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개최
 
12월 10일 토요일 몽골 울란바토르 시내 10구역 소재 한옥(韓屋=Hanok) 레스토랑에서 저녁 6시부터 개최돼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icon_mail.gif 기사입력  2016/12/10 [22:33]
 
 
【UB(Mongolia)=Break News GW】
12월 10일 토요일 몽골한인외식업협회(회장 최배술)가 2016년 송년의 밤 행사를 몽골 울란바토르 시내 10구역 소재 한옥(韓屋=Hanok) 레스토랑(대표 최배술)에서 저녁 6시부터 개최했다.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왼쪽부터) 강민호 몽골한인상공회의소 회장, 오송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 채일병 몽골한인다문화가정회 수석 부회장, 최배술 몽골한인외식업협회 회장, 김명기 몽골한인회 고문이 자리를 같이 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본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에는 몽골한인외식업협회 회원 및 일부 몽골 한인 동포들이 자리를 같이 해 유쾌한 분위기 속에서 송년 분위기를 한껏 즐겼다.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몽골한인외식업협회 최배술 회장(한옥 레스토랑 대표)이 환영사에 나섰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몽골한인외식업협회 제7대 회장을 지낸 박성복 무지개 레스토랑 대표(가운데)가 김도한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사건 사고 담당 영사(오른쪽)와 자리를 같이 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백병순 파리 베이커리 대표(왼쪽)와 조영일 조가네 레스토랑 대표(오른쪽)가 자리를 같이 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김명기 몽골한인회 고문(왼쪽)이 한형수 변호사(오른쪽)와의 대화에 바쁘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현재, 몽골 현지에서 각종 지구촌 각국 음식들이 시판 중에 있으나, 분명한 것은 한국 식당이 증가 추세에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한식은 몽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외국 음식이 되었고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시만 해도 한국 식당이 중국 식당에 비해 4배나 많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몽골 국민들은 제육볶음, 삼겹살, 목살, 닭볶음탕, 육개장 등 주로 고기가 원료인 음식들을 즐겨 먹는 듯 보인다.

하지만, 몽골 시장 진출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실은 몽골 현지의 음식 문화가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식구들 단위로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 분위기나 시스템화 한 한국 식당의 몽골 진출이 미래의 몽골 잠재 고객층 형성에 극히 중요하다 할 것이다. 

몽골 BBQ 치킨(대표 김일한)의 성공적인 몽골 시장 진출을 통해 보듯이 체계화한 프렌차이즈 방식의 고급 한식 식당의 몽골 진출은 필수적이며, 이 추세에 부응한 제대로 된 한국 전통 요리의 몽골 현지 정착은 우리 한민족의 절실한 염원이라 하겠다.

하지만, 가끔  일부 한국 식당에서 질 낮은 음식 시판으로 몽골 국민들에게 한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절대로 소홀히 넘길 사안이 아니다.

아울러, 사용되는 식자재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이라는 점도, 몽골 주재 한인 동포들이 곰곰이 곱씹어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라 할 것이다.

2015112346532553.jpg

문제는 몽골 현지 한국 식당에서 한국 주인들로부터 어설프게(어설프게라고 썼다. 확실하게라면야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 한식 조리법을 전수 받은 몽골 요리사들이다. 이렇게 되면, 한식의 맛을 제대로 전달하기는 극히 어렵다 할 것이다.

이래서야, 이런 덜그덕거리는 조리 실력으로, 몽골 현지에서의 한식의 백년대계를 어찌 도모할 수 있을 것인가? 참으로 갑갑하기만 하다.

요컨대, 핵심은 몽골 현지에서의 한식의 체계적인 몽골 보급의 정착이라 하겠다. 통일된 한국 음식 메뉴의 표기, 한식 조리법의 일원화도 물론 필요하긴 하나,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한식을 제대로 배운 요리사들의 체계적인 양성에 있을 것이다.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왼쪽부터) 김명기 몽골한인회 고문, 박호성 몽골한인회 고문, 국중열 몽골한인회장이 자리를 같이 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몽골한인외식업협회 제4대 회장을 지낸 최인선 양주골 레스토랑 대표(오른쪽)가 양진원 대조영 레스토랑 대표(왼쪽)와의 대화에 바쁘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본 현장에는 조윤경 한국 가든 레스토랑 대표(오른쪽)도 뒤늦게 자리를 같이 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본 송년의 밤 참석자 전원에게는, 몽골한인외식업협회가 마련한 달력과 기념품이 제공됐다. 아무쪼록, 향후, 몽골한인외식업협회의 무궁한 발전을 간절히 기원한다.
 
