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산불 1).jpg

최악의 열풍 속에서 발생한 산불이 휩쓸고 간 NSW 북서부 내륙 돈딩갈롱(Dondingalong)의 한 주택. 이 가옥은 인근 켐시(Kempsey) 소재 NSW 지역소방서(NSW Rural Fire Service)에 근무하는 한 소방대원의 집으로, 다른 마을의 화재를 진압하는 동안 화마가 그의 주택을 삼킨 것이다.

 

주말 연속된 열풍으로 피해 커져, 일부 지역 전기-도로 폐쇄로 고립

 

올 여름 유난히 열풍이 잦고 고온의 기온을 보이는 날들이 많아진 상황에서 우려되던 산불이 NSW 주 내륙 일부 지역을 초토화시키고 있다.

지난 주 금-토요일(11-12일) 이어진 엄청난 열풍 속에서 NSW 주 전역에 걸쳐 수천 헥타르가 산불에 휩싸였으며, 일부 마을은 가옥 전체가 불에 타 사라지는 등 엄청난 피해를 남기고 있다.

블루마운틴 국립공원 북쪽, 뉴카슬(Newcastle)과 더보(Dubbo) 사이에 자리한 작은 농촌 마을인 우아브리(Uarbry)에 거주하는 한 지역소방대 자원봉사자는 인근 산불 진화에 나섰다가 집으로 돌아와서는 마을을 이루던 12채의 가옥 모두가 전소된 상황과 마주해야 했다.

시드니 북서부 내륙, 지방 지역 곳곳은 무더위 속에서 기승을 부린 산불로 이동통신이 두절되고 유선전화망도 끊겼으며 외부 세계와 연결된 주요 도로망까지 폐쇄돼 완전히 고립된 상황이다.

산불 피해를 입은 우아브리 마을의 한 남성은 국영 ABC 방송에서 눈물을 흘리며 “입고 있는 셔츠를 빼고는 모든 것이 화마에 날아갔다”고 말했다.

그는 산불이 마을을 덮치자 함께 생활하던 개 두 마리만 트럭에 태우고는 북쪽에 자리한 쿨라(Coolah)로 대피했다.

 

종합(산불 2).jpg

NSW 내륙 우아브리(Uarbry) 마을을 초토화시킨 산불의 흔적. 이 마을 12채의 가옥은 일부 형태만 남은 채 완전히 전소됐다.

 

우아브리 마을을 휩쓴 화마는 이미 이 마을 서쪽, 듄두(Dunedoo) 인근의 5만 헥타르에 달하는 삼림지대를 휩쓴 뒤 지난 일요일(12일) 우아브리 마을을 초토화시켰다.

금주 월요일(13일) 현재, 산불은 완전히 진화되지 않은 가운데 쿨라(Coolah)와 리드빌(Leadville) 마을 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 농촌 마을들 900여 가구에는 전기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다.

쿨라에 거주하면서 산불진화를 지원하고 있는 말 맥마스터(Mal McMaster)씨는 “산불로 인해 지난 48시간 동안 잠을 못 잤다”고 말했다.

“이웃 친구들도 주택은 물론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잃었다”고 호소한 그는 ABC 방송 취재진에게 “이를 어떻게 설명할지 모르겠고, 당신도 이 상황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주 월요일(13일) 아침 현재, 쿨라 마을 주변 지역 시야는 지독한 연기로 인해 200-300미터에 불과했다. 이날, 쿨라의 커뮤니티 스포츠 홀에 모인 주민들은 산불이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 서로 물으며 초조함을 감추지 못했다.

 

종합(산불 3).jpg

돈딩갈롱(Dondingalong) 마을에 있던 주택이 흔적. 이 마을 또한 산불로 폐허가 되기까지는 단 몇 시간도 걸리지 않았다.

