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수단 고속버스 철도 여객선 순

 

 

북경=Newsroh 크리스 로 기자

 

 

IMG_0595.jpg

 

 

7억명의 대이동이 중국 대륙에서 펼쳐지고 있다.

 

중국에서 추석 중추절(中秋节)과 국경절(国庆节) 연휴를 맞아 지난 1일부터 7억여명의 대이동이 이뤄지고 있다.

 

올해 중국에서 추석은 국경절 연휴와 10월 4일로 같다. 하지만 연휴는 1일부터 8일까지 이어지고 있다. 올해 한국은 개천절과 한가위, 한글날이 이어져 지난 1일부터 근 열흘의 사상 최장기간 연휴로 중국을 능가했지만 본래 중국은 설날(춘절) 다음으로 긴 연휴를 추석 즈음에 쉬고 있다.

 

중국 전역의 기차역과 공항, 도로에는 이미 지난달 말부터 여행 및 귀성 행렬이 줄을 이었다. 환구망에 따르면 이번 연휴 기간에 5억6,000만명이 고속버스 등 도로를 이용하고 1억3,000만명은 기차, 1,590만명은 여객선, 1,300만명은 항공편을 이용해 이동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1일에 철도를 이용한 숫자는 1,600만명으로 지난해 동 기간에 비해 16%가 증가했다.

 

해외여행을 나서는 숫자는 600여만명으로 어지간한 나라의 인구에 비견된다. 몇 년전까지만해도 가장 인기있는 관광지였던 한국은 10위권 밖이고 일본, 태국, 싱가포르가 가장 인기있는 나라들이다.

 

 

IMG_0597.jpg

 

 

명절 기간 기차 표는 보통 한달전에 매진되지만 뒤늦게 표를 구하는 사람들은 수시로 온라인 티켓사이트(CTrip 등)에 들어가 반환 티켓이 없는지 확인해서 구매하기도 한다.

 

북경(베이징) 시내엔 이미 귀향한 사람들이 많아 비교적 한산(閑散)한 편이다. 기차역으로 향하는 길에 사람들이 가장 붐비는 지하철 2호선 열차내에도 평소보다 빈자리가 많았다. 하지만 아직도 고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 북경 시외 기차역과 버스역에는 6일까지도 사람들로 꽤 붐빌거로 예상되고 있다.

 

북경엔 크게 북경역, 북경서역, 북경남역 기차역이 있는데 이중 가장 최근인 2008년 완공된 북경남역은 시속 300km대의 고속열차들이 운영되기도 하는 북경 최대의 기차역이다.

 

기차역 출구들이 모여있는 대기실엔 많은 사람들로 붐볐지만 급행입구(express entrance)는 바로 기차역으로 연결된 통로로 연결돼 한결 공간이 여유롭다. 급행입구는 기차역 외부에서 이미 티켓을 구매한 사람들이 이용할수있는데 10분내로 탑승이 가능하다. 반면 현장에서 티켓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1~2시간정도 줄을 서야 될 것으로 예상된다.

 

 

IMG_0596.jpg

이상 중국 최대 기차역 북경남역 풍경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 |
  1. IMG_0595.jpg (File Size:154.4KB/Download:45)
  2. IMG_0596.jpg (File Size:178.6KB/Download:42)
  3. IMG_0597.jpg (File Size:133.3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6 홍콩 출처 알 수 없는 HPV 백신 포착, 의약품 밀수 의혹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5 홍콩 은둔형 외톨이 전체 인구 2% 추정, 일본보다 높아 환자 심리적 문제보다 ‘환경·사회·교육 복합적 문제’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4 중국 미중 무역전쟁 악화로 세계경제 암울해 질 수 있어 해외IB 전망 "대중국 관세 전체 확대 시 중국성장률 2% 하락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3 중국 중국 주요대학 여학생들, 자신의 난자 팔아 용돈벌이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2 중국 광둥성 경유 무비자 체류 정책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1 홍콩 아동·노인 학대 및 학대 방관 처벌 강화…최고 20년형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90 홍콩 환경단체, 슈퍼마켓의 불필요한 플라스틱 포장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9 홍콩 새로운 근현대 건축물 문화유산 평가 시스템 도입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8 홍콩 대학 졸업생 증가로 일자리 부족으로 급여 수준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7 홍콩 홍콩 젊은 층 40%, 휴식 취하면 불안·초조·두려움 느껴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6 홍콩 USB 충전 멀티탭 안전성 미달… 제품 사용 시 감전 주의 당부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5 홍콩 홍콩관광청, 관광산업 서비스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4 홍콩 홍콩 정부, 카우룽 파크 지하 공간 개발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3 홍콩 공립 아파트-저소득층 임채 매칭 제도 유연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2 홍콩 중국으로 가는 새로운 고속도로 26일(일) 개통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1 홍콩 JP모건, 홍콩부동산 가격 5% 상승 할 것으로 전만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0 홍콩 2018년 취업사기 피해액, 전년대비 17배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9 홍콩 수당 증가로 홍콩 내 외국인 주재원 연봉 상승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8 홍콩 미중 무역전쟁 장기전 돌입, 홍콩 고용 시장에도 타격 입을 것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7 홍콩 홍콩 부모 5명 중 1명, 가정생활에 어려움 겪어 file 위클리홍콩 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