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분향소).JPG

시드니 한인회관에 마련된 합동분향소. 목요일(1일) 오전 현재까지 200여 동포들이 이곳을 방문,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했다.


200여 동포들 분향소 방문... 김봉현 대사, 서면 통해 애도 밝혀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시드니한인회(회장 송석준)는 희생자들의 애도하기 위해 금주 월요일(28일) 크로이든 파크(Croydon Park) 소재 시드니 한인회관 소강당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호주지회(회장 김영신)와 공동으로 마련된 이 합동분향소에는 목요일(1일) 오전 현재 시드니 한인사회 각 단체 관계자, 영사관 관계자 및 일반 교민 등 200여명이 방문, 국화꽃을 헌화하며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시드니 한인회는 당초 분향소를 오늘(2일, 금)까지 마련하기로 했으나 4일(일요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합동 분향소에는 유가족들을 위한 모금함도 마련되어 있다.



김봉현 대사,


미디어 통해 애도 뜻 밝혀



한편 김봉현 주호주 대사는 금주 화요일(29일) 한인 미디어에 보낸 서한을 통해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와 함께 가족을 잃은 이들을 향한 안타까움을 전했다.


김 대사는 “사고수습을 위하여 정부와 민간이 합동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수의 실종자들이 구조되지 못하고 있다”며 “저 역시 국가 공무원의 한 사람으로서 이번 사고에 대하여 참담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으며 사고가 발생한 이후로 지금까지 실종자들이 생환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기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대사는 또 “본국은 지금 국민 모두가 슬픔 속에 잠겨 있으며 아마도 한국 국민들은 모두가 자책을 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전하며 “그러나 우리가 슬픔에만 젖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이러한 사고가 두 번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국가적인 개조작업을 시작해야 하고, 모든 면에서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것이 어린 학생들의 희생을 그나마 위로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대사는 “이를 위해서 우리 모두 조그만 규정이라도 잘 준수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며 “우리는 규정을 위반하면서 속도를 내기보다는 규정을 철저히 지키는 가운데 우리의 재능을 살리고 남들이 못하는 새로운 창조를 하면서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대사는 “우리 모두 세월호의 슬픔을 이겨내면서 새롭게 태어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당부한 뒤 “위기 속에서도 의인의 길을 선택하였던 세월호 승무원 박지영 양을 회상하면서 (주호주 한국) 대사관도 스스로 자책하고 거듭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3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정체성 강화’ 취지의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12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0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121 호주 ‘예외적’ 국적이탈 절차 신설한 국적법 개정안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120 호주 ‘Brisbane Writers Festival 2023’ 프로그램 ‘중점 국가’에 ‘한국’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119 호주 호주에서 즐기는 궁궐 프로그램... 한국문화원 ‘궁, 날개를 달다’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118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1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117 호주 2022년을 대표하는 ‘줌마델라’들의 화려한 무대, ‘K-줌마패션쇼’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116 호주 호주 동포들, 이태원 사고 사망자 애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115 호주 대한민국 해군 순항훈련전단, 6년 만에 시드니 입항... 군사외교 활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114 호주 오세영 시인, 호주 작가들과 작품세계 대담 예정... 시 낭송 시간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113 호주 KCC 등 동포 사회단체, 이태원 사고 사망자 애도 분향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11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2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111 호주 배우 이정은씨, 올해 ‘Asia Pacific Screen Awards’서 ‘최우수 연기상’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110 호주 한국 및 호주의 국제관계 전문가들이 진단하는 평화 통일과 양국 관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109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MCA와 공동으로 다양한 한국문화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108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3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107 호주 평통 아태지역회의, 5번째 한국전 참전용사 디지털 회고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106 호주 글로벌 ‘한류’의 한 축이 된 K-Beauty, 호주에서도 바람 이어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105 호주 다윈 기반의 작가 소냐 마르티뇽씨, 올해 KAAF 미술공모 대상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104 호주 “차세대 청년들의 역량 강화, 한인 커뮤니티 공동의 이익으로 이어질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