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One of Us).jpg

‘퓨 연구 센터’(Pew Research Center)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진정한 호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영어구사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 “영어구사 능력이 국가 정체성 결정 기준” 인식

‘Pew Research Center’ 조사... 호주인들, ‘태어난 곳은 중요치 않다’

 

‘진정한 호주인’이 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최근 발표된 한 여론조사는 이 부문에서 대다수의 호주인들은 종교, 전통문화, 출생지보다 ‘영어 구사능력’을 훨씬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퓨 연구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내놓은 ‘What it takes to be truly one of us’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68%의 응답자는 ‘진짜 호주인’이 되기 위해 “영어가 매우 중요하다”고 답변했으며, 나머지 25%는 “다소 중요하다”라는 반응이었다.

조사 결과 호주인들은 출생 국가와 민족적 정체성 간에는 큰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에서 태어나는 것이 한 개인을 진정한 호주인으로 결정짓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는 답변은 13%에 불과했다.

이는 퓨 연구 조사 대상 14국가 중 두 번째로 낮은 응답으로, 스웨덴이 8%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일본 50%, 미국 32%, 캐나다 21%의 응답자가 각각 해당 국가에서 태어난 사람만을 진정한 그 국가 국민으로 여길 수 있다고 답변했다.

최근 발표된 호주 통계청(Bureau of Statistics) 조사에 따르면 호주인 중 약 28%(670만 명)가 해외에서 태어난 이들이다.

‘전통 및 관습’은 국민적 정체성을 결정하는 두 번째 요소로 꼽혔다. 응답자의 절반이 호주의 ‘전통 및 관습’을 공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종교와 관련해서는 13%만이 ‘기독교인이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미국은 32%, 영국은 18%, 캐나다는 15%가 종교와 국가정체성에 큰 연관성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별로 관련 인식을 보면 자유-국민 연립(Coalition) 지지자의 79%, 노동당(Labor) 지지자의 68%는 ‘진정한 호주인’이 되기 위해 ‘영어 구사능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변했다. 녹색당(The Green) 지지자들은 약 33%만이 이에 동의한다고 답변했다.

나이에 따라서는 의견에 큰 차이가 없지만, 높은 연령층(70%)이 젊은층(59%)보다 더 강하게 영어를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나이가 많을수록 전통과 관습을 정체성과 연관시키는 경향이 강했다.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고등학교 이하의 교육을 받은 집단의 경우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전통 및 관습’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퓨 연구센터’는 이번 조사를 통해 “대부분의 국가 시민들이 해당 국가 언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사람을 진정한 국민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퓨 연구센터’는 지난 1996년 설립, 미국 워싱턴 D.C.에 자리하고 있는 ‘팩트 탱크’(Fact Tank)이다. 일반적인 싱크탱크와 달리 수적 수치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으로, ‘퓨 자선기금’(Pew Charitable Trusts)의 자금 지원을 통해 비영리로 운영된다.

 

■ 언어를 국민 정체성으로 본다

(해당 국가의 언어구사 능력이 국민 정체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국가별 응답 비율)

-네덜란드 : 84%

-헝가리 : 81%

-영국 : 81%

-프랑스 : 77%

-그리스 : 76%

-일본 : 70%

-미국 : 70%

-호주 : 69%

-폴란드 : 67%

-스웨덴 : 66%

-스페인 : 62%

-캐나다 : 59%

-이탈리아 : 59%

Source: PEW Research Centre

 

■ 출생 국가에 따라 국민 정체성을 가름한다

(출생 국가가 국민 정체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국가별 응답 비율)

