10.
3527 뉴질랜드 기내 통화로 벌금 부과받은 교통부 장관 NZ코리아포.. 18.07.10.
3526 뉴질랜드 뉴질랜드대학생 절반 이상.우울증 스트레스 등 학업 중단 심리 NZ코리아포.. 18.07.11.
3525 뉴질랜드 40%이상의 학교에서 설탕 듬뿍 든 음료 판매 중 NZ코리아포.. 18.07.11.
352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7월 첫주... 대부분 주택, 잠정 가격에 못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3 호주 NSW 주 다문화 지역사회 사업 지원금, 17만 달러 책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2 호주 M4 상의 Northern Road 교차로, 밤 시간 일시 ‘폐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1 호주 ‘Sydney Metro West’... 소요시간별 일자리 창출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0 호주 24시간 대중교통 운행, 시드니 밤 문화 되살릴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9 호주 흡연... ‘급성백혈병-여성 불임 원인’ 인식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8 호주 각계 전문가들이 본 ‘피어몬트 브릿지’ 개선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7 호주 노동당 원로 제니 맥클린 의원, 정계은퇴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6 호주 만취 여성고객 2명 도로변에 방치한 한인식당에 벌금 부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5 호주 NSW 주 살인사건 40% 이상, ‘가정폭력’ 연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4 뉴질랜드 미-중 간 무역 전쟁, 뉴질랜드와 호주 달러에도 영향 미쳐 NZ코리아포.. 18.07.12.
3513 뉴질랜드 NZ, 비자 면제국 순위 공동 7위, 뉴질랜드 여권 파워 하락 NZ코리아포.. 18.07.12.
3512 뉴질랜드 어린이 조기 교육센터, 아동 학대 등 불만신고 339건 NZ코리아포.. 18.07.12.
3511 뉴질랜드 카드로나 스키장 “국내 최대 규모로 확장한다” NZ코리아포.. 18.07.12.
3510 뉴질랜드 NZ 최저임금 등 인상 향후 5년간 계속... NZ코리아포.. 18.07.13.
3509 뉴질랜드 온라인으로 구입한 총기, 문 앞에 그냥 두고 가버린 택배회사 NZ코리아포.. 18.07.14.
3508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로 몰려든 전국의 ‘레고(Lego)마니아들’ NZ코리아포.. 18.07.14.
3507 뉴질랜드 뉴질랜드 병원 직원들-매일 폭력에 노출되는 사건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3506 뉴질랜드 키위 아기를 아프게 하는 매독 감염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3505 뉴질랜드 CHCH를 무대로 활동했던 미국 NASA의 ‘하늘 천문대’ NZ코리아포.. 18.07.16.
3504 뉴질랜드 무인 양심가게에서 예쁜 꽃들 훔쳐간 도둑 NZ코리아포.. 18.07.17.
3503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인도로 가던 20대 나이의 국제선 탑승객, 심장마비로 숨져 NZ코리아포.. 18.07.17.
3502 뉴질랜드 경찰의 자동차 추적 건수, 지난 8년간 60%이상 증가 NZ코리아포.. 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