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헤리티지 파손 1).jpg

시드니 도시개발 계획을 담당하는 ‘광역시드니위원회’의 루시 턴불 위원장이 ‘웨스트커넥스’(WestConnex) 건설 과정에서 하버필드(Haberfield) 문회유산 보호구역에 있는 수십 채의 헤리티지 주택이 철거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몰랐다”는 말로 일관,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철거가 진행되고 있는 1900년대 초반 하버필드의 헤리티지 주택.

 

‘WestConnex’ 공사 중 하버필드 소재 문화유산 주택 철거 관련

야당, “시드니 도시계획 추진 기구에서 상황 파악조차 못해” 비난

 

시드니 도심에서 서부 지역을 잇는 도로 인프라 프로젝트인 ‘웨스트커넥스’(WestConnex) 건설 과정에서 하버필드(Harberfield) 소재 대규모 문화유산(heritage) 주택을 철거한 것이 알려진 가운데, 이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광역시드니위원회’(Greater Sydney Commission)의 루시 턴불(Lucy Turnbull) 위원장이 “헤리티지인 것을 알지 못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금주 화요일(1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루시 턴불 위원장은 하버필드 주택들의 파손에 대한 비난이 일자 이날(16일) A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웨스트커넥스’ 도로 확장 작업이 하버필드를 통과하는지에 대해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도로 계획에 따르면, 하버필드의 문화유산 보호 지역의 ‘웨스트필드’ 확장구간에는 50여 채 이상의 헤리티지 주택이 포함되어 있다.

이날 ABC 방송이 ‘하버필드의 헤리티지 철거에 대해 우려했는가?’라고 묻자 루시 턴불 위원장은 “하버필드 주변?”이라고 되물은 뒤 “(도로 확대를 위해) 하버필드에 주택을 철거해야 하는지 알지 못했다”면서 “분명히 말하지만 하버필드의 많은 헤리티지를 잃게 된다는 것을 몰랐었다”고 덧붙였다.

턴불 위원장의 이 같은 답변은 광역 시드니 도시 개발을 계획, 감독하는 위원회 책임자로서 헤리티지 건축물이 철거되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했던 것을 인정하는 것이어서 비난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턴불 위원장은 “조사를 해 볼 터이지만 현 시점에서 이미 철거가 진행 중”이라며 “파라마타(Parramatta)나 펜리스(Penrith) 쪽으로 운전하다 보면 건설이 진행 중인 사실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해 무책임한 발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턴불 위원장의 이런 발언은 실제로 NSW 야당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올 1월, NSW 자유당 정부가 현 연방 수상인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의 부인인 루시 턴불을 광역시드니위원회 위원장으로 지명했을 당시에도 야당인 NSW 노동당은 이에 대한 비난을 자제했었다.

섬머힐(Summer Hill) 지역구의 노동당 소속 주 하원의 조 헤일런(Jo Haylen) 의원은 “광역시드니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헤리티지 건축물이 많은 하버필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믿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헤일런 의원은 이어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에서도 하버필드의 오랜 주택들을 철거하는 것에 대해 ‘호주 역사에서 아주 소중한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것’이라 묘사했다”며 “그럼에도 턴불 위원장은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인지조차 파악을 못하고 있다”고 직적접인 비난을 쏟아냈다. ‘내셔널 트러스트’는 호주의 문화유산을 관리하는 정부 기구이다.

그럼에도 턴불 위원장은 변명으로 일관했다. 이날 오후 턴불 위원장은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와의 인터뷰에서 “하버필드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웨스트커넥스 첫 두 영역 공사가 계획, 설계될 당시 자신은 광역시드니위원회라는 조직에 없었다”며 비난에서 빠져나가려는 언급만 되풀이 했다.

