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2-bc-approved-mckenna-270916.jpg

맥키나 연방 환경부 장관(좌측 2번째)이 클락 BC주 수상(우측 2번째)이 지켜보는 가운데 프로젝트 허가를 발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영기업 페트로나스 투자 여부 아직 불투명,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도 지적받아

 

캐나다 연방정부가 BC 주 태평양 해안지역에 들어올 퍼시픽 노스웨스트(Pacific NorthWest)라는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시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연방 환경부 장관 캐서린 맥키나(Catherine McKenna)이 프로젝트 허가를 발표했고, 크리스티 클락 BC주 수상과 자원부 장관 짐 카(Jim Carr), 해양부 장관 도미닉 르블랑(Dominic LeBlanc)이 함께 자리했다.

 

맥키나 장관은 "예상 가능한 모든 환경적 영향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선행되었다. 또 해당 지역 원주민 커뮤니티들과도 긴밀하게 상의했다. 그 결과 총 190가지 환경보호 조건을 정비하였으며,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11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가 최종 허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 프로젝트 개요는 BC 주 동북부 지역에서 채취된 자원을 트랜스캐나다(TransCanada) 파이프라인을 통해 프린스 루퍼트 인근 릴루 아일랜드(Lelu Island)로 운반한 뒤 이 곳을 거점으로 아시아 지역에 액화천연가스를 수출하는 것이다.

 

프로젝트는 BC 주의 LNG 개발 산업이 난항을 겪으며 여러 차례 언론에 이름을 올렸던 말레이시아 국영 기업 페트로나스(Petronas)가 투자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페트로나스는 앞서 "캐나다 연방 정부가 지원한다면 반드시 투자할 것"이라는 입장이었으나, 이후 "전반적인 검토 작업을 거친 후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고 입장을 바꾼 바 있다.

 

프로젝트 시행 여부를 두고 가장 큰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은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이다. 캐나다 환경평가청(Canadian Environmental Assessment Agency, CEAA)은 이 시설에 대해 "캐나다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처가 될 것"이라며 "도로 위 자동차가 1백만 대 늘어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것"이라고 평한 바 있다.

 

그러나 카 자원부 장관은 "LNG 산업은 BC 주는 물론 캐나다 경제를 크게 뒷받침해 줄 것이며, 이번 프로젝트가 그 중심에 서줄 것"이라고 말했다.

발표를 접한 연방 야당들은 서로 입장을 달리했다. 보수당의 로나 앰브로스(Rona Ambrose)는 "국가 경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자유당의 선택을 당연스럽게 받아드렸다. 그러나 신민당(NDP)의 네이산 쿨런(Nathan Cullen)은 "이번 발표는 스티븐 하퍼 총리 아래 보수당이 진행한 것을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라며 "저스틴 트루도 총리가 원주민계와의 관계를 달리하겠다고 천명했으나 그는 이미 이 말을 어겼다"고 비판했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97 미국 '30년 계획' 올랜도국제공항 터미널C 9월 문 연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7.28.
1296 미국 '분기형 다이아몬드형 교차로' 경험해 보셨나요? file 코리아위클리.. 22.07.28.
1295 미국 드샌티스에 각 세우는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대선 전초전? file 코리아위클리.. 22.07.28.
1294 미국 플로리다 올해 공공 주택보험 가입자 120만 가구 육박 file 코리아위클리.. 22.07.28.
1293 캐나다 퀘벡주 환경부 장관, 비소 배출 문제 논의를 위해 루인노랜다 방문 예정 file Hancatimes 22.07.29.
1292 캐나다 르고 주총리, 트뤼도 총리에게 의료 관련 회의를 촉구 file Hancatimes 22.07.29.
1291 캐나다 캐나다 보건부 영유아 및 미취학 아동을 위한 COVID-19 백신 승인 file Hancatimes 22.07.29.
1290 캐나다 트뤼도 총리, 의료 지원기금이 ‘실질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지 확인하고 싶다고 언급 file Hancatimes 22.07.29.
1289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 원주민 교육을 위한 10억 캐나다 달러 협약 체결 file Hancatimes 22.07.29.
1288 캐나다 캐나다, 해외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COVID-19 검사 다시 시행 file Hancatimes 22.07.29.
1287 캐나다 BA.5 변이, 퀘벡주 확진자 중 절반 이상 차지 file Hancatimes 22.07.29.
1286 캐나다 퀘벡주, 의료 종사자에게 초과근무 수당 보너스 지급 예정 file Hancatimes 22.07.29.
1285 캐나다 캐나다 6월 물가 상승율 8.1% 기록…“연준 금리 다시 인상?” file Hancatimes 22.07.29.
1284 캐나다 연방정부, 원숭이두창 예방을 위해 100만 캐나다 달러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2.07.29.
1283 캐나다 의료 관계자들, COVID-19 확산 억제를 위해 마스크 착용과 백신 접종 강조 file Hancatimes 22.07.29.
1282 캐나다 퀘벡주, 25일부터 5세미만 COVID-19 백신 접종 시작 file Hancatimes 22.07.29.
1281 캐나다 25일 랭리 무차별 총격 사건 피해자들 신원 확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29.
1280 캐나다 27일 기준 전국 원숭이두창 확진자 74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7.29.
1279 캐나다 작년 전국 혐오범죄 경찰 신고 건 수 27%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2.08.03.
1278 캐나다 작년 한국 거주 캐나다 국적자는 1만 5595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