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과 자조정신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송석춘(독자) = 최근 어느 아주머니로부터 “빚 없는 내가 최고의 부자다”라는 할아버지의 글을 잘 읽어 보았다는 전화를 받았다. 자신의 신상을 자세히 전한 아주머니는 글 속에 등장하는 하사용 옹의 새마을 운동에서 강조하는 자조정신이 자조(自助)인지 자족(自足)인지 궁금하여 전화했다고 말했다.
나는 우선 사과의 말을 전하고 하옹의 새마을 운동에서 자조정신은 자조(自助)라고 답했다. 그리고 최근 한국에서 법 시행에 들어간 김영란법 성공여부는 얼마나 많은 한국 사람들이 자조 정신을 가지고 살아가는가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내 개인적인 의견을 전했다.
아주머니는 “실례지만 할아버지 연세가 어떻게 되세요?”라고 물었다. 나는 만 80세라고 답해 주었다. 또 아주머니는 지금까지 할아버지 글 중에 더러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서 쓰는 것이 있냐고 묻기에 “나는 100% 아나로그 인생입니다” 라고 대답하며, “내 글은 모두 나의 경험에서 얻은 글”이라고 덧붙였다.
전화를 끊고 우리말 사전을 찾아보니 ‘자조’라는 단어는 서로 다른 의미가 다섯가지나 된다. 고료를 받고 쓰는 글은 아니지만 앞으로 독자들이 좀더 이해하기 쉽도록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을 다져보았다.
사실 나는 법을 공부한 적이 없으나 김영란법이 성공하려면 얼마나 많은 한국사람들이 각자의 분수에 맞게 사느냐에 달렸다고 본다. 이는 내 자신이 나름대로 자조정신을 가지고 살아왔다고 자부하는 탓에 더욱 그렇게 생각한다.
내가 인생에서 한시도 잊지 않고 산 격언이 있다면 “열사람의 형리를 사귀지 말고 한가지 죄를 범하지 말라”는 우리 조상님들의 말씀이다. 남의 힘을 믿고 함부로 처신하지 말고 제 몸을 바로 처신하라는 뜻이다. 또 1959년 내 나이 22살 때 아이오와주 어느 시골 마을에서 한국전 참전용사에게 주워들은 “늙어서 마음 편히 살 수 있으면 그 인생은 성공한 인생이다”라는 미국 격언도 내가 중히 여기는 것이다.
김영란법은 사회에 많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축산 농가나 어업인들은 그렇지 않아도 경기가 좋지 않은데 법이 발효되어 걱정한다. 요식업체들은 김영란법에 저촉 받지 않으려면 가격 인하를 해야 한다며 법 시행으로 망하게 생겼다고 한 숨 짓는 모습을 한국 뉴스에서 보았다.
그러나 김영란법은 한국의 고질적인 부정 청탁을 일소해 보겠다고 만든 법이다.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직장동료나 상사와 같이 점심이나 저녁을 먹고 각자 값을 지불하는 더치 페이가 꽤나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한 사람이 부담하는 눈치 작전이 성공여부를 가늠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새마을 운동때 제 힘으로 자신을 돕는 자조정신이 필요했다면, 이제는 보리고개를 모르는 세상에서는 스스로 작은 것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정신이 필요하다. 이런 정신이 한국땅에 정착된다면 그놈의 줄서기 눈치작전도 자연히 없어질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부정청탁이 권력의 상징인 것 마냥 관행으로 생각 되어왔다. 각자의 마음속에 부정청탁이 얼마나 사람살기 힘든 세상을 만들고 있는지를 느끼고 이를 자제한다면 한국은 얼마나 살기 좋은 나라가 될것인가.
이곳 이민사회도 자신의 분수대로 정직하게 사는 사람들이 더 많아져서 살기 좋고 마음 편한 이민생활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