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비숍 2).jpg

‘발리나인’에 대한 이감이 실행된 금주 수요일(4일) 밤, 캔버라 국회의사당 앞에서 각 정당 대표 및 의원들이 이들의 감형을 염원하는 촛불집회를 가졌다. 사진은 촛불을 들고 있는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수상(오른쪽)과 빌 쇼튼(Bill Sorten) 노동당 대표(왼쪽).


비숍 외교부 장관, 인도네시아 외무 장관에 다시 감형 요청

 


‘발리나인’에 대한 사형 집행이 임박해지고 있는 가운데 호주 정부가 마지막까지 이들의 목숨을 살리기 위한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이들의 사형이 집행될 누사캄방간 교도소로 이송된 수요일(4일) 줄리 비숍 장관은 범죄자 교환 등 필사적인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고 목요일(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전했다.

 

지난 주 목요일(26일) 밤에도 인도네시아 레트노 마르수디(Retno Marsudi) 외무장관에게 직접 전화를 통해 이들의 감형을 요청했던 비숍 장관은 수요일, 캔버라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범죄인 이감 또는 교환 방안 등 인도네시아에서 가능한 범주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은 없지만 ‘발리나인’의 생명 연장을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 이후 비숍 장관은 ABC 방송에서도 “호주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범죄인 교환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을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장관은 이어 “자세한 내용은 아직 생각하지 않았지만 인도네시아 관련 법 하에서 자카르타에 있는 호주인 재소자, 또 호주에 있는 인도네시아 재소자의 이송이나 교환 등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임을 인도네시아 외무장관에게 전화로 설명했다”고 밝혔다.

 

비숍 장관의 이 같은 제안은 지난 1998년 호주 당국의 강력한 마약 단속에서 인도네시아 마약사범 3명을 체포, 호주 내에 수감한 데서 비롯됐다.

 

당시 인도네시아 국적의 크리스티토 만다기(Kristito Mandagi), 사우드 시레가(Saud Siregar ), 이스무난다르(Ismunandar)는 선박에 390kg의 불법 마약과 ‘글록’ 권총(Glock pistol)을 싣고 시드니 북부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로 들어오다 경찰에 적발됐다.

 

총 31개의 스포츠 가방에 담겨 있는 이 같은 양의 불법 마약은 당시까지만 해도 호주 마약단속 사상 가장 큰 규모라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으며 시가로 6억 달러에 달하는 양이었다. 이들이 운반하려던 마약 규모는 앤드류 찬과 뮤란 스쿠마란 등 ‘발리나인’이 운반하려다 적발된 마약 양보다 무려 47배나 많은 것이다.

 

당시 호주 연방 및 NSW 주 경찰, 세관 등 76명의 합동 단속반은 2대의 경찰 선박과 헬리콥터, 해군 소형 구축함을 동원, 대대적인 단속작전을 펼쳐 이들을 체포했다.

이들은 이후 재판 과정에서 무죄를 주장했으나 선장인 만다기는 가석방 없는 25년형을, 다른 2명은 20년 형을 선고받고 현재 호주의 교도소에 수감 중이다.

이외 이 선박에 타고 있는 8명의 인도네시아인은 마약운반에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석방됐다.

 

한편 수요일(4일) 밤, 캔버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양당(자유-국민 연립과 노동당) 대표를 비롯해 의원들이 참석, ‘발리나인’의 감형을 바라는 촛불 집회가 진행된 가운데 비숍 장관은 이 집회가 의미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애보트 수상은 “위도도 대통령에게 마지막으로 요청을 보냈다”고 밝혔다.

 

수상은 “호주 정부는 그동안 인도네시아 당국에 사형만은 면하게 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요청했다”고 언급하면서 “이 같은 외교적 노력으로 (두 사형수의) 사형을 면하게 될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호주인들의 간절한 바람을 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애보트 수상은 “찬과 스쿠마란은 이미 지난 날의 범죄에 대하여 충분히 뉘우치고 있으며 이들이 마약 밀수·밀매에 대한 범죄 수사대원으로서 활약할 수 있다면 불법 마약과 싸우는 인도네시아 정부로서는 자산이 될 수 있을뿐 아니라 이들의 갱생 사례가 인도네시아 수감제도에 기여할 수 있다”면서 “그들이 남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두 번째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유경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3 호주 호주 재외국민 안정, 동포사회 발전방향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12.15.
162 호주 호주 전역 한인회 관계자 중심의 동포단체 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161 호주 호주 전역의 낙후지역에 대한 정부 지원 ‘미비’ 호주한국신문 15.07.23.
160 호주 호주 전쟁기념관 벽 ‘군인 유령 사진’ 화제 호주한국신문 15.08.06.
159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158 호주 호주 정보기관, ‘국가안보 활동’서 강력한 권한 가져 호주한국신문 14.10.02.
» 호주 호주 정부, 막판까지 ‘발리나인’ 살리기 시도 호주한국신문 15.03.06.
156 호주 호주 정원 디자이너 질 매튜스가 본 한국 정원의 매력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155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154 호주 호주 주니어 탁구 대표팀, 세계선수권 티켓 확보 호주한국신문 15.05.28.
153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152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151 호주 호주 주택가격, 전 세계 최고 수준 근접 호주한국신문 15.01.22.
15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대로 인하? 호주한국신문 15.04.23.
149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2%로 인하 호주한국신문 15.05.07.
14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2.05.
147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현행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3.06.
146 호주 호주 중앙은행, 높은 부동산 가격 폐해 ‘경고’ 호주한국신문 15.08.13.
14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14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