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교제 통해 등록금 등 충당하는 여대생들 증가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국 여대생들 사이에서 학자금 융자나 장학금, 아르바이트 등 전통적 방식을 떠나 소위 ‘원조교제’식으로 학비나 생활비를 충당하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같은 교재에서 남성을 ‘슈가 대디’로 여대생을 ‘슈가 베이비’로 표현하고 있다.

콜롬비아대학 장학생인 한 여성은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학우와 방세를 분담하거나 잡일을 해보기도 했지만 여전히 돈이 모자랐고 학교 공부 따라가기에도 벅찼다.

자신의 장래를 위해 이름을 밝히지 않은 이 여성은 가장 적은 노력으로 가장 많은 돈을 얻을 만한 일거리를 찾기 위해 결국 인터넷 사이트를 뒤졌고, 슈가 대디 사이트에서 가장 활발한 네트워크에 접속했다.

이 여성은 현재 두명의 남성과 교제중이다. 이중 한 사람과는 가끔 만나는 것으로 거리를 두고 있고, 다른 사람은 보이프랜드로 삼고 있다. 후자의 남성은 매달 여성의 생활비와 아파트세 등 정기적 자금 지원을 하고 있다. 여성은 최근 <에이피 통신>에서 자신이 학교 졸업 후에도 확실한 일자리를 얻을 때까지 계속 이같은 교제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콜롬비아대학 여대생은 양심의 가책이 뒤따른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행위가 미국의 부동산 파동으로 인한 경제 문제 그리고 학자금 정책 불합리성에 따른 것이라 합리화했다.

대도시 이어 중소 도시까지 널리 퍼져

인기 원조교제 웹사이트는 현재 원조 교제가 가장 인기 있는 지역으로 미국 양대 대도시인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을 꼽았다. 이들 지역 평균 월세는 2천불정도이다.

지난 해 <올랜도 센티널>은 슈가 대디 남성의 평균 나이는 44세이며, 상대 여성들에게 선물과 용돈 명목으로 사용한 액수는 월 평균 3745달러라고 보도한 바 있다.

2년전 만 해도 한 인기 사이트내 남성 회원 비율면에서 올랜도가 최상위를 차지했고, 지난해에는 텍사스 오스틴과 더불어 애틀랜타, 라스베이거스, 보스톤 등 미국 유명 도시들이 상위에 오른 바 있다. 원조교제가 미 전역에서 폭넓게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콜롬비아 여대생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2006년에 "재정보조 방편(alternative to financial aid)"이란 명목으로 만들어졌고, 2011년부터는 여대생들에게 부과하던 월 30불짜리 회원 가입비를 없앴다. 남성 회원비는 멤버십 수준에 따라 월 70 달러에서 180 달러까지.

웹사이트는 동성애자도 연결하며, 남학생들에게는 ‘슈가 마미’까지 연결하고 있다.

원조교제 웹사이트는 은밀한데다 학계에서 연구 조사를 거의 펼치지 않은 분야인 탓에 사이트 활용자수를 정확히 집계하기란 불가능하다.

다만 한 인기 교제 사이트는 전 세계적으로 학생 사용자가 2010년에 7만9400명에서 올해는 190만 명으로 뛰었다고 밝혔다. 또 연중 회원 등록이 가장 많은 때는 대학 등록금 납부 시기인 8월과 1월이다.

원조교제 사이트, 전통적 데이트 사이트와 달라

원조 교제 사이트 운영자들은 남성 회원이 부자라는 것을 제외하면 보통 남녀 데이트 사이트와 다를 바 없다고 항변한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원조 교제가 성매매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사이트에서 만나 결혼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전통적인 남녀 교제를 이끌기 보다는 서비스와 대가를 목적으로 남녀 합의가 이뤄지는 장소라는 것이다.

콜롬비아 여대생도 원조 교제가 자신에게는 일종의 일자리인 셈이며 여러면에서 이익을 준다고 했다. 경제적인 면은 물론 여행도 하고 자신의 처지로는 맛 볼 수 없는 도시 문화를 경험하고 산다는 것이다.

전미 성폭행 리소스 센터(National Sexual Violence Resource Center)의 크리스텐 하우저는 성과 돈이 오가는 곳에는 힘의 불균형에 따른 위험이 항상 도사린다고 경고한다. 또 웹사이트 회원들 상당수가 떳떳한 교제임을 내세운 나머지 자신의 정체성을 일정 수준 밝히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이 차후 이어지는 삶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리란 보장도 없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실제로 ‘섹스와 머니’ 관련 여러 사회적 현상은 인터넷 시대에 더욱 은밀하고 기발한 형태로 윤리적 명암을 구분하기 힘든 회색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때로 세상 밖으로 튀어나와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기도 한다. 지난해 '불륜조장' 사이트 애슐리 매디슨의 회윈 정보 해킹 여파로 자살자가 발생한 것이 한 예이다.
 

sugar.jpg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457 캐나다 BC 교육부, 오카나간 지역 83번 교육청 위원회 해산시켜 밴쿠버중앙일.. 16.06.18.
8456 미국 미국 대학교육 이수 부적격 학생 부지기수 코리아위클리.. 16.06.18.
8455 미국 혼이 나가버린 올랜도.... '세상에서 가장 슬픈 도시'가 되다 코리아위클리.. 16.06.19.
8454 캐나다 거침없는 노틀리 주수상, “내뱉은 말은 반드시 실천” CN드림 16.06.21.
8453 캐나다 연방 정부와 BC, 메트로 지역 교통 투자 합의 밴쿠버중앙일.. 16.06.21.
8452 캐나다 도슨 크릭 홍수, 다리 난간에 걸린 차량 일가족 구한 영웅들 화제 밴쿠버중앙일.. 16.06.21.
8451 캐나다 밴쿠버 경찰, "약물복용자들 경찰 두려워해 현장 출동 최소화" 밴쿠버중앙일.. 16.06.21.
8450 미국 올랜도 뒤덮은 5만 촛불 "동성애자도 보호 받아야" file 코리아위클리.. 16.06.21.
8449 캐나다 클락 수상 홍수 피해 지역 방문, 복구 예산 6천 5백만 달러 지원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8 캐나다 웨스트밴 경찰, 곰 습격 차량 사진 공개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7 캐나다 코퀴틀람 노숙인 보호시설 폭탄 신고, 다행히 폭탄 발견되지 않아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6 캐나다 폐교 반대 리치몬드 학부모들, 얍 MLA 사무실 앞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6.23.
8445 캐나다 밴쿠버 교육청 폐교 후보 명단 발표, 대부분 초등학교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4 캐나다 또 다시 핏불에 물린 부상자 발생, 이번에는 써리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3 캐나다 포트만 요금 피하는 영상 인터넷에 올라와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2 캐나다 범죄율 증가 칠리왁, 게츠 시장 "경찰 인력 증원 필요" 밴쿠버중앙일.. 16.06.24.
8441 미국 교과서 공부를 비즈니스 하듯 신중히 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16.06.25.
8440 미국 플로리다 인기 주택시장… 큰 곳은 중부에 몰려 코리아위클리.. 16.06.25.
» 미국 미국 사회의 회색지대, ‘슈가대디’ 원조교제 사이트 코리아위클리.. 16.06.25.
8438 미국 연방수사국, 올랜도 총기난사 사건 타임라인 밝혀 코리아위클리.. 16.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