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캠시 푸드 1).jpg

캠시 안작 몰(Anzac Mall) 광장에 마련된 한국문화원 부스 앞에서 한국음식 샘플을 받고자 기다리는 사람들.

 

음식 이벤트 진행, 형형색색의 대형 잡채와 김치요리 선보여

 


주시드니 한국문화원(원장 이동옥)이 지난 주 토요일(31일) 캠시 중심가에서 진행된 캠시 푸드 페스티벌에 주역 중 하나로 참가, 한국음식을 홍보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캠시 중심가인 비미시 스트리트(Beamish Street)에서 열린 이날 페스티벌에서 한국문화원은 한국음식의 맛과 멋을 알린다는 취지로 김치전과 김치볶음밥 만들기 시연회와 개막식 행사로 대형 잡채 만들기 및 김치볶음밥 섞기 이벤트를 진행했다.

 

한식시연은 문화원 한식요리강좌 강사이자 호주 SBS 방송 음식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시드니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정 헤더(Heather Jeong)씨가 진행했다. 문화원은 김치전과 김치볶음밥 시연 후 각각 100인분의 음식샘플을 제공해 이를 맛본 관람객들의 감탄을 받았다.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대형 잡채 만들기와 김치볶음밥 흔들기 이벤트였다. 12시에 진행된 공식 개막식 직후 주최 측인 캔터베리 카운슬(Canterbury Council) 내빈들과 함께 잡채를 직접 비비고 또 김치볶음밥을 직접 도시락 통에서 섞어보는 특별 이벤트가 진행됐다. 이동옥 한국문화원장, 브라이언 롭슨(Brian Robson) 캔터베리 시장과 린다 버니(Linda Burney) 의원은 잡채를 손으로 직접 비비기도 하고 김치볶음밥을 전통 도시락 통에 흔들어 섞어보기도 하며 시종 일관 즐거운 모습을 보였다. 이후 300인분의 잡채가 관객들에게 제공되었고 이를 받기 위해 수백 명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장관이 연출되기도 했다.

 

당일 음식시연과 대형 잡채 만들기 이벤트를 준비한 정 헤더씨는 “이번 행사는 다시 한 번 한식의 세계화에 앞장서는 가슴 뿌듯한 날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동옥 한국문화원장은 “2012년도 캠시음식축제에서부터 주요행사를 한국음식으로 수놓아 매우 뿌듯하다”며 “특히 개막식 이벤트로 대형 비빔밥과 떡메치기에 이어 올해에는 대형잡채 및 김치요리 행사를 통해 3년 연속 한국음식이 주제가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원장은 향후 시드니 내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음식축제에 보다 많은 한인업체가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한편 한국 문화원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안작 몰(ANZAC Mall) 중앙무대 부근에 인포메이션 부스를 설치하여 한국문화 소개 책자 및 한국요리 안내서, 한국 관광 브로슈어 등 다양한 홍보물을 배포했다. 또한 농심 시드니 지사에서도 이번 축제에 참여, 컵라면 시식 행사 등을 진행했다.

 

캔터버리 시에서 주최하는 캠시음식축제는 매년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인파가 모여드는 시드니의 대형 음식축제 중 하나로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헝가리, 포르투갈, 일본, 태국, 터키 등 전 세계 여러 나라의 전통요리를 맛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행사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3 호주 대양주-NZ 한인회총연합회, 통가 거주 동포에 구호물품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02 호주 NSW 주 HSC 시험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01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투표소 등서 20대 대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0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199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98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19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196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95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9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193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9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191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190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89 호주 “잊지 않습니다, 우리 영웅들의 평화 염원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88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6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87 호주 전문가가 보는 정부 이민정책- ‘단기직종’의 천형 풀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86 호주 NSW 주 일대의 극심한 홍수... 한인동포 피해 농장주들, 망연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85 호주 이번에는 ‘K-뷰티’다... 한국문화원, 한국의 뷰티 제품 알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84 호주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한국영화’로 호주 각 도시 순회 상영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