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의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5)
Newsroh=강명구 칼럼니스트
국경선에는 군인도 없고 경찰도 없고 보안요원도 없었다. 당연히 검문소(檢問所)도 없었다. 뭉게구름이 넘나들고 바람이 넘나들고 자전거를 탄 사람들이 마치 이웃동네 마실 다녀오듯 넘나들었다. 그리고 유모차를 밀며 내가 그 국영을 평화롭게 넘고 있다. 라인 강물은 소리 없이 길옆으로 흐르고 그 위로 백조가 평화롭게 노닐고 있다.
개인의 삶은 국가의 삶과 평행을 이룬다. 국가가 단절되자 내 할머니와 아버지의 5형제들의 삶도 단절되었다. 그것은 그들의 자손인 내게도 내 사촌들에게도 쫓아다녔다. 우리 땅에는 아직도 수많은 사람들이 이웃동네 마실 다녀오듯이 길을 나섰다가 70여년이나 혈육과 단절된 채로 살고 있고 그렇게 살다가 죽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거주이전의 자유를 가지고 태어났다. 그 권리를 찾는 것은 인류가 더 평화롭고 더 풍요롭고 더 평등해지는 지름길이다. 익숙한 곳을 떠나서 미지의 세계로 떠나는 것은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늘 있어왔던 일이다. 나는 감히 인류의 진화과정마저 들먹이고 있다. 내가 가는 길은 그들이 아프리카의 사바나에서 유럽으로,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주했던 길을 따라가는 것이 될 것이다.
이제 인류는 국경 없는 세상을 꿈꾸고 상상하고 실현해나갈 때이다. 여권과 비자 없이도 자유로이 여행을 다니며 천부인권(天賦人權)인 ‘거주이전의 자유’에 의하여 어느 곳이든 자기가 원하는 곳에 삶을 터전을 마련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는 것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존중하며 타자를 환영하며 이웃으로 인정하며 사는 것은 인류역사상 오래된 능력이다. 사람들이 낯선 나를 살갑게 대해주는 것도 이런 오랜 능력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국경이 없어지면 더 이상 분쟁은 없어질 것이며 군대는 다 해산해도 좋을 것이다.
이제 와서 새삼 이러한 삶이 특별해 보이는 것은 내 것과 네 것을 구분하는 서구인들의 이기심 때문이다. 오랜 삶의 원형들은 불과 수세기 만에 다 파괴되었다. 중국인들이 오랜 세월에 거쳐 만리장성을 쌓고 오랑캐와 중화를 구분하기는 하였어도 지금처럼 국경선이 확실하게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레이넨에서 도드와드로 가는 길에는 작은 강을 건너는 나룻배를 타고 건넜다. 나룻배라고 표현했지만 그것은 카페리이다. 그러나 강을 건너는 사람은 작은 스쿠터를 탄 소녀와 내가 전부였다.
그곳을 지나 네이메이겐으로 가는 길은 강둑을 하염없이 달리는 길이었다. 그 강은 네덜란드에서는 왈 강이라 불리우고 조금 더 올라가 독일 국경을 넘으면 라인 강이라 불리는 강이다. 그 둑방길 위에서 만난 10여 명의 자전거 여행객들이 나를 열렬히 응원해주며 지금의 한반도의 상황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다. 한 아주머니는 밥이라도 한끼 따뜻하게 사먹으라며 10유로를 건네준다. 이제 나는 국제적인 후원을 받으며 달리는 사람이 되었다.
점심시간을 약간 지나서 네히메이겐 시내로 들어왔는데 월요일이라 식당 문은 거의 닫혀있다. 다행히 근처에 야시장이 열려서 들어갔더니 사람들이 긴 줄을 서있다. 나도 그 줄에 섰다. 무엇이라도 먹어야했다. 생선튀김 가게였는데 5유로와 7유로짜리가 있어서 7유로짜리를 주문했더니 푸짐하게 한보따리를 싸주었다. 아까 그 아주머니가 준 10유로에서 아직도 3유로가 남았다.
