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차 시장은 최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많은 아시아 이민사회를 배경으로 동양 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한국의 차 제품도 기회가 있어 보인다. 

 

KOTRA밴쿠버 무역관 김훈수 시장분석 담당관은 캐나다 차 시장 관련 시장 가능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일본, 중국의 녹차 제품이 캐나다에서 인기를 끌고 있어 한국 제품에도 시장 기회가 크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차 시장은 크게 레귤러(일반 중저가 티백 제품 등) 제품과 스페셜티(specialty, 고급차) 제품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녹차를 포함한 화이트차, 우롱차 등 고급차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 시장 전체 규모는 2016년 기준, 전년 대비 3% 증가한 7억4000만 달러로 물량 기준으로는 약 1만6000톤 규모 이다.  향후 시장규모는 2021년까지 약 11% 증가해 물량 기준으로 약 2만 톤을 돌파할 전망이다.

 

캐나다 차협회 발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 차 시장은 녹차, 홍차, 허벌차 등 각종 프리미엄 차에 대한 선호가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마시는 차뿐만 아니라 차 성분이 함유된 프로틴 바 등 녹차 식품에 대한 수요도 동반 상승 중이다. Euromonitor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차 음료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간편함과 휴대성이 가미된 다양한 RTD(Ready to Drink) 제품에 대한 판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차 시장 상황 속에 동양인 이민자가 늘며 아시안(Oriental·Ethnic) 차 제품의 시장 진출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본 녹차(Matcha)에 대한 상품 인지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캐나다 녹차 수입국은 중국이 전체 수입량의 30%로 1위, 다음으로 미국(26%)과 일본(19%)이 각각 2, 3위를 기록 중이고 2016년 기준 한국 제품 수입량은 22만 캐나다 달러로 수입액 기준으로 13위를 기록했다.

 

김 담당관은 이런 시장 상황을 바탕으로 한국 차 관련 제품은 캐나다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구매력이 커지면서 고급 프리미엄 차 시장이 전체 차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돼 국산 차 수출에 호재로 작용한다고 봤다. 특히 현지에서 녹차에 대한 품질 및 원산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한국산 녹차의 향후 시장진출 및 확대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시장 인지도가 낮은 핸디캡 극복을 위해 사전 시장조사를 통해 각 부문별 현지 인기 상품의 맛이나 향, 블렌딩, 포장 등을 분석하고 시장 수요에 맞는 맞춤형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건강에 큰 가치를 두고있는 젊은 소비자가 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트렌디한 포장의 건강녹차나 페트병 제품으로 한국산 원산지 및 '건강효능‘을 적극 홍보해 틈새시장 공략이 가능하다. 또 현지 유통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캐나다 대형 차 음료업계 또는 판매상과 잠재적 제휴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김 담당관은 PB브랜드 제품 개발 등 진출 초기에 간접적인 진출 루트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추천하며 아울러 차 전문 전시회나 식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시장동향 수집 및 주요 바이어와의 네트워크 확대가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57 캐나다 코로나19 상황, 이젠 한국보다 캐나다가 더 안전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5.
2556 캐나다 넬리 신 의원, 에린 오툴 보수당 대표와 밴쿠버 사업가 고충 경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2555 캐나다 밴쿠버 한인신협, 올해 세계한인의 날 포상 대상 후보로 선정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2554 캐나다 필수 인력 9만 명 및 유학생, 영주권 신청 중 취업 자격 유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6.
2553 캐나다 7월 6일부터 백신접종 주기 4주로… 2차 접종 예약 재변경 가능 file Hancatimes 21.07.17.
2552 캐나다 200억 투자한 COVID Alert 앱 “결과는 여전히 기대에 못미쳐” file Hancatimes 21.07.17.
2551 캐나다 메리 사이먼, 원주민 출신 최초 캐나다 총독으로 임명 file Hancatimes 21.07.17.
2550 캐나다 퀘벡주 12일부터 상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이용객 제한 완화 file Hancatimes 21.07.17.
2549 캐나다 최근 캐나다에서 발견된 “람다 변이”에 대해 file Hancatimes 21.07.17.
2548 캐나다 퀘벡주 9월부터 “백신여권” 시스템 본격 도입 file Hancatimes 21.07.17.
2547 캐나다 수용 인원 제한 완화에 한시름 놓은 퀘벡주 소매업체들 file Hancatimes 21.07.17.
2546 캐나다 FDA, 얀센 백신 부작용으로 신경성 질환 가능성 언급 file Hancatimes 21.07.17.
2545 캐나다 캐나다, 개발도상국에 AZ 백신 1,770만 회분 기증...백신 구매 자금 지원도 file Hancatimes 21.07.17.
2544 캐나다 퀘벡주, 이전 COVID-19 감염자에게도 2차 백신 접종 허용 file Hancatimes 21.07.17.
2543 캐나다 12세 미만 어린이 COVID-19 백신접종은 언제쯤? file Hancatimes 21.07.17.
2542 캐나다 트뤼도 총리, 가스페 지역 풍력 발전소에 2,500만 달러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1.07.17.
2541 캐나다 연방-퀘벡주 정부, 항공우주산업에 대규모 투자 file Hancatimes 21.07.17.
2540 캐나다 접종률 상위국들 변이확산에 결국 봉쇄 재강화... BC주의 미래는?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7.
2539 캐나다 BC주 의무교육에 '반인종주의' 포함 논의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7.
2538 캐나다 한인 비즈니스 창업 설명회, 다양한 정보와 성공 노하우 제공 file 밴쿠버중앙일.. 2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