그녀는 “M4 상의 웨스트커넥스 부분은 오래 전에 결정된 것이며, 광역시드니위원회가 구성되기 이전에 시드니에서 일어난 모든 사항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턴불 위원장은 “하버필드의 주택들이 철거된 것은 불행한 일이지만 특정 주택들이 헤리티지였던 것은 몰랐다”고 다시금 되풀이하면서 “광역시드니위원회는 웨스트커넥스의 세 번째 계획 구간, 즉 세인트 피터스(St Peters)에서 로젤(Rozalle)을 거쳐 애쉬필드(Ashfield)로 이어지는 터널 공사부터 관여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하버필드는 1900년대 초반 주거지로 개발되기 시작한 곳이며, 현재까지 남아 있는 이 지역의 주택 가운데 700여 가옥은 존 스펜서 스탠포드(John Spencer-Stansfield)라는 정부 건축가 한 사람이 설계한 것이다.

‘웨스트커넥스 환경영향 평가보고서’(WestConnex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에 따르면 현재 하버필드 헤리티지 보호구역(Haberfield Conservation Area)에는 53채의 당시 주택이 웨스트커넥스 프로젝트 과정에서 철거되어야 할 것이라고 되어 있다.

녹색당의 기획부 담당인 데이빗 쇼브릿지(David Shoebridge) 의원은 이와 관련, 턴불 위원장의 언급은 “상황 파악을 못하는 것이며, 또한 광역시드니위원회가 아주 비민주적임을 드러낸 것”이라고 꼬집었다.

쇼브릿지 의원은 이어 “시드니 지역사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모르는 한 사람이 시드니의 미래 계획을 담당한다는 것은 매우 큰 문제”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종합(헤리티지 파손 2).jpg