-헝가리 : 52%

-그리스 : 50%

-일본 : 50%

-이탈리아 : 42%

-폴란드 : 42%

-스페인 : 34%

-미국 : 32%

-영국: 32%

-프랑스 : 25%

-캐나다 : 21%

-네덜란드: 16%

-독일 : 13%

-호주 : 13%

-스웨덴 : 8%

Source: PEW Research Centre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One of Us).jpg (File Size:47.8KB/Download:3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1 호주 홀덴 떠난 SA, 한국산 자동차 존재감 부각…SA 경찰 순찰차 채택될 듯 톱뉴스 17.08.11.
6750 뉴질랜드 혼자 버스 타고 쇼핑하러 가는 견공(?) NZ코리아포.. 18.01.17.
6749 호주 혼스비 바비큐 식당서 살인사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6.03.31.
6748 뉴질랜드 혹스베이지역 돼지독감 발생, 주의보 발령 굿데이뉴질랜.. 14.03.28.
6747 뉴질랜드 혹스베이 지역 병원, 완전한 소독 안된의료 도구 사용 논란 NZ코리아포.. 19.02.14.
6746 뉴질랜드 혹스 베이 주택 위기, 올 겨울 모텔에 400명 넘는 어린이 살기 시작 NZ코리아포.. 19.04.29.
6745 호주 호주한인총연합회, 차세대 한인들 정계진출 욕망 일깨워 톱뉴스 19.09.24.
6744 호주 호주판 ‘스티브 잡스’ 기대... 호주 10대 청소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6743 호주 호주판 ‘맹모삼천지교’... 유명 학군 주택가격 큰 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6742 호주 호주판 ‘늙은 군인의 노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호주한국신문 14.04.24.
6741 호주 호주통계청,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독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740 호주 호주중앙은행, 이달만 두 번째 금리 0.25%p로 인하! ‘호주 달러 가치도 폭락’ 호주브레이크.. 20.03.19.
6739 호주 호주중앙은행 총재 ‘비트코인은 범죄자에 매력' 톱뉴스 17.12.15.
6738 호주 호주정부의 석탄화력발전 사랑…IPCC ‘중단’ 제안 일축 톱뉴스 18.10.22.
6737 호주 호주정부, 차량 테러 방지 대책 발표 톱뉴스 17.08.22.
6736 호주 호주정부, 이민자 유입량 연 3만명 감축 움직임 톱뉴스 18.11.25.
6735 호주 호주정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지지’ 톱뉴스 17.08.07.
6734 호주 호주정부, 외국인 범죄자 추방 조치 강화 움직임 톱뉴스 18.01.07.
6733 호주 호주정부, 북미정상회담에 “신중한 환영” 톱뉴스 18.06.17.
6732 호주 호주정부, 범죄 전력 비자 소지자 추방 강화 움직임 톱뉴스 19.08.13.
6731 호주 호주정부, 가족 이민 초청자 재정 요건 대폭 강화 99개 비자 조항은 10개로 축소 톱뉴스 18.04.20.
6730 호주 호주정부 “지방 정착 이민자, 지방에 상주하라”…비자 규정 개정 추진 톱뉴스 18.05.18.
» 호주 호주인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6728 호주 호주인의 자부심 와틀, ‘Acacia’ 학명을 갖기까지의 식물 논쟁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6727 호주 호주인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심장-뇌졸중-폐 관련 질환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9.
6726 호주 호주인들이 느끼는 생활비 압박감, 가장 심한 도시는 시드니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
6725 호주 호주인들이 강변 주택에 매료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6724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자주 위험에 처하는 해외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723 호주 호주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6722 호주 호주인들의 올 크리스마스 선물 구입, 88억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721 호주 호주인들, 포키-경마 등으로 연간 240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6720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6719 호주 호주인들, 지난 한해 갖가지 사기 행각 피해로 총 31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718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6717 호주 호주인들, 정크푸드-알코올-도박-담배 등의 TV 광고에 ‘압도적 반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6716 호주 호주인들, 전 세계 국가 비해 암 걸릴 확률 2배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0.
6715 호주 호주인들, 일부 부문 세금 인하하면 GST 인상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5.11.19.
6714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6713 호주 호주인들, 연간 89억 달러 상당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file 호주한국신문 19.04.04.
6712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6711 호주 호주인들, 비자금 모아 의류 구입-도박-유흥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10 호주 호주인들, 도박으로 연간 23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6709 호주 호주인들, “은퇴하기에는 모아둔 자금 너무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708 호주 호주인들, “여행 계획에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여행업, 빠르게 회복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707 호주 호주인들, “양부모 가족은 아이 성장에 필요”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6 호주 호주인들, “세금 인하보다는 더 저렴한 생활비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4.11.
6705 호주 호주인들, “83만 달러 있어야 재정적 자유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6704 호주 호주인들, 2014년 자선단체에 68억 달러 기부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0.
6703 호주 호주인들 공화제 지지 비율 42%로 낮아져... 역대 최저 호주한국신문 14.04.17.
6702 호주 호주인구의 지속적 성장으로 높은 기준금리, 더 오랫동안 이어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