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산업혁명은 증기기관 발명으로 손으로 하던 일을 기계화 함으로써 대량생산이 시작되었다. 2차 산업혁명은 전기와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한 대량생산 기술이, 3차 산업혁명은 1980년대 중반 본격화된 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이 주도하였으며, 이 과정에 급격히 발전된 컴퓨터 기술과 대규모 디지털 지식정보(빅데이터)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인공지능이 현실화되었다.
인공지능과 동시에 작동되는 로봇 기술이 미래를 바꾸고 있다. 이 과정을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국내 의료기관 중 인공지능을 최초로 도입한 곳은 가천대학교의 길병원이다. 개소 후 처음 복부 통증 환자로 대장내시경을 통해 대장암 진단을 받은 후 불과 수초 내 인공지능은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을 제안했다. 약물 치료는 폴폭스(FOLFOX, 일반항암제)와 케이폭스(CapeOX, 일반항암제)이다. 이는 기존에 의료진이 예상한 치료법과 동일한 것이었다.
근래 부산대학 병원에서도 인공지능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엑스레이, 초음파, 개인 의료 데이터를 분석해 환자에게 맞춤형 진료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특히 심장 이미지와 의료 데이터를 결합해 심장마비, 심장 근육 질환, 심부정맥 혈전증 등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정밀 의료 및 치료 서비스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현대 과학이 영생불멸에 도전한다는 사실이다. 기술혁신의 중심지인 실리콘밸리에서는 정보기술(IT) 혁명을 통해 IT기술만 접목하면 현재 의료기술 수준으로도 평균 수명 100세 이상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또 뇌 과학, 분자생물학, 유전공학, 나노 기술을 투입해 영생 기술을 확보하려고 노력 중이다. 구글(Google)이 ‘수명연장 연구’를 위해 만든 ‘캘리포니아 생명회사’는 신시아 케넌 박사를 영입했다. 그는 유전자 조합으로 기존 개체보다 수명이 10배 늘어난 회충을 만들어 낸 인물이다.
‘DAF-2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해 회충의 수명을 연장시켰다. 케넌 박사는 “100세 이상 장수한 사람에게서 ‘DAF-2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반인에 비해 훨씬 빈번하게 관찰된다”고 말했다. 분자 생물학이 가까운 장래에 ‘젊음의 샘’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나노(10억분의1 미터) 수준의 소형 로봇 수백만 대를 인체에 넣어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구글의 공학부문 책임자인 레이 커즈와일은 “2030년대쯤에는 나노 로봇을 통해 인체의 면역수준을 분자수준에서 강화, 질병을 치료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나노 로봇의 크기는 혈액세포 정도인데 알약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혈액을 타고 인체를 돌며 약물과 호르몬을 정확하게 필요한 세포에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줄기세포 연구도 크게 진전되어 머지 않아 실용단계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특히 무릎 관절 재생은 물론 뇌세포 재생을 통해 치매나 불구자를 구할 길이 열린다. ‘3차원 프린터’기술로 인체 장기세포와 물, 영양물질을 혼합해 인조 장기를 만들어 내는 실험도 진행되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사람의 정신을 기계에 이식하는 방법이 거론된다.
우리 뇌에 담긴 기억과 의식 등을 컴퓨터에 이식하는 게 최종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러시아의 억만 장자 드미트리 이츠코프가 대표적이다. 두뇌 속의 의식을 멀리 떨어진 ‘아바타’에게 전송하는 길을 찾아내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투입하고 있다. 그는 “이 방법이 성공하면 내가 좋아하는 수많은 취미를 1만년 이상 즐기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TOP Digital
http://www.topdigital.com.au/node/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