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차 시장은 최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많은 아시아 이민사회를 배경으로 동양 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한국의 차 제품도 기회가 있어 보인다. 

 

KOTRA밴쿠버 무역관 김훈수 시장분석 담당관은 캐나다 차 시장 관련 시장 가능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일본, 중국의 녹차 제품이 캐나다에서 인기를 끌고 있어 한국 제품에도 시장 기회가 크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차 시장은 크게 레귤러(일반 중저가 티백 제품 등) 제품과 스페셜티(specialty, 고급차) 제품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녹차를 포함한 화이트차, 우롱차 등 고급차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 시장 전체 규모는 2016년 기준, 전년 대비 3% 증가한 7억4000만 달러로 물량 기준으로는 약 1만6000톤 규모 이다.  향후 시장규모는 2021년까지 약 11% 증가해 물량 기준으로 약 2만 톤을 돌파할 전망이다.

 

캐나다 차협회 발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 차 시장은 녹차, 홍차, 허벌차 등 각종 프리미엄 차에 대한 선호가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마시는 차뿐만 아니라 차 성분이 함유된 프로틴 바 등 녹차 식품에 대한 수요도 동반 상승 중이다. Euromonitor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차 음료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간편함과 휴대성이 가미된 다양한 RTD(Ready to Drink) 제품에 대한 판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차 시장 상황 속에 동양인 이민자가 늘며 아시안(Oriental·Ethnic) 차 제품의 시장 진출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본 녹차(Matcha)에 대한 상품 인지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캐나다 녹차 수입국은 중국이 전체 수입량의 30%로 1위, 다음으로 미국(26%)과 일본(19%)이 각각 2, 3위를 기록 중이고 2016년 기준 한국 제품 수입량은 22만 캐나다 달러로 수입액 기준으로 13위를 기록했다.

 

김 담당관은 이런 시장 상황을 바탕으로 한국 차 관련 제품은 캐나다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구매력이 커지면서 고급 프리미엄 차 시장이 전체 차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돼 국산 차 수출에 호재로 작용한다고 봤다. 특히 현지에서 녹차에 대한 품질 및 원산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한국산 녹차의 향후 시장진출 및 확대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시장 인지도가 낮은 핸디캡 극복을 위해 사전 시장조사를 통해 각 부문별 현지 인기 상품의 맛이나 향, 블렌딩, 포장 등을 분석하고 시장 수요에 맞는 맞춤형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건강에 큰 가치를 두고있는 젊은 소비자가 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트렌디한 포장의 건강녹차나 페트병 제품으로 한국산 원산지 및 '건강효능‘을 적극 홍보해 틈새시장 공략이 가능하다. 또 현지 유통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캐나다 대형 차 음료업계 또는 판매상과 잠재적 제휴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김 담당관은 PB브랜드 제품 개발 등 진출 초기에 간접적인 진출 루트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추천하며 아울러 차 전문 전시회나 식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시장동향 수집 및 주요 바이어와의 네트워크 확대가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997 미국 판촉 전화 폭주… ‘두낫콜 리스트’ 무용지물 됐다 코리아위클리.. 17.11.02.
6996 미국 유타대학교 총격 살해사건 용의자 다음날 극적으로 잡혀 News1004 17.11.02.
6995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최적의 상업 부동산 투자 도시 3위에 올라 News1004 17.11.02.
6994 미국 유엔 인권 보고관, 대북 제재 전면 재검토 요구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2.
6993 미국 “트럼프는 의회 승인 없이 북한 공격 말라”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2.
6992 미국 "한국, 미국 MD 체계 불참 등 약속 지켜야"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2.
6991 미국 문 대통령 “핵무기 추진도 용인도 하지 앉을 것"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2.
6990 캐나다 밴쿠버 차이나타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밴쿠버중앙일.. 17.11.03.
6989 캐나다 캐나다 이민 100만명? 사실은... 밴쿠버중앙일.. 17.11.04.
6988 캐나다 가정용 소화기 270만대 리콜 밴쿠버중앙일.. 17.11.04.
6987 캐나다 밴쿠버 차이나타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밴쿠버중앙일.. 17.11.04.
6986 캐나다 렌트 사기범 김범준 밴쿠버서 꾸민 수법은? 밴쿠버중앙일.. 17.11.04.
6985 미국 5일(일) 서머타임 해제 … “1시간 더 주무세요” KoreaTimesTexas 17.11.04.
6984 미국 이명박, 박근혜 이어 수감될 가능성 높아져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5.
6983 미국 美텍사스 최악 총기테러 26명 사망 20명 중상 file 뉴스로_USA 17.11.06.
6982 미국 북한이 태평양서 수소폭탄 실험하면 어떤 일이?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6.
6981 미국 "우리는 트럼프를 싫어해" 트럼프 방한 반대 시위 file 코리아위클리.. 17.11.06.
6980 미국 美4개도시, ‘反트럼프의 날’ 국제연대시위 file 뉴스로_USA 17.11.06.
» 캐나다 캐나다 차(tea) 시장, 동양 차에 관심 증가 밴쿠버중앙일.. 17.11.07.
6978 캐나다 건설 지속이냐 중단이냐 운명의 기로에 선 사이트C댐 밴쿠버중앙일.. 1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