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번호당 데이터 사용량 2위

캐나다 방송통신 위원회, '문제 없다' 입장 고수

 

 

캐나다가 모바일 데이터 사용료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심 카드(SIM) 당 월 사용량이 1 기가바이트를 넘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신 관련 조사업체 테피션트(Tefficient)가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32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캐나다가 1 기가바이트 당 통신요금이 가장 비싼 나라고 그 뒤를 벨기에와 독일, 체코, 네덜란드 등이 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이들 나라는 전체적으로 심카드 당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나라에 올라, 결국 비싼 데이터 요금이 데이터 사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데이터 요금이 싼 핀란드는 사용량이 네덜란드의 13배에 달했으며 캐나다에 비해서도 7배에 이르렀다.

 

캐나다의 데이터 요금이 비싸다는 지적이 여러 조사에서 지적됐지만 캐나다의 방송통신위원회는 문제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번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심카드 당 가장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나라는 핀란드로 7.2 기가바이트다. 한국은 그 뒤를 이어 3.8기가바이트로 스웨덴을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이들 나라 공통점은 모두 데이터 무제한 플랜이 있다는 사실이다. 2016년 6월 기준으로 핀란드의 총 심카드 중 47%가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해 있으며, 이 조사에서 한국이 2014년 4월부터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도입했다고 소개했다. 핀란드의 통신사 DNA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월당 9.9기가바이트에 이른다.

 

반면에 데이터를 가장 적게 쓰는 나라는 그리스, 벨기에, 체코, 루마니아, 네덜란드, 포르투칼, 독일이다. 캐나다는 32개국 중 17위로 중간 수준에 머물렀다.

 

이번 조사에서 기가바이트당 가장 낮은 수입을 얻는 나라 순위는 핀란드, 라트비아, 덴마크,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스웨덴 이었다. 한국은 낮지 않은 요금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사용이 많은 나라가 됐다.

 

그 이유는 한국의 경우 사실상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를 쓰게 되면 자동으로 와이파이로 연결하도록 만들어 일반 데이터 사용량이 크게 늘지 않도록 통신 운영자가 조절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일정량 이상 데이터를 사용하면 초당 데이터 전송량을 줄여 결과적으로 데이터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등으로 한국이 가장 이상적으로 무제한 요금제를 운영하는 나라로 묘사됐다. /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057 캐나다 26일 기준 캐나다 원숭이 두창 확진자 26건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8.
8056 캐나다 BC실업인 협회, 장민우 씨 고문 위촉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7.
8055 캐나다 폭풍우도 막지 못한 한국문화 사랑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7.
8054 캐나다 BC한인실업 우크라이나 어린이 구호 기금마련 골프대회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7.
8053 미국 "실기할라!" 불안심리, 부동산 시장 열기 부추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6.
8052 미국 허리케인 시즌 맞아 7만여 플로리다 주택 보험 줄줄이 최소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6.
8051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 '마나티 구하기'에 3천만 달러 쓴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6.
8050 미국 코로나 팬데믹, 청력상실 가져왔나?... 귀 병원 찾는 환자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5.
8049 미국 어드벤트헬스, 유방암 발병 유전자검사 프로그램 운영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5.
8048 미국 세미놀 교육위원회, '게이 금지법' 항의 연감사진 검열 않기로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5.
8047 캐나다 송 총영사, BC주 한인 공인회계사 협회 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5.
8046 캐나다 한국 전자여행 허가서 사기 사이트 주의 경보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5.
8045 캐나다 고유가 의한 식탁 물가 상승에 호재는 없고 악재만 난무 file 밴쿠버중앙일.. 22.05.25.
8044 미국 조종사 혼절, 파일럿 경험 없는 승객이 비행기 안전 착륙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3.
8043 미국 지난해 미국 증오범죄 39% 늘어... 10대 도시 54.5%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3.
8042 미국 올랜도 스트립 클럽 출입 거부당한 여성들, 주 대법에 재소송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1.
8041 미국 전 세계 '상어 사고'의 수도 플로리다, 제철 돌아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1.
8040 미국 '헌법적 총기 휴대법'이란 대체 무엇일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0.
8039 미국 미국내 원인 불명 중증 소아 간염 사례 속출 file 코리아위클리.. 22.05.20.
8038 캐나다 윤곽 잡혀가는 법안 96호, 6월 초 통과 될 듯 file Hancatimes 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