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민족 언어 중 17위
5년 사이 15,610명 증가
2016 인구센서스 분석자료
작년에 실시된 인구센서스 조사 결과 캐나다 전역에서 한국어를 1차 언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5년 사이에 11% 가량 증가했다.
연방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16년도 인구센서스 언어통계분석자료에 따르면 가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총 15만 7,225명이었다. 2011년 조사에서 14만 1,615명이었던 것에 비해 1만 5,610명이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이 언어만으로 캐나다 한인의 수를 가늠할 수는 없다. 이미 이민 1.5세대와 2세대 중 한국어보다 영어가 편한 한인들이 독립을 하고 가정을 꾸리고 있어 단순 언어만으로 한인의 수를 다 헤아릴 수는 없다.
2011년과 비교해 20개 주요 소수민족 언어사용자 수 증가율에서는 한국어가 10번째로 높았다.
2016년도 인구센서스에서 770만 명 이상이 공식언어 이외의 이민자모국어(immigrant mother tongue)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사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체 캐나다 인구의 22.3%에 해당한다.
이중 730 만명이 집에서 이민자모국어를 주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비공식언어 사용자 중 만다린과 광동어를 합쳐 중국어 사용자가 130만 명 정도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펀잡어가 약 57만명으로 2위, 스페인어가 55만 여명으로 3위를, 필리핀 타갈로어가 약 53만명으로 4위를 아랍어가 51만 여명으로 5위를 차지해 5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등극했다.
이민자모국어 사용자의 수가 주로 늘어난 주는 온타리오주로 2011년에 비해 35만 2,745명이 늘었다. BC주를 포함한 알버타, 사스카추언, 마니토바주도 합쳐서 41만 4,260명이 늘었다.
대도시별로 보면 이민자모국어 사용자의 35.3%가 토론토에 이어 밴쿠버에 14.1% 그리고 몬트리올에 13%에 거주한다. 그런데 이는 2011년도에 각각 36.3%, 14.3%, 그리고 13.3%였던 것에 비해 아주 미세하게 감소한 수치다. 즉 이들 3대 도시 이외 지역으로 비공식언어 사용자들이 이주를 했다는 의미다.
대도시의 비공식어 사용자의 증가율에서 에드몬튼이 31.1%로 1위를, 이어 캘거리가 28%로 2위를 차지했다. 밴쿠버는 11.5%, 토론토는 10.3% 그리고 몬트리올은 10.6%가 각각 증가했다.
서부캐나다 주들에서는 아시아권 국가의 언어가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