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금융거래 제한… 대사관 유지, 단체 여행은 허가
 

cuba4.jpg
▲쿠바계 망명자의 집단 거주지인 마이애미 리틀 아바나내 쿠반 메모리얼 블리바드에 서있는 ‘피그만 침공’ 기념비. ⓒ 코리아위클리
 

(마이애미=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반세기만에 이뤄졌던 미국-쿠바의 국교정상화 기류가 다시 냉각상태로 돌아갈 전망이다.

16일 <마이애미 선센티널>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쿠바의 국교정상화 협상을 취소하고 일부 제재를 복원한다고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쿠바계 망명자의 집단 거주지인 마이애미 리틀 아바나에서 공식 연설을 통해 금융거래 및 쿠바 개별여행 제한 등의 내용을 담은 새로운 쿠바 정책을 공개하며 "지난 정부가 미국에 일방적으로 불리하게 맺은 쿠바와의 협상을 취소한다"라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바의 반공 인사의 이름을 따서 붙인 마누엘 아타임 극장에서 가진 행사에서 "쿠바 국민과 미국을 위해 더 나은 협상을 모색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쿠바 당국에는 정치범 석방,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 언론과 집회의 자유 존중 등 변화를 촉구했다.

행사에는 쿠바 이민자 후손인 카를로스-로페즈-칸데라 플로리다 부주지사와 마르코 루비오 연방상원의원이 참석했다.

지난 대선 경선에서 트럼프에 밀려 후보를 사퇴한 루비오 의원은 “미국은 쿠바인들에게 손을 내밀 준비가 되어 있지만 그들의 압제자에게 힘을 싣지는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정책은 쿠바 국민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공산주의 정부에는 경제적인 타격을 주고, 체제에 반기를 들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용기를 북돋아 준다는 의미이다.

대선 경선에서 트럼프와 각을 세웠던 루비오 의원은 이날 트럼프의 정책이 장차 쿠바가 자유롭고 민주적인 국가가 되는데 키 포인트로써 역사에 남을 것이라며 트럼프를 추켜세우기도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 행정부의 일방적인 국교 협상을 취소한다고 밝혔으나 실제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대 쿠바 정책의 상당부분은 그대로 두었다. 즉 쿠바 수도 아바나의 미국 대사관을 유지하고, 양국을 오가는 항공편과 크루즈편도 막지 않은 것이 그것이다.

다만 쿠바 군부 또는 정보당국과 연계된 기업과 미국인 사이의 금융거래를 금지하고 미국인의 쿠바 개별여행은 미국 기업이 조직하는 단체여행의 일원으로서만 허가한다. 이는 쿠바 군사정권의 통제하에 있는 쿠바 기업들과의 거래를 금지함으로써 미국 자금이 쿠바 정부에 흘러들어가지 않게 하겠다는 의지의 표출이다. 새 쿠바 정책에 따른 구체적인 규제 조치는 미국 재무부의 발표 이후에 실질적으로 적용된다.

한편 버락 오바마 정부는 지난 2014년 12월 국교정상화 선언을 통해 쿠바와의 관계복원을 선언했고, 이듬해 5월 쿠바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33년 만에 삭제했다. 이어 7월에는 54년 만에 아바나에 미국 대사관을 재개했으며, 여행 및 금융거래 부문 자유화, 우편 서비스, 쿠바 직항편 운항 등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정상화 협상이 쿠바에만 유리한 조건으로 진행됐다고 비판하고, 대선 캠페인에서 오바마 정부의 쿠바 정책을 뒤바꾸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7 캐나다 BC 일일 확진자 수 3000명 돌파 코 앞으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6 캐나다 신임 주한 캐나다대사에 마크 플레처 지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12.31.
1975 캐나다 퀘벡주, 총기 관련 범죄 예방을 위해 5,200만불 기금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74 캐나다 퀘벡주, 연휴 맞아 실내 모임 인원 완화…”최대 20명까지 허용” file Hancatimes 21.12.31.
1973 캐나다 퀘벡주, 연말 맞아 푸드뱅크에 300만 달러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72 캐나다 퀘벡주, 초등학생을 위한 자가 신속진단키트 배부 예정 file Hancatimes 21.12.31.
1971 캐나다 “히잡 착용 이유로 해고”…하원의원 및 장관들, 퀘벡주 행보 비난 file Hancatimes 21.12.31.
1970 캐나다 르고 주총리, 교육청이 “히잡을 착용한 교사를 고용한 것은 잘못”이라고 언급 file Hancatimes 21.12.31.
1969 캐나다 퀘벡주, 다시 재택근무 권고 및 무료 진단키트 배포 file Hancatimes 21.12.31.
1968 캐나다 캐나다 일부 주, 오미크론 확산을 늦추기 위한 새로운 지침 도입 file Hancatimes 21.12.31.
1967 캐나다 교사와 학생들, 몬트리올에서 퀘벡주 “법안 21” 반대 시위 file Hancatimes 21.12.31.
1966 캐나다 몬트리올 보건당국 95건의 오미크론 확진 사례 발표…”앞으로 더 많은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file Hancatimes 21.12.31.
1965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인들에게 “비필수 해외여행” 자제 권고 file Hancatimes 21.12.31.
1964 캐나다 퀘벡주, 고위험 활동 금지 및 상점 수용인원 다시 감축 file Hancatimes 21.12.31.
1963 캐나다 퀘벡 주민들 COVID-19 진단 장비를 위해 약국에서 장시간 대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2 캐나다 퀘벡주, 오미크론 확산에 병원 수술 연기 file Hancatimes 21.12.31.
1961 캐나다 퀘벡주, 학교, 술집, 체육관 및 영화관 폐쇄 결정 file Hancatimes 21.12.31.
1960 캐나다 몬트리올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다시 비상사태 선포 file Hancatimes 21.12.31.
1959 캐나다 몬트리올 2022년 예산안 발표…”노숙자 문제 해결 및 경찰 인력 증가에 투자” file Hancatimes 21.12.31.
1958 캐나다 몬트리올 일부 병원 직원들 사이에 COVID-19 사례 급증 file Hancatimes 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