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테러).jpg

금주 월요일(5일), 시리아의 IS 조직에 합류한 호주 출신의 테러리스트 모하메드 엘로마르(Mohamed Elomar)가 4개월 전 호주를 떠나 IS에 가담한 호주인 마흐무드 압둘라티프(Mahmoud Abdullatif)와 아부 지하드(Abu Jihad)의 사진을 온라인에 게재,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사진에는 “칼리파(Khalifa)의 땅에서 이루어진 오지(Aussie)들의 재회”라는 짧은 글이 달렸다.


중동 테러 조직 가담한 일단의 호주인들 사진 온라인 공개

 


시드니를 떠나 IS(Islamic State) 테러 조직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진 모하메드 엘로마르(Mohamed Elomar)가 시리아에 함께 머무르고 있는 호주인 동료들의 사진을 온라인에 공개, IS 조직의 호주인 테러리스트 모집이 계속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친구로 알려진 칼레드 샤로프(Khaled Sharrouf)와 함께 1년 전부터 시리아에 머물고 있는 엘로마르는 금주 월요일(5일), 호주인으로 테러 조직에 가담한 마흐무드 압둘라티프(Mahmoud Abdullatif)와 아부 지하드(Abu Jihad)의 사진을 온라인에 게재했다. 이들은 약 4개월 전, 멜번을 떠나 시리아 지역 IS 조직에 가담했다.

 

이 두 남성은 멜번에 거주할 당시 엘로마르와는 안면이 없었던 사이였으며, 시리아 IS 조직에서 처음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이 게재된 트위터에는 “칼리파(Khalifa)의 땅에서 이루어진 오지(Aussie)의 재회”라는 짧은 설명글이 함께 올라와 있다.

 

이들은 시드니에 거주하는 극단 테러리스트 함디 알퀴드시(Hamdi Alqudsi)를 따라 시리아로 들어갔다. 당시 알퀴시드와 함께 시리아로 간 이들은 모두 7명으로 확인됐다.

 

웨스턴 시드니 대학의 테러리즘 및 사회학 연구원인 찬 알리(Jan Ali)씨는 “미니 네티워크의 형성은 만약 그들 중 한 명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갈 경우, 호주에 위협을 가할 힘을 축소시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개인은 위험이 덜 할 수 있지만 이중 일부가 그룹을 만들 때 그때는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어떤 조직으로서 우리에게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며 “우리는 그룹을 관리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인을 관리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반면 찰스 스터트 대학(Charles Sturt University)의 대테러 전문가 닉 오브라이언(Nick O'Brien)은 “해외에서의 호주 반대파 그룹 형성은 무언가를 실행할 그들의 동기와 의지를 두 배로 만드는 효과를 가진다”며 “당국이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반드시 모니터링 해야 한다”며 위험성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당국에 대한 더욱 큰 위험성은 이러한 미니 네트워크보다 아무에게도 그들의 계획을 말하지 않는 고독한 늑대들”이라며 “당국은 시리아에 있는 많은 호주인들이 해외 네트워크와 접촉할 지도 모르는 가능성에 대해 걱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엘로마르는 지난 12월 29일 “더 많은 호주인들이 이슬람 국가로 들어와야 한다”고 트위터에 글을 남겨 주목을 받았다. 그는 또한 친구인 칼레드 샤로프(Khaled Sharrouf)의 어린 아들이 손에 검은 권총을 들고 다른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는 사진을 게재했었다. 지난해 목이 잘린 시리아 정부군의 머리를 들고 사진을 찍었던 이 소년은 현재 1년 넘게 시리아에서 가족들과 함께 지내고 있다. 공개된 사진 속 소년의 머리는 길게 자랐으며 반바지와 티셔츠가 긴 소매로 바뀌었다.

 

엘르마르는 이슬람 지위를 확립하기 위해 자녀를 이용하는 최근 테러리스트들의 추세를 반영, 사진에 “이슬람 국가의 자식”라는 글을 달았다. 이에 대해 찬 알리(Jan Ali) 연구원은 “참수와 처참한 전쟁에 노출된 이 소년의 심리에 영구적인 파괴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혜진 기자 hjpark@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23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북한 이탈주민들, 한마음으로 ‘우리의 소원은 통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322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42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3221 호주 제22대 대한민국 국선 호주지역 재외투표율, 64.7%로 역대 최고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322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41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3219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투표소에서 22대 국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8.
3218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전통 옻칠 예술의 아름다움-다채로움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21.
3217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40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3216 호주 평생을 목재와 함께... “자연과 지역사회가 공존하는 기업 지향”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3215 호주 “재외동포 정체성 함양, 거주국에서의 지위 향상에 주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4.03.14.
3214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9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3213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NT 내륙도시 Alice Springs서 이달 순회영사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9.
3212 호주 한인 일가족 ‘비극적 삼중살인’ 발생... 유력 용의자로 태권도 코치 신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3211 호주 시드니 한국교육원, 2023년 HSC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2.22.
321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8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3209 호주 제2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호주 재외선거인 등록자 5,340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3208 호주 한국-호주 출신 작가 듀오, 한국문화원서 색다른 ‘환경’ 주제 전시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4.02.15.
3207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7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3206 호주 ‘조국사랑 독도연합회’ 고동식 회장, 한국 정부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3205 호주 ‘백세까지 호탕하게...’ 신개념 시니어 복지학교 ‘백호대학’ 개강 file 호주한국신문 24.02.01.
3204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6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