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6-주4일수업.jpg

 

유치원과 초등학교 주 수업 일 수를 현재의 4.5일에서 4일로 되돌리는 것을 허용하는 법령이 6월 28일자로 시행에 들어갔다. 현재의 4.5일 수업을, 학교가 원하면 4일로 되돌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번 변경으로 학업 리듬(rythmes scolaires)이 9년 동안 세번째 바뀌게 된다.

 

이 법령은 코뮌과 공립 학교가 동의하면 지역 교육청의 장학관은 4일 간 8회 반나절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데, 이 조치는 2017년 가을 신학년도부터 실시한다. 니스 시와 파리 교외 콜롱브(Colombes) 시는 이미 주 4일 수업으로 되돌아 가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는 2018년에 확정될 것이라고 장-미셸 블랑케르 교육부 장관이 확인했다.

 

이번 9월부터 학업 리듬을 변경하고자 하는 코뮌은 교육부 산하 교육청의 지원을 받아 이를 유연하게 시험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조치의 확정은 2018년에 있을 것이다.

전에 4.5일 하던 유치원과 초등학교 수업 일 수가, 2008년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 시절에 주 4일 수업으로 되돌아왔다. 토요일 오전 수업 폐지 및 그전까지 주 26시간 수업을 24시간으로 줄이는 것과 동시에 시행에 들어 갔다. 이 조직은 생체 리듬 학자 (chronobiologistes)들에 의해 비판되었다. 그후 2013년에 교육부 장관 뱅상 페이옹(Vincent Peillon)은 수요일 오전을 더하여 다시 주 4.5일 수업으로 되돌렸다. 

 

6월에 발표된 상원 연구그룹의 한 보고서는, 비록 교육 리듬개혁이 임기응변적이고 볼완전하더라도 주 4일 수업으로 되돌아 가지 말 것을 권고했다. 장-클로드 카를르 (Jean-Claude Carle) 상원 의원은, 4일 수업으로 되돌아 가는 것은 ‘어린이의 세계보다 어른의 세계를 중시하는 안목’이라고 밝혔다.      

정치 연구소의 최근 연구 보고서에서는, 2013년 학업 리듬 개혁 (주 4,5일)은 ‘어머니들에게 수요일 근로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들의 노동 시간을 보다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코뮌으로 보면, 주 4일 수업으로 통학 버스 및 과외 활동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프랑스 시장 협의회 (AMF)는 ‘현재의 조직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을 환영하지만, 이 조치가 잘 준비되지 않고 급조된 것이 유감’이라고 밝혔다. 2013년의 개혁은 국토 자치 단체들에게 엄청난 작업과 이에 따른 투자를 하도록 했다. 이를 위한 지원금의 영속화를 위한 구체적인 보장을 요구하기도 했다.

 

217년 가을, 신학년도에 수요일 수업은?

 

주4일 수업 허용 계획은 29일 교육부의 교육 고위 위원회 (CSE)로부터 부정적 의견을 받았다. 때문에 신학년도 시작 때 수요일 수업을 하지 않는 학교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대표적인 학부모 연맹 FCPE는 ‘이 조치가 아직 분명하지 않다. 가족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알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시간도 너무 촉박하다

마르세이유가 주4일로 가려고 하다가 금년에는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마르세이유에 학교가 444개, 아동 수는 76 000 명이다. 

7월 7일까지 모든 학교를 접촉해야 한다. 다른 문제는 과외 활동을 완전히 재조직해야 하고, 인원을 재배치하여 수요일 오전 옥외 활동을 급히 강화해야 한다. 새 조직은 시 의회의 가결을 거쳐야 하며, 지역 교육청 장학관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단, 주4일 수업을 원하는 작은 코뮌들은 쉽게 주4일 수업으로 갈 수 있다. 이제까지 하고 있던 과외 아틀리에를 1시간 뒤로 하면 된다.

대도시 중에서는 니스 한 곳만 9월부터 주4일 수업을 하게 된다. 시교육청은 14개 학교 교장에게 이를 위해 준비하라고 서신을 보냈다. 니스 시는 미리 학교, 학부모, 교사, 시 의원 위원회의 의견을 물었는데, 71%가 주4일 수업에 찬성했다.

방학은?

대부분의 대 도시들은 주4일 수업을 2018년부터 실시하려고 한다. 교육부 장관의 지침은 주당 수업 시간은 24시간, 하루에 최고 6시간까지이고, 반나절에 최고 3시간 반까지이며, 12시(점심 때)에 적어도 한 시간 반 휴식 시간을 가져야 한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98 독일 독일 대학교가 외국 학생들에 인기가 높은 이유 유로저널 14.11.23.
1097 영국 영국 최저임금 일자리, 동유럽 노동자들이 채워 유로저널 14.11.23.
1096 프랑스 프랑스인들 대다수가 동성애 결혼에 찬성 file 유로저널 14.11.23.
1095 프랑스 미노토르의 미로가 되어버린 피카소 박물관 유로저널 14.11.23.
1094 프랑스 ‘닷 파리’ 도메인, 본격 개통 프랑스존 14.12.04.
1093 프랑스 종교의 역사와 예술의 도시, 아비뇽, Avignon 프랑스존 14.12.04.
1092 프랑스 화기애애했던 재불한인회장선거 & 재불한인송년의 밤 프랑스존 14.12.04.
1091 프랑스 재불한인회장 세대교체, 한인사회 도약의 계기로 file 프랑스존 14.12.04.
1090 영국 영국 노동자들, 실질임금 하락 가장 커 유로저널 14.12.11.
1089 독일 독일, 미국 다음 두번째로 중요한 이주국가 유로저널 14.12.11.
1088 프랑스 작은 정성 큰 베품, 함께 보내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프랑스존 14.12.18.
1087 프랑스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마르세유, Marseille 프랑스존 14.12.18.
1086 프랑스 이국정취 가득한 프랑스의 폴리네시아, 글래낭 군도 프랑스존 14.12.18.
1085 프랑스 이한치한? 연말 추위를 즐기는 방법 프랑스존 14.12.18.
1084 프랑스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보내면서… 프랑스존 14.12.18.
1083 독일 경제 전문가, 독일경제 예상 의외로 성장할 것 유로저널 15.01.07.
1082 영국 영국주택가격, 하루 평균 42파운드(약 70달러) 인상 유로저널 15.01.07.
1081 베네룩스 네덜란드인의 모슬림에 대한 부정적 시각 최고조에 달해 유로저널 15.01.07.
1080 기타 터키 여행시 친근하게 접근하는 터키인들 주의해야 유로저널 15.01.07.
1079 프랑스 프랑스인 60%, 외국인들 투표참여에 반대 유로저널 1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