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녹색당 1).jpg

NSW 녹색당 내각의 환경 담당 메린 파루키(Mehreen Faruqi) 상원의원. 그녀는 다양한 생물종이 현존하는 생태계의 보고 중 하나인 주립 리어드 삼림지대(Leard State Forest)에서의 탄광개발은 중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공원 사냥금지 및 생태계 복원, 야생 생명체 보호 주력

 


자유-국민 연립과 노동당이 각각의 정책을 내놓으며 유권자 확보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녹색당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생 모색을 위한 환경정책으로 표심을 잡고 있다.

 

그 하나로 녹색당은 호주 석탄채굴 회사인 ‘화이트헤이븐 석탄’(Whitehaven Coal)이 추진하는 주립 리어드 삼림지대(Leard State Forest)의 탄광개발을 중단하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화이트헤이븐’ 사는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한 반대 시위에도 불구, 주립 리어드 삼림지대 내 모울스 크릭(Maules Creek)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녹색당이 내건 환경정책 가운데는 아마추어 사냥꾼의 국립공원 내 사냥 금지,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외래종 처리를 위한 1900만 달러의 예산 책정 등을 담고 있다.

 

녹색당 내각의 환경부 담당인 메린 파루키(Mehreen Faruqi) 주 상원의원은 “주립 리어드 삼림지역은 수많은 멸종위기 생물종이 남아 있는 생태계 다양성의 핵심 장소 중 하나”라면서 “다음 세대를 위해 이 지역 보존에 앞장서고 행동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민간 환경단체인 ‘리어드 산림 연합’의 앤디 페인(Andy Paine) 대변인은 녹색당의 이 같은 움직임을 반기며 ‘화이트헤이븐’이 탄광개발을 위해 삼림지대 8천 헥타르 가운데 4분의 1가량을 공터화하겠다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파루키 의원은 “녹색당 정책은 호주 에너지 산업이 100% 재생 가능 에너지로 가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한 뒤 “그런 차원에서 모울스 크릭 광산은 채굴 중단의 우선 대상에 해당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녹색당이 화석 연료 탐사 등에 대한 보상금 지급을 보장하는 법률 제정을 추진, 광산 투자자들은 석탄 채굴 및 가스 산업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이면서 NSW 주 중부 주립 필리가 삼림지대(Pilliga state forest)의 석탄가스 탐사 계획도 중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파루키 의원은 “최근 베어드 정부에서 추진한 상위 100가지 성과 가운데 환경 부문의 성과는 단 세 가지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면서 “환경관련 문제는 주 정부의 주요 정치적 성과로써가 아니라 일부로 나열되는 수준”이라고 비난했다.

 

NSW 환경기구인 자연보호위원회(Nature Conservation Council)의 케이트 스몰스키(Kate Smolski) 최고 책임자는 “이번 선거에서 녹색당만이 환경보호 정책을 언급할 뿐 다른 정당의 선거 공약에서 환경문제는 찾아볼 수 없다”면서 “광산업 허가제도 개혁, 수질 및 야생보호를 위한 강력한 정책 등 환경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유경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83 호주 2019 브리즈번 국제 학생대사 선발, 한국 대표는 이하은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16.
2482 뉴질랜드 한-뉴질랜드 경제인협의회,양국간 무역 투자 활성화 강연회 개최 중 NZ코리아포.. 19.05.15.
2481 호주 호주서 6년 ‘도피 생활’ 했던 사기단에 동포 피해자도 ‘다수’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80 호주 취재수첩- 한인회비 납부자 100명 안팎으로 한인회장 뽑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9 호주 ‘오늘을 밝히는 오월, 진실로! 평화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8 호주 설경구-전도연 주연의 ‘세월호’ 영화, 시드니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7 호주 “남북간 긴밀한 협력으로 경제교류의 길 만들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6 호주 피우진 보훈처장, 호주 거주 독립유공자 가족들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5 호주 “한국의 교육제도 및 경제 발전에 크게 감동받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4 호주 “능력 있고, 일하는 ‘우리의 한인회’ 만들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3 호주 “당신의 소중한 것도 아낌없이 주시는 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9.
2472 호주 취재수첩- 역주행 하는 선관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2.
2471 호주 “‘한인’ 혈통의 정체성 공유하는 곳, 존재 이유 재정립 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2.
2470 호주 “평통 자문위원 후보추천위, 평화-통일 활동 인사로 구성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2.
2469 호주 시드니에서도 ‘평화의 손잡기’ 이벤트 펼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2.
2468 호주 총영사관, 이달 퀸즐랜드 두 도시서 순회영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2.
2467 호주 VIC 한인회, 연방 선거 후보 초청 토론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9.05.02.
2466 뉴질랜드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정기공연 열려 NZ코리아포.. 19.04.29.
2465 호주 호주 한인 인구통계(2)- 인구 규모 및 구조, 경제활동 및 소득 file 호주한국신문 19.04.24.
2464 호주 ‘4.27 판문점 선언’ 1년... ‘시드니 평화의 손잡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