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민족 언어 중 17위 

5년 사이 15,610명 증가 

2016 인구센서스 분석자료

 

작년에 실시된 인구센서스 조사 결과 캐나다 전역에서 한국어를 1차 언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5년 사이에 11% 가량 증가했다.

 

연방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16년도 인구센서스 언어통계분석자료에 따르면 가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총 15만 7,225명이었다. 2011년 조사에서 14만 1,615명이었던 것에 비해 1만 5,610명이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이 언어만으로 캐나다 한인의 수를 가늠할 수는 없다. 이미 이민 1.5세대와 2세대 중 한국어보다 영어가 편한 한인들이 독립을 하고 가정을 꾸리고 있어 단순 언어만으로 한인의 수를 다 헤아릴 수는 없다. 

 

2011년과 비교해 20개 주요 소수민족 언어사용자 수 증가율에서는 한국어가 10번째로 높았다.

2016년도 인구센서스에서 770만 명 이상이 공식언어 이외의 이민자모국어(immigrant mother tongue)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사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체 캐나다 인구의 22.3%에 해당한다.

이중 730 만명이 집에서 이민자모국어를 주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비공식언어 사용자 중 만다린과 광동어를 합쳐 중국어 사용자가 130만 명 정도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펀잡어가 약 57만명으로 2위, 스페인어가 55만 여명으로 3위를, 필리핀 타갈로어가 약 53만명으로 4위를 아랍어가 51만 여명으로 5위를 차지해 5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등극했다.

 

이민자모국어 사용자의 수가 주로 늘어난 주는 온타리오주로 2011년에 비해 35만 2,745명이 늘었다. BC주를 포함한 알버타, 사스카추언, 마니토바주도 합쳐서 41만 4,260명이 늘었다.

 

대도시별로 보면 이민자모국어 사용자의 35.3%가 토론토에 이어 밴쿠버에 14.1% 그리고 몬트리올에 13%에 거주한다. 그런데 이는 2011년도에 각각 36.3%, 14.3%, 그리고 13.3%였던 것에 비해 아주 미세하게 감소한 수치다. 즉 이들 3대 도시 이외 지역으로 비공식언어 사용자들이 이주를 했다는 의미다.

 

대도시의 비공식어 사용자의 증가율에서 에드몬튼이 31.1%로 1위를, 이어 캘거리가 28%로 2위를 차지했다. 밴쿠버는 11.5%, 토론토는 10.3% 그리고 몬트리올은 10.6%가 각각 증가했다.

서부캐나다 주들에서는 아시아권 국가의 언어가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77 캐나다 김 건 총영사 데비드 에비 BC주 신임 법무장관과 오찬 밴쿠버중앙일.. 17.08.03.
7376 캐나다 라이온스클럽 최태주 회장 정부 포상 후보로 밴쿠버중앙일.. 17.08.03.
7375 캐나다 이번주 고온 대비 열사병 주의보 밴쿠버중앙일.. 17.08.03.
7374 캐나다 BC 페리 신형 선박 조기 투입 결정 밴쿠버중앙일.. 17.08.03.
7373 캐나다 메트로 밴쿠버 공기질 경보 주말까지 연장 예상 밴쿠버중앙일.. 17.08.03.
7372 캐나다 캐나다도 1인가구 비중 빠르게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8.03.
» 캐나다 캐나다 한국어 사용자 총 157,225명 밴쿠버중앙일.. 17.08.03.
7370 캐나다 재외국민 양도세 등 바뀐 세제에 영향 밴쿠버중앙일.. 17.08.03.
7369 미국 "플로리다에선 선글라스를 끼세요" 코리아위클리.. 17.08.03.
7368 미국 개스값 평균 5센트 상승, 향후 몇주간 계속 오를듯 KoreaTimesTexas 17.08.04.
7367 미국 ‘백투스쿨’ 세일 … 11일부터 3일간 판매세 면제 KoreaTimesTexas 17.08.04.
7366 미국 8월 21일 “태양이 사라진다” KoreaTimesTexas 17.08.04.
7365 미국 트럼프 대통령 이민개혁법안 발표 file 뉴스앤포스트 17.08.04.
7364 미국 터마이트가 플로리다를 갉아 먹고 있다 코리아위클리.. 17.08.04.
7363 미국 주택경기 좋아진다는데... 팔까, 세를 놓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17.08.05.
7362 미국 유엔 8번째 대북제재 효과있을까? file 뉴스로_USA 17.08.06.
7361 캐나다 캘거리 지난주 수요일 밤, 136년만에 최고 더위 기록 CN드림 17.08.09.
7360 미국 14일 세계 위안부의 날 … 달라스 촛불집회 열린다 KoreaTimesTexas 17.08.10.
7359 미국 가오리 시즌 맞은 플로리다… 독침 ‘요주의’ 코리아위클리.. 17.08.10.
7358 미국 무서운 싱크홀, 주택가치도 삼킨다 코리아위클리.. 1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