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피해자시각에서 접근해야” 아리랑TV 인터뷰

 

뉴스로=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 온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 주립대 교수가 문재인정부가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해 취해야 할 첫 번째 조치는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라고 조언(助言)했다.

 

더든 교수는 2일 아리랑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인권변호사의 경력을 갖고 있는만큼 세계의 모든 위안부 피해자는 물론, 오늘날의 유사한 피해자들을 대변(代辯)하는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든 교수는 “최근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베를린에서 ISIS 성노예 피해자를 만난 건 정말 놀라운 순간이었다”면서 “이 문제가 한국이나 한국의 경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여성에 가해지는 전시 성폭력에 대해 전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근절시켜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역사와 안보문제를 분리해서 접근하려는 문재인정부의 입장에 대해 “역사문제는 그 자체가 안보문제가 되었다. 안보에 있어 한일간의 협력과 공동대응은 의무이자 필요조건”이라며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Dudden-image-Jan2016-v1유콘역사학교수.jpg

 

 

다음은 일문일답.

 

- 두 나라가 이 이슈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새 정부가 취할 첫번째 조치는 피해자 중심의 접근일 것이라 생각한다. 문대통령이 국제적 감각을 갖춘 인권변호사로서의 경력을 활용해서, 이 문제를 단순히 한국과 일본, 양자간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전 세계 모든 피해국가 및 오늘날의 모든 피해자들까지 대변해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 최근 유엔 고문방지위원회가 한일합의안의 수정을 권장했는데, 한일 양국을 넘어서 미칠 영향은 무엇일까?

 

“이 문제는 한국과 일본간에 존재하는 고유한 역사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국제역사다. 위안부 피해자 중 한분인 길원옥 할머니가 베를린에서 ISIS 성노예 피해자를 만난 건 정말 놀라운 순간이었다. 즉, 이 문제가 한국이나 한국의 경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한국인들이 겪은 역사적 경험을 들어,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전시 성폭력에 대해 전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이를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교육을 시키고 있는 것이다.”

 

- 문재인 정부는 역사와 안보 문제를 따로 떼어 접근한다는 입장인데, 이러한 접근방법에 대한 우려가 있는지?

 

“문제의 핵심은 역사를 부정함으로 인해 역사 자체가 안보문제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과거에서 얻은 교훈으로 현재를 분석하여 더 나은 현재와 미래를 추구한다는 역사의 본래 의미가 변질되어 이제는 역사가 분열을 초래하는 무기가 되어버렸다. 안보라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우리 머리 위로 대륙간 탄도미사일이 날아가는 매우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안보위기에서 한국과 일본이 서로 조정을 통해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은 이제 의무사항이 되었다고 할 수 있고, 안보에 있어 한일간의 협력과 공동대응은 필요조건이 되었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 www.newsroh.com

 

 

<꼬리뉴스>

 

Alexis Dudden: "'Comfort women' issue not limited to Korea, int'l community must work together to resolve issue"

 

Prof. Alexis Dudden said in the recent interview that 'Comfort Women' issue is not limited to Korea;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work together to resolve the issue.

 

  • |
  1. Dudden-image-Jan2016-v1유콘역사학교수.jpg (File Size:23.7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7 캐나다 퀘벡주, 26일 이후 다시 모임 인원 제한 강화 file Hancatimes 21.12.31.
1956 캐나다 밴쿠버총영사관 코인 사기 주의 당부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1.
1955 캐나다 2021년 가장 흔한 신생아 이름은 올리비아(Olivia)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1.
1954 캐나다 BC주민 1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적극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1.
1953 미국 우주 기원 밝힐 차세대 망원경 '제임스웹' 발사 성공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3.
1952 미국 올랜도 네오시티 대형 타운센터 건립, 한국회사가 맡는다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3.
1951 미국 30년 공력 들인 올랜도 벨트웨이 23년 완공... 미완의 과제는?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4.
1950 미국 세인피, 치솟는 임대료에 '주택 비상사태' 선포 모색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4.
1949 캐나다 새해 첫 휴일 3일간 코로나19 확진자 수 1만 명 육박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5.
1948 캐나다 올해 재산세 부과 기준 주택 자산 가치 작년 비해 큰 폭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5.
1947 미국 지난해 플로리다주 인구증가 전국 2위... 총인구 2178만명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5.
1946 미국 연말연시 '오미크론 폭탄' 맞은 플로리다... 하루 5만5천명 감염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5.
1945 캐나다 5일 BC 확진자 수 다시 4000명에 육박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7.
1944 캐나다 폭설에 얼음비 예보, 상황 따라 교량 고속도로 통행금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7.
1943 캐나다 캐나다라인 캡스탠역 공사로 제한 운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7.
1942 미국 플로리다 전체 카운티, 코로나 감염 위험도 '최고’ 경보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7.
1941 미국 올해 미국 인플레이션 잡히나... 경제성장률 4% 예상 file 코리아위클리.. 22.01.07.
1940 캐나다 BC 백신접종완료자 한국에선 인정 못 받을 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8.
1939 캐나다 캐나다 출발 한국 도착 확진자 수도 이제 못 말릴 정도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8.
1938 캐나다 송해영 신임 총영사, 평화의 사도 기념비에 헌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