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관리하에 홍콩 민주화 실현과 동시에 국방 관련 법안 제정해야”
 

차기 행정 장관 도전자 중 한 명인 레지나 입(葉劉淑儀·66)이 어제(16일) 현지 라디오방송을 통해 학교 내에서 홍콩 독립에 관한 교육과 발언을 금기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입법회 의원이자 전 보안국 국장 출신인 레지나 입의 이 같은 주장은 학교 내 홍콩 독립관련 교육을 철저히 규제하고 있는 홍콩 정부의 방침과는 대립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f79380db9f5fedc69d52123db5502dcb_OhsrgDm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레지나 입은 “나는 학교 내에서 누구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권리를 보장 받아야 한다”며 “그것이 홍콩의 독립에 대한 문제라고 할지라도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더욱 넓은 시각을 가지고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했다고 홍콩 다수 언론이 보도했다.

그녀는 또 “몇몇 학자들은 홍콩의 국방 관련 법안 제정을 민주화 확립 후에 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나는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15일에도 공석에서 현재 홍콩의 최우선 과제를 엄격한 중국의 관리하에서 홍콩의 민주화 실현하는 일과 국방 관련 법안을 제정하는 일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이날 이를 더 확고히 한 것으로 파악된다.

입(Ip)은 또 중국과 경쟁하는 홍콩 운동선수들을 적극적으로 응원할 것이라 밝혔다. 지난 월드컵 지역예선전에서 홍콩이 아닌 중국을 응원했던 렁춘잉 현 행정장관과는 다른행보다.

 

또 다른 행정장관 후보 우쿽힝(胡國興·70) 역시 홍콩 독립에 대한 논의가 학교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현재 홍콩은 중국의 지시에 따라 학교에서 홍콩 독립에 대한 교육이나 토론을 금기시하고 있다. 

이처럼 홍콩 시민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행정장관 후보자들의 홍콩 독립과 민주화에 대한 견해 차이가 극명한 만큼 이 부분이 당선 여부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홍콩타임스 이수민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76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5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4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3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1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0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69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68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6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5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4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3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1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0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59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58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