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3-디젤차.jpg

 

 

향후 디젤 차 운행의 중단을 앞두고, 중고 디젤 차 매매가 점점 더 어려워 지고 있다. 디젤 중고차 값은 천정부지로 떨어지고 있지만, 구매자는 찾아보기 어렵다. 

때문에 디젤 차량을 타고 다니는 사람들의 근심은 점점 깊어만 가고 있다. 

중고차 전문 스타트-업 보니&카(Bonnie&Car)의 앙케트 결과에 따르면 디젤 차는 인기는 이미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고, 그만큼 디젤 차 값도 폭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행 거리가 5만 km에서 10만 km인 2013년 폭스바겐 콕시넬, 디젤은 엣상스(휘발유) 보다 평균 2000유로 더 낮은 가격으로 거래된다. 2015년 닛산 Qashqai Tekna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가졸(gazole)로 운행하는 중고 차의 시절도 좋지 않다. 2008년에 디젤 차를 권장하기 위해 보뉘스-말뤼스을 시행하여, 온상 효과의 가스 배출을 적게 하는 기술을 장려하고자 했다. 이 때 운전자들은 디젤 차를 찾아 나섰다. 그러다가 2012년 세계 보건 기구(WHO)가 디젤 배기가스를 발암 물질 중의 하나로 분류했다. 특히 2015년에 폭스바겐과 다른 차량 제조 회사들이 오염 방지 검사에서 배기 가스량을 적제 하기 위해 계기를 조작한 스캔들이 밝혀 지면서 디젤 차량은 지옥으로 추락하기 시작했다. 디젤 차에 대한 운전자들의 신용도 떨어졌다. 

 

프랑스 정부는 디젤 차 폐기를 위한 수순에 들어갔다. 정부는 먼저 가졸에 대한 세금을 엣상스 만큼 상향 조정했다. 결과로 디젤 차의 2016년 시장 점유율이, 절 반 이하로 떨어졌다. 

디젤 중고 차도 예외는 아니다. 이 같은 반전은 1년에 6백만 대가 사고 팔리는 프랑스 중고차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가구가 부동산 공황 때처럼 디젤 차 값 하락 때문에 상당 액의 손해를 잃을 위험이 있다. 이러한 조치들이 경제 계획에 최근 반영되기 시작했을 뿐인데 사정은 벌써부터  매우 심각하다. 

 

2012년, 디젤 차는 신규  등록 차량의 74%를 차지했다. ‘프랑스 자동차 생산 업체 위원회’ (CCFA)에 따르면 이 비율이 작년에 50% 이하로 떨어졌다고 한다. 금년 10월에 이 비율은 46%까지 급락했다. 

이 같은 디젤 자동차 몰아내기 전략은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부상으로 이어졌다. 

수 십 년 동안 주 개발 축을 디젤 차에 두었던 PSA로 보면 디젤 차의 포기는 진정한 골칫거리다. 

모젤(Moselle) 도에 위치한 트레머리(Tremery) 공장이 이를 상징한다.  근로자 5000명의 이 공장은 1일 모터 8100개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중 80%가 디젤 모터다. 세계에서 가장 큰 디젤 모터 생산 공장이다. 

결국 다른 경쟁사들과 마찬가지로 PSA도 2023년까지 전기와 하이브리드로 80%의 ‘깨끗한 모델’ 생산으로 선회한다고 발표했다. 

르노도 마찬가지다. 10월 초에 르노의 가를로스 곤(Carlos Ghosn) 회장은 5년 내에 공장에서 출고될 21종의 새 모델 중에서 8종은 100% 전기 차량, 12종은 하이브리드가 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볼보(Volvo)도 2019년부터 100%의 차량이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제 자동차 업계는 수십년간 투자하고 발전시켜왔던 디젤을 버리고, 외부에서 전기 및 하이브리드에 능력 있는 인원을 대거 채용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다. 

그러나 이것도 불확실하다. 특히 밧테리 재생 문제와 지구 상의 원자재의 집중적인 소비 등 많은 문제들이 뒤따른다. 

 

【프랑스(파리)=한위클리】이진명 편집위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8 프랑스 세계 속의 김치... 인지도는 상승, 수출량은 감소? file 프랑스존 14.05.16.
1217 프랑스 "재외국민들이 눈을 부릅뜨고 직시해야..." file 프랑스존 14.05.16.
1216 독일 독일, 빈번한 의료진 과실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 5 배 file 유로저널 14.05.25.
1215 독일 EU가 유럽 시민들에게 주는 이득은? 유로저널 14.05.26.
1214 독일 이민가기 매력적인 국가 독일, OECD국가 중 2위 차지 file 유로저널 14.05.28.
1213 영국 영국, 동유럽 출신 이민자 대폭 증가로 몸살 반면 비유럽출신은 감소 file 유로저널 14.05.30.
1212 프랑스 반 EU 정당들, 유럽의회선거 급습으로 EU정책에 역풍불어 file 유로저널 14.05.30.
1211 영국 유럽 내 코카인 수도가 된 런던 file 유로저널 14.06.06.
1210 독일 EU의 미래: 보수와 사회민주주의 그리고 우익 포퓰리즘이 함께 file 유로저널 14.06.06.
1209 프랑스 국왕들의 대관식이 거행된 샴페인의 도시, 랭스 프랑스존 14.06.20.
1208 프랑스 프랑스 엘리제궁의 요리장들 프랑스존 14.06.20.
1207 프랑스 한국을 사랑하는 벵자망 주아노씨의 20년 한국기행 프랑스존 14.06.20.
1206 프랑스 [성명서] 주프랑스 한국대사관의 오페라한글학교 지원금 공금유용... 프랑스존 14.06.20.
1205 프랑스 주불대사관의 무사안일주의에 분개하다 file 프랑스존 14.06.20.
1204 독일 외국으로 떠나는 독일 퇴직자들 점점 늘어 유로저널 14.06.25.
1203 영국 잉글랜드 대표팀 탈락으로 영국 소매업계 울상 유로저널 14.06.25.
1202 베네룩스 벨기에, 외국인 의사들 10년 사이에 세 배 늘어 유로저널 14.06.25.
1201 베네룩스 네덜란드, 동 유럽인들의 범죄 갈수록 늘어 골치 덩어리 유로저널 14.06.25.
1200 프랑스 프랑스 경찰 니캅 두른 여성 검문 과정에서 마을주민들과 갈등 빚어 유로저널 14.06.25.
1199 동유럽 폴란드, 유럽 게임산업의 황태자로 등극 유로저널 1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