이름도 모르고 주문했는데 라인 강에서 잡히는 메기튀김이었다. 미시시피를 지날 때 먹어보던 바로 그 맛이다. 한국인들에게 메기는 튀김 요리로 먹기에는 정말 아까운 생선이다. 우리에겐 매운탕이라는 기가 막힌 요리법이 있다.
내가 국경을 넘어 독일 땅에서 처음 밟은 도시는 크라넨버그이다. 옥수수 밭과 옥수수를 막 수확한 밭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클레베는 ‘백조의 기사’ 전설이 있는 도시이다. 백조의 기사 로엔그린은 엘자공주가 곤경에 빠졌을 때 백조를 타고 나타나 멋지게 구하고 엘자공주와 결혼을 한다. 그는 결혼하면서 엘자공주에게 자신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묻지 말라고 하였다. 하지만 꿈같이 달콤한 첫날밤 엘자공주는 금기를 어기고 만다. 이 이야기는 바그너가 오페라로 만든다.
바그너는 북유럽 신화의 보고(寶庫)인 ‘에디’와 독일의 영웅서사시 ‘니벨룽겐의 노래’ 등을 바탕으로 음악극 ‘니벨룽겐의 반지’ 대본을 썼다. 바그너는 독일의 민족적 정체성을 가진 신화나 전설에 관심이 많아 그것을 바탕으로 변형과 창작을 가해서 작품을 썼다. 히틀러는 바그너의 ‘로에그린’을 관람한 후 바그너에 매료되었고, 독일인으로서의 자긍심(自矜心)을 치켜세워주는 바그너의 음악과 자신의 영웅적인 신화창조의 융합을 모색하였다. 이후 히틀러는 독일인을 하나로 묶고 자신의 나치즘의 확산을 위해 바그너의 음악을 철저히 활용했다.
알프스 산의 눈이 녹아 흘러내려 라인 강을 따라 흐른다. 잔텐은 라인강 옆에 있는 옛 로마인들이 살던 역사적인 도시이다. 라인강은 남독일에서 북독일까지 880km를 관통하며 흐르는 예로부터 독일의 가장 중요한 젖줄이다. 라인강을 뱃길로 이용하기 위하여 독일인들은 이미 19세기부터 물길을 직선화하고 강바닥을 파는 준설 공사를 했으며 그 후 몇 개의 갑문도 세웠다. 독일인들은 우리의 4대강보다 먼저 혹독한 대가를 치렀다.
독일은 중부유럽에서 가장 큰 나라이다. 통일을 이루어낸 나라 독일은 곳곳에 천 년의 역사를 품은 건물이 석탄 연기에 시커멓게 그을은 채 그대로 서있다. 대기에는 고전음악이 숲속의 새소리처럼 어디에서나 들려오는 듯하고 고전 철학이 봄 호수 위의 안개처럼 피어오르는 나라이다.
역사적으로 독일이라는 국가가 존재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러나 독일인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게르만족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게르만족은 오늘날 스웨덴인, 덴마크인, 노르웨이인, 앵글로색슨인, 네덜란드인, 독일인 등이 이에 속하며 375년 고트족이 아시아에서 침입해 온 훈족을 피해 이동을 시작하는데 이것을 게르만족의 대이동이라고 부르며 게르만 왕국이 각지에 세워졌다.
여기에는 북아프리카의 반달왕국, 에스파니아의 서고트왕국, 이탈리아의 동고트왕국, 남프랑스의 부르군트왕국, 북프랑스의 프랑크왕국 등도 포함된다. 게르만인은 남방인종에 비해 키가 크고 금발에 벽안의 눈동자가 특징이다.
원하는 일을 이루기까지 절대로 뒤를 돌아보아서는 안 되다거나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금기(禁忌)가 동서양을 말론하고 동화나 신화에 자주 등장한다. 유모차의 기사인 나는 이 여정이 끝날 때까지 무엇을 금기로 하여야 할까 생각해보았다.
- 글로벌웹진’ 뉴스로칼럼 ‘강명구의 마라톤문학’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gmg
- |
- 20170904_104301[1].jpg (File Size:118.5KB/Download:36)
- 20170904_111310[2].jpg (File Size:154.8KB/Download:36)
- 20170904_125217[1].jpg (File Size:189.5KB/Download: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