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토) 홍콩시티홀 극장에서 첼리스트 미하이 마리카(Mihai Marica), 바이올리니스트 우예주, 피아니스트 칼로스 아빌라(Carlos Avila)가 함께한 ‘영마스터즈 콘서트’가 있었다. 
 

1498005656805.jpg


이날 연주회에는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 유복근 부총영사와 유병채 문화홍보관을 비롯해 주홍콩필리핀영사관 론데리코 아티엔자 부총영사, 주홍콩나이지리아영사관 테르스 스티븐 비케이마 영사, 홍콩 음악계의 대부인 입혜강 박사, 오찬훤 KOTRA 홍콩무역관 부관장, 김옥희 홍콩 코윈 고문, 최영우 홍콩한인회 고문 등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1498005654368.jpg

 
본격적인 연주회에 앞서 축사에 나선 유복근 부총영사는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자인 알버트 마르코프가 춘천 출신 김유정의 수필 ‘5월의 산골짜기’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코리안 랩소디’를 홍콩에서 감상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번 연주회가 한국을 더욱 더 알리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객석은 베토벤 삼중주 5번 Op. 70, No. 1 < 유령>, 드보르작 삼중주3번 f단조  Op.65 등 연주자들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선율로 가득 찼다. 특히, 서양 클래식 음악에 ‘아리랑’, ‘한오백년’ 등의 한국 전통 음률이 어우러진 서양 ‘코리안 랩소디’ <5월의 산골짜기> 연주가 끝나자 객석에서 우뢰와 같은 박수가 쏟아졌고, 감동의 여운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공연 후 관객과의 만남의 시간을 가진 연주자들은 홍콩침례대학 음악대학 학생과 클래식 애호가들의 질문에 시종일관 소탈하고 친절한 답변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또한, 그들은 ‘코리안 랩소디’ 연주가 매우 신선하고 인상적이었다고 입을 모으는 관객들을 향해 고마움을 표시했다.

 

1498005663476.jpg

 

공연을 기획한 문은명 로저린스튜디오 공동대표는 “이번 연주회는 홍콩 하버시티(Harbourcity), 홍콩 중서구 구의회(Central & Western District Council) 등의 후원을 받아 개최했다”며 “교민뿐만 아니라 현지인들에게 큰 감동을 안겨준 것 같아 뿌듯하고, 앞으로도 현지 정부, 단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가며 홍콩에 한국 예술의 다양성과 우수성을 알리겠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이어 “그동안 연주회 홍보를 위해 애쓰신 주홍콩대한민국 총영사관, 한국관광공사 홍콩지사, 홍콩 코윈 등 많은 기관∙단체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홍콩에서 ‘영마스터즈 콘서트’를 함께 연 첼리스트 미하이 마리카(Mihai Marica), 바이올리니스트 우예주, 피아니스트 칼로스 아빌라(Carlos Avila)는 ‘우예주와 뉴욕친구들’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팀을 결성해 2013년 뉴욕 카네기홀에서 처음 연주를 했다. 현재 전 세계를 무대로 맹활약을 펼치고 있는 그들은 지난해 춘천시 홍보대사로도 활동 중이다.

 

[글=홍콩타임스 이경옥 기자, 사진=홍콩 로저린스튜디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76 홍콩 캐리 람 행정부 장관, ‘시위가 홍콩 경제 악화 초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5 홍콩 관광객 수·호텔 객실 이용률 두 자리 수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4 홍콩 다수 슈퍼마켓, 과도하게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해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3 홍콩 AI 기술 이용해 온라인 범죄 수사 확대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2 홍콩 美, 홍콩 여행주의보 2단계 발령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1 홍콩 퀸즈 메리 병원, 새로운 응급서비스 전용센터 개설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70 홍콩 홍콩, 대만 금마장 영화제 보이콧 대열 합류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69 홍콩 시위 현장 누비는 ‘노란 조끼’ 응급처치 자원봉사자 file 위클리홍콩 19.08.13.
1068 홍콩 170만 반정부 시위자들의 행진, 평화의 전략으로 전환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7 홍콩 경제 부양책에도 전문가 ‘하반기 경기 침체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6 홍콩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신규 아파트 분양 시기 연기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5 홍콩 신규 아파트 10%에 1:25 분양 경쟁률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4 홍콩 홍콩 부동산 전망 ‘잿빛’, 손해보면서까지 부동산 처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3 홍콩 홍콩에 대한 강력한 조치해야 한다는 中 여론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2 홍콩 HSBC, 경영 환경 악화로 대대적 개편 선포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1 홍콩 항생제에도 끄떡없는 슈퍼버그…홍콩 16명 감염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60 홍콩 올해 중추절, 홍콩사람 50% 이상, 월병 선물 원치않아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59 홍콩 ‘액체괴물’ 점액성 완구, 유해물질 범벅, 안정성 논란 file 위클리홍콩 19.08.20.
1058 홍콩 핵심 산업 타격에 실업률 상승까지, 경제 침체 우려 증폭 file 위클리홍콩 19.08.27.
1057 홍콩 위안화 가치, 11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위클리홍콩 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