 

종합(산불 4).jpg

보가리(Boggari) 마을의 한 농가. 타다 만 양철지붕, 벽돌로 만든 벽난로와 굴뚝만이 흉물스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쿨라(Coolah)에서 북쪽으로 약 5시간 거리에 있는 보가브리(Boggabri) 지역 또한 산불 피해가 극심했다. ABC 취재진이 이 마을에서 만난 두 남성 또한 주택과 함께 모든 것을 잃은 상태였다.

이 남성 중 한 명의 가족들은 멀리 떨어진 듄두(Dunedoo) 지역 산불 진화를 지원하던 상황이었다. 인근 마을을 덮치고 있는 산불과 싸우는 동안 자기 집은 화마에 노출된 것이었다.

지난 일요일(12일) 보가브리 마을을 초토화시킨 산불은 이 마을 샘 콘웨이(Sam Conway)씨의 농장 인근에서 발생해 순식간에 마을을 휩쓸었다.

콘웨이씨는 “산불 확산 속도가 바람보다 빠른 것 같았다”며 당시의 공포스럽던 상황을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산불 확산이 너무 빨라 마을 주민들이 대피할 수 있을까 걱정했지만 다행이 각 지역에서 모여든 수백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있었고, 이들이 주민들의 대피를 도왔다.

또한 시드니 북부,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에서 서쪽으로 약 50킬로미터 내륙에 있는 비크우드(Beechwood) 마을에서도 지난 일요일 오후 늦은 시간, 산불이 발생됐으며 열풍을 타고 빠르게 확산됐다. 이 산불은 순식간에 500헥타르의 삼림을 휩쓸었으며, 이후 점차 진화되고 있다.

 

종합(산불 5).jpg

시커먼 화재의 흔적만 남은 보가리(Boggari) 마을의 한 농장.

 

종합(산불 6).jpg

우아브리 마을 북쪽에 있는 쿨라(Coolah) 마을의 커뮤니티 홀 앞의 주민들. 인근 마을 피해자들까지 모여들어 초조한 얼굴로 산불진행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다.

 

NSW 주 서부 내륙 곳곳에서 발생된 산불 피해자 가운데는 켐시(Kempsey) 소재 지역소방서(Rural Fire Service)에 근무하는 소방관도 있다. 켐시 남부, 동딘갈롱(Dondingalong)에 거주하는 이 소방관 또한 다른 마을의 화마와 싸우는 동안 자기 주택을 잃었다.

