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객 5명가운데 1명, 휴가지에서도 업무에 매달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상당수의 미국인들이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폰을 가지고 휴가여행을 떠나 휴가 중에도 업무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 AP > 통신과 입소스가 지난 8월 15~17일에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수 1000명, 조사의 오차한계 ±5%) 결과에 따르면, 휴가 여행객 5명중 1명꼴로 랩탑 컴퓨터를 휴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80%는 휴대폰을 가지고 휴가를 떠난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휴가객의 5분의 1은 휴가 기간중 사무실로부터 온 메시지를 확인하고 업무 진행 상황을 전화로 확인하는 등 어떤 형태로든 일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휴가객의 50%는 보이스 메일과 같은 개인 메시지를 확인하고, 5분의 2는 이메일을 확인했다.

 

결국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폰 등의 전자 기기의 발달로 편리함을 누리는 시대가 도해 했지만, 이로 인해 직장, 가족, 친구 등에 쉽게 속박되는 역효과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40세 이하 4명중 1명 휴가지에 랩탑 컴퓨터 휴대

 

특히 이러한 ‘전자 중독’ 현상은 젊은 층에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령 64세 이상의 노년층 휴가객가운데는 랩탑 컴퓨터를 휴대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50-64세 사이의 연령층에서는 15%가, 40세 이하 연령층에서는 4명 가운데 1명이 랩탑 컴퓨를 휴대해 연령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남성들 가운데 특히 백인 남성들은 휴가 중에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일을 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교육 수준이 높거나 소득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에도 업무에 관여하는경향이 두드러졌는데, 이들이 전문적 업무나 경영 책임을 맡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메릴랜드 대학 사회학과 수잔 비앤치교수는 <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오늘날 처럼 통신 수단이 발달한 상황에서 경영업무를 맡은 경우 업무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더욱 힘들다”면서 자신도 휴가 기간중 매주 출근한다고 밝혔다.

 

작년 알래스카 크루즈 여행때도 사무실과 계속 연락을 취하며 일을 했다는 배리 아이젠슨(64) 변호사는 “오히려 멀리 떨어져 있어 출근하지 않는 것에 더욱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말했다.

 

휴가 기간에 업무와 관련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연령이 높은편인데,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책이 높아 책임감이 크기 때문이다.

 

펜실베니아 주립대학(PSU) 여가학 제프리 갓베이 교수는 40대 후반 에서 50대 초반의 남성들은 중간 매니저로 무엇이든 놓쳐서는 안된다는 중압감을 느끼므로 휴가는 그들에게 부차적일뿐이라 설명했다.

 

"나는 타인에게 항상 중요한 사람" 심리 작용

 

휴가객들이 휴가 기간에도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다.

 

휴가 기간에도 일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타인에 항상 중요한 사람이라는 기대를 심어주고 싶어하며, 휴가를 즐기느라 중요한 정보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것. 또 어떤 사람들은 항상 업무나 사람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기도 한다.

 

메릴랜드 대학 사회학자 존 로빈슨 교수는 “어떤 사람들은 휴가 기간에도 연락이 닿아 일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데, 휴가 기간에 당사자가 원해서 일하는 것인지 의무감으로 일하는 것인지가 문제일 뿐이다”고 말했다. 즉 원해서 일하는 경우는 의무감으로 일하는경우보다 스트레스가 심하지 않아 정신 건강에 덜 해롭다는 것이다.

 

  • |
  1. laptop.jpg (File Size:29.4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177 캐나다 BC주 일일 확진자 다시 800명 대 돌파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4.
7176 캐나다 연방 총선, 자유당과 보수당 초박빙의 승부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4.
7175 캐나다 9월 1일부터 12세 이하 BC 대중교통 무료 이용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3.
7174 캐나다 버나비 15세 소년 3명의 여성 성폭행 혐의로 입건 밴쿠버중앙일.. 21.09.03.
7173 캐나다 2일 오전에만 메트로타운 곳곳 교통사고에 사망자 3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3.
7172 미국 올랜도 지역 유명 골프장들 공원으로 탈바꿈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71 미국 올랜도 기독교 테마공원 '홀리랜드', 20년만에 완전 폐장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70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감염자 4명 중 1명은 어린이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69 미국 대형식품점 '크로거', 배달로 플로리다 시장 경쟁 나선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68 미국 플로리다 지난해 유선전화 이용자 14% 줄어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67 미국 마스크 착용 놓고 교육구와 갈등 벌이는 주정부들,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66 미국 미국 푸드스탬프 지원금 25% 인상, 역사상 가장 큰 증가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65 미국 코로나 치료에 동물 구충제를? file 코리아위클리.. 21.09.02.
7164 캐나다 코로나19, 북한 학자 지식교류 협력 온라인으로 추진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2.
7163 캐나다 코로나시대가 만든 재외동포를 위한 심박한 온라인 성묘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2.
7162 미국 뉴욕문화원 첫 한국영화특별전 file 뉴스로_USA 21.09.02.
7161 미국 애리조나와 조지아주, 애플 첫 ‘디지털 운전면허증’ 실시 YTN_애틀란타 21.09.02.
7160 캐나다 BC 코로나19 유행 내륙보건소에서 전 지역으로 확산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1.
7159 캐나다 트뤼도의 장고 끝 악수...보수당 차기 집권 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1.
7158 캐나다 랭리-알더그로브 선거구 연방NDP 장민우 후보 30일 선거사무소 개소 file 밴쿠버중앙일.. 2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