▲몽골한인외식업협회 2016년 송년의 밤 행사 현장. 현장 취재에 나선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가 최배술 몽골한인외식업협회  회장과 같이 포즈를 취했다.    ©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몽골한인외식업협회 연혁
▲2005. 11. 15. 몽골한인외식업협회 출범(초대 김학수 회장 추대).
▲2005. 12. 01. 제2대 회장 선거 실시=>김경렬 회장(야인시대 레스토랑 대표) 당선(<=김학수 회장 개인 사유로 사임).
▲2009. 09. 15. 제3대 회장 선거 실시=>김미라 회장(코리아 하우스 레스토랑 대표) 당선.
▲2010. 01. 05. 제4대 회장 선거 실시=>최인선 회장(양주골 레스토랑 대표) 당선(<=김미라 회장 개인 사유로 사임).
▲2012. 12. 08. 제5대 회장 선거 실시=>양명구 회장(홍길동 레스토랑 대표) 당선.
▲2013. 11. 08. 제6대 회장 선거 실시=>최병산 회장(마포갈비 레스토랑 대표) 당선(<=양명구 회장 고국 복귀 사유로 사임).
▲2014. 10. 06. 제7대 회장 선거 실시=>박성복 회장(무지개 레스토랑 대표) 당선(<=최병산 회장 고국 복귀 사유로 사임).
▲2015. 10. 13. 제8대 회장 선거 실시=>최배술 회장(한옥 레스토랑 대표) 당선.

 
2015122402215842.jpg
▲Reported by Alex E. KANG, who is a Korean Correspondent to Mongolia certified by the MFA(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Mongolia, led by Minister Ts. Munkh-Orgil).     © Alex E. KANG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6/12/10 [22:33] 최종편집: ⓒ 2018breaknews.com

 

 

2014012431167852.gif
2014012431257700.gif
2014012430083224.gif

 

 

  • |
  1. SAM_1810.JPG (File Size:108.5KB/Download:6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02 기타 [3보] 이재명 체포안, 149명 찬성에 가결…정족수 1명 넘어 라이프프라자 23.09.21.
3201 베트남 전 산업통상부 차관, 뇌물수수 혐의로 체포 라이프프라자 23.09.21.
3200 베트남 총리와 Bill Gates는 베트남의 선진 교육 모델에 대해 논의.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9 베트남 일본 황태자 베트남 공식 방문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8 기타 균용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오늘 본회의 상정 않기로이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7 기타 교권회복 4법•학교폭력예방법, 국회 법사위 통과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6 베트남 베트남항공, 진짜 상장폐지 되나...3년연속 손실 '유력'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5 베트남 다낭 출입국사무소 출국비자 발급…여권분실시 출국편의 높아져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4 베트남 팜 민 찐 총리, 연일 반도체 외교 행보…美기업 대표단에 투자요청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3 베트남 ‘아시아 최고의 골프리조트 11선’에 베트남 4곳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2 베트남 'Make in Vietnam' 디지털 플랫폼과 국가 디지털 변환, 기여도 라이프프라자 23.09.21.
3191 베트남 국회 의장 "주택법, 미니아파트는 합법화 안 돼" 라이프프라자 23.09.20.
3190 베트남 Vlasta-Sam Son , 프로젝트 전략 협력 체결식 라이프프라자 23.09.20.
3189 베트남 총리, 반도체 분야의 미국 선두 기업과 협력 라이프프라자 23.09.20.
3188 베트남 OECD, 올해 베트남 경제성장률 4.9% 하향조정…내년 5.9% 라이프프라자 23.09.20.
3187 베트남 보도 침범, 오토바이 벌금 얼마? 라이프프라자 23.09.20.
3186 베트남 호치민시, 지난밤 큰 폭풍우 라이프프라자 23.09.20.
3185 베트남 베트남, 발전하는 거리의 이발차량 라이프프라자 23.09.19.
3184 베트남 박장성, 올들어 ‘큰손‘ 외국인투자 쏟아져…14.9억달러, 전년동기대비 176%↑ 라이프프라자 23.09.19.
3183 베트남 베트남,미국과의 교육 및 훈련 협력 확대 원해 라이프프라자 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