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실).jpg

연방정부의 Budget 2014의 보건 분야 예산 감축으로 NSW 주 정부는 공립병원 침실 축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마이크 배어드 수상 언급... 주 정부 부담 약 10억 달러

 


지난 주 발표된 연방 정부의 2014년 예산안과 관련, 각계의 우려와 문제점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NSW 주 마이크 배어드(Mike Baird) 수상이 연방 정부의 보건 분야 예산 삭감으로 주 정부 입장에서는 최소 300여 개의 병실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약 30%에 달하는 연방 정부의 보건 분야 예산 삭감은 오는 7월1일부터 적용된다.

배어드 수상은 “연방의 예산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보건 분야의 위협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지적하며 “그럼에도 이 같은 예산 삭감을 주 정부에서는 감당할 방법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방의 보건 예산 삭감으로 NSW 주 정부가 떠안게 되는 부담은 약 10억 달러로 예상된다.

배어드 수상은 “연방 보건 예산 삭감은 우리 주뿐 아니라 모든 주와 테러토리 사람들이 병원 서비스는 물론 제반 건강보건 혜택에서 제외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NSW 야당인 노동당 내각의 보건부 앤드류 맥도널드(Andrew McDonald) 의원은 “이번 겨울(7월), 수백 개의 병실이 폐쇄되는 것은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맥도널드 의원은 보건 예산 삭감으로 인한 타격을 보건 분야 상황에 빗대 “우리는 지금 대형 유행성 독감이 막 시작되는 시점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300여 침실 폐쇄는 NSW 주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것”이라며 “운영 방식을 달리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관리 시스템에서 줄어든 비용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맥도널드 의원은 “의사나 간호사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게 마련이며 이는 어느 지역의 병원이든 마찬가지”라면서 “결국 이번 보건 분야의 예산 삭감은 모든 환자들이 더 오래 (치료를 받기 위해) 기다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ABC 방송은 금주 월요일(19일) “모든 주 및 테러토리 정부는 이 같은 예산안의 실행을 앞두고 연방 보건 분야 관계자와의 긴급회의를 요청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 호주 캐서린 오도넬 작가, 'Still Lives'로 KAAF의 올해 미술공모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42 호주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호주 한인 종합 문예지 첫 호 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4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8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40 호주 ACC Hospice,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단체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9 호주 올해 ‘세계 장애인의 날’ 기해 관련 한인단체,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8 호주 시드니 지역 '한국음식점', 약 40%는 '바비큐 레스토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7 호주 "갖가지 쓰레기 줄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6 호주 “호주사회에 한반도 평화통일 당위성-북 인도적 지원 사업 주력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5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7 호주한국신문 21.11.18.
234 호주 ‘또 하나의 별을 노래하자’... 동포 청소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33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시드니총영사관, ‘호-한 수교 60주년 사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32 호주 ‘오백나한’, 호주서 선보이는 '깨달음을 얻은 성자'의 얼굴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3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9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30 호주 제20대 대선, “특정 후보가 어떤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지를 살펴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9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28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2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26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25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2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