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평생 2명 1명 꼴 진단, 4명 중 1명 사망

금연이 남성 폐암 진단률과 사망률 크게 낮춰

 

고령화 사회로 들어가면서 점차 암으로 진단받고 암으로 사망하는 비율이 높아진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캐나다 암학회(Canadian Cancer Society)은 20일(화) 암과 관련된 새로운 통계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인 2명 중 1명이 평생 한 번 암을 진단 받게 되고, 또 4명 중 1명은 암으로 사망한다.

올해만도 20만 6,200명이 암 진단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악성 암 진단으로 8만 800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산된다.

 

암은 캐나다에서 가장 큰 사망 원인이다. 

캐나다 암 협회의 레아 스미스(Leah Smith) 박사는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고령 인구가 늘어나 지금부터 2030년까지 암 진단 및 암 사망률이 극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고서에서 예측한 2017년 암 진단 환자의 약 90%는 50세 이상이다. 이들 중 45%가 70세 이상이다.

더 나이가 들수록 암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러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암 사망률은 최고정점에 달했던 1988년 이후로 계속해서 감소해 4명 중 1명으로 예측됐다. 30여년 동안 암 사망률은 남성 30%이상, 여성은 17%이상 감소했다. 

 

이는 폐암 사망률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으로 정부의 담배 관련 규제 강화가 캐나다 암 관련 건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반증이다.

 

바로 남성들이 여성보다 흡연으로 인한 폐암으로 사망했는데, 그 수치가 급격히 감소했다는 것이 그 근거다.

여성의 경우는 유방암 검진 및 치료 개선으로 유방암 생존률이 높아진 것도 암 사망률을 낮춘 요인으로 꼽혔다. 

 

전립선암, 유방암, 폐암, 대장암 등 4대 악성종양이 여전히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올해도 암 진단 환자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중 폐암으로 올해 2만 1,100명이 사망을 해 나머지 3개 악성 종양으로 사망하는 1만 9,200명 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스미스 박사는 암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꾸준한 치료와 운동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실제 암 진단을 받은 환자 중 60%가 5년이상 더 살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5년 이상 생존률이 8%인 췌장암은 예외로 23개의 악성 종양 중 제일 낮은 수치다. 

 

올해 5,500명이 췌장암 진단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4,800명이 사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두고 프린세스 마가렛 암 센터의 졸리 린가쉬(Jolie Ringash) 박사는 췌장암은 진행단계까지 증상을 보이지 않아 진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7 캐나다 BC 일일 확진자 수 3000명 돌파 코 앞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6 캐나다 신임 주한 캐나다대사에 마크 플레처 지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5 캐나다 퀘벡주, 총기 관련 범죄 예방을 위해 5,200만불 기금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74 캐나다 퀘벡주, 연휴 맞아 실내 모임 인원 완화…”최대 20명까지 허용” file Hancatimes 21.12.31.
1973 캐나다 퀘벡주, 연말 맞아 푸드뱅크에 30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72 캐나다 퀘벡주, 초등학생을 위한 자가 신속진단키트 배부 예정 file Hancatimes 21.12.31.
1971 캐나다 “히잡 착용 이유로 해고”…하원의원 및 장관들, 퀘벡주 행보 비난 file Hancatimes 21.12.31.
1970 캐나다 르고 주총리, 교육청이 “히잡을 착용한 교사를 고용한 것은 잘못”이라고 언급 file Hancatimes 21.12.31.
1969 캐나다 퀘벡주, 다시 재택근무 권고 및 무료 진단키트 배포 file Hancatimes 21.12.31.
1968 캐나다 캐나다 일부 주, 오미크론 확산을 늦추기 위한 새로운 지침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67 캐나다 교사와 학생들, 몬트리올에서 퀘벡주 “법안 21” 반대 시위 file Hancatimes 21.12.31.
1966 캐나다 몬트리올 보건당국 95건의 오미크론 확진 사례 발표…”앞으로 더 많은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file Hancatimes 21.12.31.
1965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인들에게 “비필수 해외여행” 자제 권고 file Hancatimes 21.12.31.
1964 캐나다 퀘벡주, 고위험 활동 금지 및 상점 수용인원 다시 감축 file Hancatimes 21.12.31.
1963 캐나다 퀘벡 주민들 COVID-19 진단 장비를 위해 약국에서 장시간 대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2 캐나다 퀘벡주, 오미크론 확산에 병원 수술 연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1 캐나다 퀘벡주, 학교, 술집, 체육관 및 영화관 폐쇄 결정 file Hancatimes 21.12.31.
1960 캐나다 몬트리올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다시 비상사태 선포 file Hancatimes 21.12.31.
1959 캐나다 몬트리올 2022년 예산안 발표…”노숙자 문제 해결 및 경찰 인력 증가에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58 캐나다 몬트리올 일부 병원 직원들 사이에 COVID-19 사례 급증 file Hancatimes 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