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png



더니든 남성이 99글자의 이름으로 개명을 하는 데에 성공해 법적으로 허용된 이름 중 가장 긴 이름을 갖게 되었다. 노먼비 출신의 22세 남성은 ‘풀 메탈 하보크 모어 섹시 엔 인텔리전트 댄 스포크 앤 올 더 수퍼히어로즈 콤바인드 위드 프로스트노바(Full Metal Havok More Sexy N Intelligent Than Spock And All The Superheroes Combined With Frostnova)라는 이름을 갖게 되어 내무성이 최대 길이로 제한하는 100글자에서 단 1글자만이 모자라게 되었다.



한 온라인 보디빌딩 포럼에 올라온 글의 작성자는 자신이 이 남성의 친구라고 밝히며 이 남성이 이름을 바꾸게 된 이유가 포커 내기에서 지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내무성은 해당 이름의 변경 신청이 2010년 3월에 접수되었으며 신청자가 돈을 지불하고 양식을 올바르게 작성하였으며, 신청한 이름에 결격사항이 없었다고 말했다. 내무성은 이 남성이 변경비용 127달러와 함께 정확하게 작성한 양식을 제출하면 언제라도 다시 이름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름 변경에는 통상 8일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무성의 규칙에 따르면 새 이름은 하나의 성(姓)과 하나 이상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신청자가 서면을 통해 종교적, 신념적 혹은 문화적 관습으로 인해 하나의 이름밖에 가질 수가 없다고 설명하는 경우에는 예외가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불필요하게 긴 이름, 혹은 직함이나 관등 등을 포함한 이름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2008년에는 한 소녀의 이름이 ‘하와이에서 온 훌라 춤을 추는 탈룰라(Talula Does The Hula From Hawaii)’로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법원에서 부모를 지탄하며 개명할 것을 요구했다. 이름은 숫자나 특수문자도 포함할 수 없다.



최근에는 폐하(Majesty), 왕(King), 기사(Knight), 공주(Princess), 판사(Justice), 항문(anal), V8, 89, 두려움 없는 마피아(Mafia No Fear), 루시퍼(Lucifer) 등의 단어 및 숫자와 온점(.) 그리고 별(*) 등의 특수문자를 포함한 이름에 대한 개명신청이 기각되었다. 2007년에는 한 키위 부부가 자녀의 이름을 4리얼  슈퍼맨(4Real Superman)으로 지으려고 했으나 숫자가 들어갔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 이들은 아이의 이름을 슈퍼맨으로 하는 데에 타협했으나 비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계속해서 4리얼로 부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3 호주 ‘웰빙 한식의 세계화’ 주제로 한 ‘Korean Food Festival’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142 호주 호주 노던 테러토리 현지에 한국 타악기의 새로운 매력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141 호주 “호주 동포사회, ‘자주성 회복 위한 선열들의 한 마음’ 생각할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140 호주 시드니서 전한 ‘K-히스토리’... 동포 예술가들의 ‘광복절 프로젝트’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139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6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138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한국 도자의 예술성-실용성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137 호주 류병수 전 시드니한인회장, 향년 75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36 호주 세계인의 축제로 발돋움한 ‘금산인삼제’ 9월30일부터 11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35 호주 번역문학가 김소라씨, 호주서 한국문학 작품 소개 활동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34 호주 시드니 도심 한복판에서 360도 영상으로 접하는 한국의 사계절 풍경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33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7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32 호주 ‘제마이홀딩스’ 이숙진 CEO, ‘장보고 한상 어워드’ 국회의장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131 호주 ‘2022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이달 22일부터 시드니 올림픽 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130 호주 “우리 모두 한가위와 같은 풍성한 미래 만들어갑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29 호주 “청소년들 모두 열정을 갖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 감동적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28 호주 40년 현장 대기자의 진단, “한국 언론의 문제는 정치 지형과 맞물려간다는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27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8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26 호주 호주 학생들의 ‘한국어로 선보인 문화경연’... 미술-공연 부문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125 호주 3년 만에 다시 열리는 전국체육대회를 보며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124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9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