현 연방 턴불(Malcolm Turnbull) 수상의 부인인 광역시드니위원회(Greater Sydney Commission) 루시 턴불(Lucy Turnbull) 위원장.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헤리티지 파손 1).jpg (File Size:79.1KB/Download:44)
  2. 종합(헤리티지 파손 2).jpg (File Size:41.1KB/Download:4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1 뉴질랜드 향후 20년 이내, 뉴질랜드에 2백만명 비만 환자 예상 NZ코리아포.. 18.07.05.
3550 뉴질랜드 키위 5명중 3명, 한달에 한 번 이상 온라인 물품 구입 NZ코리아포.. 18.07.05.
354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시드니 하버 전망 아파트, 높은 낙찰가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8 호주 건설현장 사망원인 1위, ‘고공 작업장’ 안전문제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7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3개월 연속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6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5 호주 호주 최고 권위의 방송대상, Logies awards 2018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4 호주 시드니 제2공항, 올해 공사 개시... 비행경로는 미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3 호주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바람직하다?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2 호주 100달러 위조지폐 기승... 의심 위조지폐 신고 및 배상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1 호주 고령연금, 해외여행 시에도 받을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3540 뉴질랜드 과거 고소공포증이었던 사업가, 70미터 번지 점프 건설 계획 NZ코리아포.. 18.07.06.
3539 뉴질랜드 수술 대기중이었던 환자 44명, 이름이 사라져... NZ코리아포.. 18.07.06.
3538 뉴질랜드 1달러 항공요금, 사기범들의 조작 NZ코리아포.. 18.07.06.
3537 뉴질랜드 휴식없는 14시간 근무, 노예처럼...택배 기사의 힘듬 NZ코리아포.. 18.07.06.
3536 뉴질랜드 수 백 마리 닭 풀어, 무지개 도마뱀도 잡고 달걀도 전달하고... NZ코리아포.. 18.07.06.
3535 호주 호주 낙농업계, 기술이민 확대 촉구 톱뉴스 18.07.09.
3534 호주 호주 무역 수지 5개월 연속 흑자행진…호주 달러화 급등 톱뉴스 18.07.09.
3533 호주 시드니 웨스트 페난트힐즈 10대 남매 사살 용의자 '아버지' 숨진채 발견 톱뉴스 18.07.09.
3532 뉴질랜드 ‘Steam Veggies’ 상표 달린 수입 냉동식품 리콜 중 NZ코리아포.. 18.07.10.
3531 뉴질랜드 추격하던 범인에게 물어뜯긴 경찰견 NZ코리아포.. 18.07.10.
3530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발견된 시신 “부검 불구 여전히 사인은 ‘미상(unexplained)’” NZ코리아포.. 18.07.10.
3529 뉴질랜드 연어 양식회사의 이사로 나서는 빌 잉글리시 전 총리 NZ코리아포.. 18.07.10.
3528 뉴질랜드 의료 진단서로 자녀들 등교 안 시키며, 학교 야외 활동만...엄마 유죄 NZ코리아포.. 18.07.10.
3527 뉴질랜드 기내 통화로 벌금 부과받은 교통부 장관 NZ코리아포.. 18.07.10.
3526 뉴질랜드 뉴질랜드대학생 절반 이상.우울증 스트레스 등 학업 중단 심리 NZ코리아포.. 18.07.11.
3525 뉴질랜드 40%이상의 학교에서 설탕 듬뿍 든 음료 판매 중 NZ코리아포.. 18.07.11.
352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7월 첫주... 대부분 주택, 잠정 가격에 못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3 호주 NSW 주 다문화 지역사회 사업 지원금, 17만 달러 책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2 호주 M4 상의 Northern Road 교차로, 밤 시간 일시 ‘폐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1 호주 ‘Sydney Metro West’... 소요시간별 일자리 창출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20 호주 24시간 대중교통 운행, 시드니 밤 문화 되살릴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9 호주 흡연... ‘급성백혈병-여성 불임 원인’ 인식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8 호주 각계 전문가들이 본 ‘피어몬트 브릿지’ 개선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7 호주 노동당 원로 제니 맥클린 의원, 정계은퇴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6 호주 만취 여성고객 2명 도로변에 방치한 한인식당에 벌금 부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5 호주 NSW 주 살인사건 40% 이상, ‘가정폭력’ 연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514 뉴질랜드 미-중 간 무역 전쟁, 뉴질랜드와 호주 달러에도 영향 미쳐 NZ코리아포.. 18.07.12.
3513 뉴질랜드 NZ, 비자 면제국 순위 공동 7위, 뉴질랜드 여권 파워 하락 NZ코리아포.. 18.07.12.
3512 뉴질랜드 어린이 조기 교육센터, 아동 학대 등 불만신고 339건 NZ코리아포.. 18.07.12.
3511 뉴질랜드 카드로나 스키장 “국내 최대 규모로 확장한다” NZ코리아포.. 18.07.12.
3510 뉴질랜드 NZ 최저임금 등 인상 향후 5년간 계속... NZ코리아포.. 18.07.13.
3509 뉴질랜드 온라인으로 구입한 총기, 문 앞에 그냥 두고 가버린 택배회사 NZ코리아포.. 18.07.14.
3508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로 몰려든 전국의 ‘레고(Lego)마니아들’ NZ코리아포.. 18.07.14.
3507 뉴질랜드 뉴질랜드 병원 직원들-매일 폭력에 노출되는 사건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3506 뉴질랜드 키위 아기를 아프게 하는 매독 감염 증가 NZ코리아포.. 18.07.16.
3505 뉴질랜드 CHCH를 무대로 활동했던 미국 NASA의 ‘하늘 천문대’ NZ코리아포.. 18.07.16.
3504 뉴질랜드 무인 양심가게에서 예쁜 꽃들 훔쳐간 도둑 NZ코리아포.. 18.07.17.
3503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인도로 가던 20대 나이의 국제선 탑승객, 심장마비로 숨져 NZ코리아포.. 18.07.17.
3502 뉴질랜드 경찰의 자동차 추적 건수, 지난 8년간 60%이상 증가 NZ코리아포.. 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