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총기 1).jpg

지난 1996년 포트 아서 총기 학살 사건 이후 존 하워드(John Howard) 정부가 개인 소지 총기의 강제 환매 등 총기 법을 강화한 이후 이로 인한 사망자 비율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드니대학 연구팀 분석... 미 당국도 호주 총기규제 법 주목

 

20년 전, 포트 아서 총기 학살 사건이 나면서 곧바로 제정된 총기법이 발효된 이후, 총기로 인한 사망자가 감소했을 뿐 아니라 자살자 비율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주 금요일(24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관련 연구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권위 있는 미국 저널지 JAMA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총기 환매가 권총 자살 감소 경량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총기 대신 다른 방법으로 사망할 수 있다는 인식은 잘못되었음이 입증된 셈이다. 이미 감소 추세에 있던 자살 비율도 더 하락했다.

이번 보고서의 수석 저자인 시드니 대학 사이먼 채프먼(Simon Chapman) 명예교수는 지난 1979년에서 1996년 사이, 5명 이상의 피해자 발생을 기준으로 13건의 대량 학살이 있었지만 그 이후에는 한 건도 발생되지 않았다.

채프먼 교수는 “그러나 삶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총기 사건으로 생명을 잃는 일이 일상적으로 발생되며, 총기 사망의 가장 큰 카테고리는 자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연구 보고서는, 만약 전체 사망 사건을 놓고 볼 경우 포트 아서 학살 사건 이전에도 자살 등 개별적인 죽음이 줄어드는 상황이었으며, 이 사건을 기해 발효된 총기 관련 개정 법으로 더욱 줄어들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당시 존 하워드(John Howard) 수상은 포트 아서 총기 난사로 인한 학살 사건이 발생하자 총기 관련 법을 강화했다. 이 법에는 연속 사격이 가능한 장총을 금하며, 허용되지 않은 총기를 강제 환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원들은 이번 총기 관련 연구에서, 1996년 총기 법이 강화되기까지의 17년, 그리고 이후의 의도적 사망 비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포트 아서 사건 이전의 경우 총기 사망을 포함해 자살 건수는 매년 1% 증가했다. 반면 강화된 총기 법이 도입(1996년)된 이후 이 수치는 매년 1.5%가 감소했다.

또한 96년 이전, 총기와 관련이 없는 살인과 자살 수치도 매년 2.1%가 증가했으나 총기 법이 발효된 이후 이 같은 추세는 반전돼 연간 1.4%가 줄어들었다.

이 같은 자살 수치 감소에 대해 보고서는 “(총기와 같은) 치명적 자살방법 선택이 불가능해졌고 또 각 개개인에 대한 향상된 병원의 트라우마 치료, 개인 휴대전화 소지로 빠른 응급서비스 요청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다만 총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의 자살 비율이 감소했고, 살인사건 역시 총기로 인한 사망자 발생보다 더욱 큰 규모였지만, 이것이 강화된 총기 법에서 기인하는 것인지는 증명되지 않았다.

지난 6월14일, 미국 역사상 최악의 올랜도 총기난사 사건을 겪은 미국은 기존의 총기 규제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이번 연구를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총기로 인한 사망자 비율은 호주에 비해 23배가 높으며, 지난 12년 사이 공격용 무기, 권총 등에 의한 사망자는 3배가 증가했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필립 알퍼스(Philip Alpers) 교수는 호주와 미국의 문화-정치적 차이로 미국이 호주의 방법을 따라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알퍼스 연구원은 “어찌 됐든 존 하워드 전 수상이 교도소 수감이라는 협박을 통해 개인 무기를 압수한 것은 바람직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미국에서도 통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포트 아서 총기 학살 사건은...

1996년 4월28일 타스마니아(Tasmania) 소재 포트 아서(Port Arthur)에서 28세의 마틴 브라이언트(Martin Bryant)가 총기를 난사해 35명이 사망하고 23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은 사건이다. 포트 아서는 호주 식민지 초기 감옥 등 대표적인 유적지 중 하나로, 당시 사망자 가운데는 일본인 관광객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사건 후 체포된 브라이언트는 지적 장애자로 밝혀졌으며, 가석방 없는 종신형에 처해졌다. 현재 그는 호바트(Hobart) 인근에 있는 중범죄인 교도소인 ‘Risdon Prison Complex’의 정신질환자 수용소인 ‘Wilfred Lopes Centre’에 수감되어 있다.

종합(총기 3).jpg

1981년에서 1996년 사이, 총기로 인한 사망자는 32%가 감소했으나 총기 법이 강화된 이후인 1996년에서 2014년 사이 총기 사망자는 64%가 줄어들었다.

-Source: gunpolicy.org, ABS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총기 1).jpg (File Size:54.6KB/Download:46)
  2. 종합(총기 3).jpg (File Size:40.0KB/Download:5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01 호주 호주 중앙은행, “토지개발 제한이 집값 40% 상승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400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6399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397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396 호주 호주 중앙은행,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 모기지 보유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39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94 호주 호주 중립 금리 3.5% 설 파장…RBA 부총재 긴급진화 나서 톱뉴스 17.07.25.
6393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6392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391 호주 호주 주택위기 심화... 구입 경제성, 3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390 호주 호주 주택시장 사상 첫 1억 달러 대저택 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6389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6388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6387 호주 호주 주택대출 부채 사상 최고 file 한호일보 16.03.30.
6386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385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384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6383 호주 호주 주택가격 다시 오름세 조짐 톱뉴스 17.08.01.
6382 호주 호주 주택 시장- 호바트, 홀해도 주택시장 상승세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0.
6381 호주 호주 주택 시가 총액 6조 달러…증권 거래소 및 퇴직연금 적립액 2배 톱뉴스 17.07.23.
6380 호주 호주 주택 거래량 반등했지만 판매 규모는 20년 전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6379 호주 호주 주택 가격,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국 -0.4%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6378 호주 호주 주요 복지 단체들, “법인세 인하 막아달라”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6377 호주 호주 주요 도시의 지역별 인구성장 격차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4.04.
6376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6375 호주 호주 주 총리(Premier)들, 세계적 전염병 사태 속 ‘SNS 스타’로 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08.14.
6374 호주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12월 인천∼골드코스트 취항…’파격적 항공료’ 톱뉴스 19.10.30.
6373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6372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370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9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6368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6367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19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할 것” …확진 368명 사망 6명 호주브레이크.. 20.03.17.
6366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6365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4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6363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636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6361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360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59 호주 호주 정계,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는 ‘여-야 한목소리’ file 헬로시드니 20.09.04.
635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357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356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355 호주 호주 젊은이들, 말레이시아서 ‘국기모독’으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354 호주 호주 젊은이들 자살비율, 지난 10년 이래 ‘최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353 호주 호주 젊은이들 3명 중 1명, “외롭지만 친구 사귀기 힘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6352 호주 호주 젊은 수학자, 런던 왕립학회 최연소 회원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