NSW 지역소방서(NSW Rural Fire Service)의 캄 베이커(Cam Baker) 대변인은 내륙 곳곳의 산불 피해에 대해 “재앙”이라고 표현하면서 “이번 산불은 NSW 내륙에서 기록된 화재 중 가장 극심한 피해였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산불 1).jpg (File Size:143.8KB/Download:30)
  2. 종합(산불 2).jpg (File Size:135.5KB/Download:31)
  3. 종합(산불 3).jpg (File Size:139.3KB/Download:31)
  4. 종합(산불 4).jpg (File Size:98.6KB/Download:32)
  5. 종합(산불 5).jpg (File Size:99.6KB/Download:29)
  6. 종합(산불 6).jpg (File Size:95.7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1 호주 6월 분기 부동산 판매 수익성, 10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50 호주 NSW 주 도미닉 페로테트 정부의 새 내각, ‘안전과 회복’에 초점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9 호주 ‘바이러스’ 록다운 상황 속, 소규모 ‘북클럽’ 활동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8 호주 부스터샷은 언제 맞아야 하? 또한 백신접종 면제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7 호주 호주 국경 제한 완화 발표, 11월 이후 해외여행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6 호주 NSW 주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이벤트, 11월부터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5 호주 “면역력 심각하게 저하된 이들, 세 번째 COVID-19 백신접종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4 호주 NSW 주 제한 완화 1단계, “지방 지역 여행은 아직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3 호주 ‘판도라 페이퍼즈’... 해외 불법 자금에 잠식당한 주요 호주 부동산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2 호주 NSW 공공보건 명령 1단계 완화 조치, 이번 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14.
124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헌터스 힐의 낡은 주택, 잠정가격에서 33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40 호주 주택가격 상승 속도, 다소 둔화… 연간 성장률은 30년 만에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9 호주 봉쇄 조치 기간 중 일자리 찾기 포기 늘어나... 실업률, 소폭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8 호주 농업부 장관, "NSW 주의 입국자 검역 폐지, 농장 인력 확보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7 호주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조디 맥케이 NSW 주 의원, 사임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6 호주 연방정부의 디지털 백신접종 증명서, ‘Service NSW'에 통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5 호주 호주 국경 다시 열린다지만... 유학생들 “호주로 돌아갈 매력 잃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4 호주 연방정부, ‘비자 취소’ 권한 강화를 위한 ‘인성검사’ 법안, 재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3 호주 연방정부, 해외여행자 위한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2 호주 NSW 주, 해외 입국자 대상 코로나19 검역 절차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1 호주 NSW 주의 국제여행자 검역 폐지... 꼭 알아야 알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123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수준의 윌로비 소재 주택, 370만 달러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9 호주 광역시드니 주택 임대료, 사상 최고치 기록... 유닛 임대료 다시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8 호주 정부가 주문한 노바백스 백신, 11월 제공 예정... “추가접종 위해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7 호주 델타 변이 바이러스 발병 이후 NSW 사망자 500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6 호주 NSW 주 정부, 학령기 자녀 가정에 ‘레저 활동’ 지원 바우처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5 호주 NSW 주 관광부, 호주 국경 개방 맞춰 대대적 관광 캠페인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4 호주 호주 국제여행 허용... '콴타스‘ 및 ’넷스타‘의 운항 노선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3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화이자 COVID-19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2 호주 호주 부스터샷 승인... 알려진 추가접종 관련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1 호주 불법 마약구매, COVID 이전보다 쉽다?... 팬데믹 기간 중 코카인 사용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122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그린위치 주택, 잠정가격에서 9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9 호주 NSW 주 지방 지역 임대료 지속 상승, 현지 지역민들 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8 호주 Sydney Water, “이런 물품은 반드시 휴지통에 버려주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7 호주 10대 어린이-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가입, 부모 동의 필요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6 호주 호주 원주민 암각화, 최대 4만3천 년 전 만들어진 것일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5 호주 파라마타 지역구 줄리 오웬 의원, 다음 연방선거 ‘불출마’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4 호주 연방정부, COVID-19 방역 위한 국민들의 ‘해외 출국 제한’ 공식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3 호주 COVID-19 빠른 항원검사 허용... 11월 1일부터 자가 테스트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2 호주 호주 백신자문그룹, 2차 접종 6개월 지난 성인 대상으로 추가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1 호주 ‘풍토병’ 되어가는 코로나 바이러스... ‘리빙 위드 코비드’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10 호주 NSW 주 정부, COVID-19 공공보건명령 완화 로드맵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09 호주 NSW 주 COVID-19 제한 규정 완화 로드맵 변경, 주요 내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1208 뉴질랜드 오클랜드 10월 5일까지 경보 3단계 일요시사 21.11.08.
1207 뉴질랜드 '시설 대신 집에서 자가격리' 10월말부터 시범, $1,000의 요금 지불 일요시사 21.11.08.
1206 뉴질랜드 8월11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일주일 연장 일요시사 21.11.08.
1205 뉴질랜드 새 코로나19 보호 체제 나왔다... 녹색, 황색, 적색 3단계 일요시사 21.11.08.
1204 뉴질랜드 오클랜드 11월 9일 밤 11시 59분부터 경보 3단계 스탭 2 일요시사 21.11.08.
1203 뉴질랜드 Covid-19 11월 2일 새 감염자 126명, 오클랜드 1차 접종률 90% 일요시사 21.11.08.
1202 뉴질랜드 Covid-19 11월 3일 새 감염자 100명 일요시사 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