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체류 글] 김남조 여사의 "설일”, 몽골 캠퍼스 상륙(2017. 11. 23)

 

고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1월 23일 목요일 아침, 몽골 대학 캠퍼스의 “한국문학 작품 번역 강의”를 위해, 주몽골 중국 대사관 근처를 지나노라니 눈발이 휘날렸습니다. 하여, 이 날 강의에서 저는 우리나라 여류 시인 김남조 여사(1927. 09. 26 ~ 현재 90세로 생존)의 1967년 작품인 “설일(雪日)”을 뽑아 들었습니다.
 
2017112314511532.jpg

 

주지하시다시피,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던(지금도 실려 있는지는 제 알 바 아니고요), 이 시에는 “새해를 맞이하는 날의 눈 내리는 풍경을 배경으로 해서, ‘1. 신의 존재를 느끼며=>2. 외로움을 극복하고=>3. 긍정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시인 자신의 다짐이, 여성 특유의 감수성(感受性)으로, 잔잔하고 섬세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설일(雪日) // 김남조 // 겨울 나무와 / 바람 / 머리채 긴 바람들은 투명한 빨래처럼 / 진종일 가지 끝에 걸려 / 나무도 바람도 / 혼자가 아닌 게 된다 // 혼자는 아니다 / 누구도 혼자는 아니다 / 나도 아니다 / 실상 하늘 아래 외톨이로 서 보는 날도 / 하늘만은 함께 있어 주지 않던가 // 삶은 언제나 / 은총(恩寵)의 돌층계의 어디쯤이다 / 사랑도 매양 / 섭리(攝理)의 자갈밭의 어디쯤이다 // 이적진 말로써 풀던 마음 / 말없이 삭이고 / 얼마 더 너그러워져서 이 생명을 살자 / 황송한 축연이라 알고 / 한 세상을 누리자 // 새해의 눈시울이 / 순수의 얼음꽃, / 승천한 눈물들이 다시 땅 위에 떨구는 / 백설을 담고 온다 // <김남조 시집>(1967)

 

강의는 순조롭게 진행됐으나, 애제자들은, 강의실에서 평소 배웠던 낱말들과는 다른, 다소 생소한, “은총의 돌층계, 섭리의 자갈밭” 같은 낱말들로 힘들어 하는 게 역력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저는 목소리를 최대한 깔고 점잖게 물었습니다. “마지막 연의 ‘담고 온다’로 끝나는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를 찾아 봐라!”
 
2017112317433533.jpg

 

애제자들이 더욱 헤매기 시작합니다. “삽입된 낱말들을 다 빼버리고 요점만 추리면, “(새해의) 눈시울이 백설을 담고 온다”이므로 ‘눈시울’이 주어, ‘백설’이 목적어이다. ‘눈물’과 ‘떨구다’는 ‘백설’을 꾸며 주는 낱말들이므로 주어와 본 동사가 될 수 없다! 알겠느냐? 이 말은 ‘새해가 눈이 내리면서 시작됐다는 의미이다!”
 
201711231958229.jpg

 

몽골 현지에는 곧 11월이 마감되고, 12월이 들이닥칠 겁니다. 하여, 12월 한 달 동안, 몽골한인회, 몽골한인상공회의소, 몽골한인외식업협회 등 각종 한인 단체들의 송년회가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해를 맞으면서 새 느낌으로 무엇인가의 결사적 실행을 다짐해 보지만, 그 귀한 시간들을 결국에는 허투루 써버리고 연말에 번번이 후회하는 이 버릇은 죽을 때까지 버리지 못할 듯합니다. 이렇게 2017년이 흘러가고야 마는군요.
 
2017112315567600.jpg

201401243017305.gif
2014012431167852.gif
2014012431257700.gif
201711231958229.jpg

 

  • |
  1. c_31gUd018svcvzs2xioeh3ov_n4mpk6.jpg (File Size:62.2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7 대한민국 국민교육헌장 선포(1968. 12. 05) 48돌(2016. 12. 05) file GWBizNews 16.12.04. 57
116 찜통 더위 서울, 소나기가 필요해! file GWBizNews 17.07.20. 57
115 팔월 한가위 풍경 file GWBizNews 17.09.30. 57
114 어떤 한국 사람 사망 9주기! file GWBizNews 17.10.02. 57
113 서울 날씨가 흐리다! [2] file GWBizNews 17.07.21. 58
112 더블 뜁니다! file GWBizNews 17.08.31. 58
111 허리케인 어마의 후유증 코리아위클리.. 17.09.14. 59
110 작열(灼熱)하는 태양 아래 바닷가에서 쉬고 싶다 file GWBizNews 17.11.13. 59
109 가슴 벅찬 새해입니다 file 코리아위클리.. 17.01.04. 60
108 끈질긴 지속성이 있어야지! file GWBizNews 17.07.14. 60
107 서울 덥다! 더워! 몽골로 도망가야 되겠다. file GWBizNews 17.07.20. 60
106 여름날 알마티의 추억 (II) [1] 프랑스존 16.08.26. 61
105 "불의한 정권에 핍박받지 않는 게 부끄러운 일" 코리아위클리.. 16.11.16. 61
104 [몽골 특파원]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서울로 일단 복귀 완료 file GWBizNews 18.01.11. 61
103 2016년 7월 21일 목요일 오후 3시 file GWBizNews 16.07.21. 62
102 박 통이 옵니다! file GWBizNews 16.07.14. 62
101 Happy New Year! Everybody! file GWBizNews 17.01.01. 63
100 7월 19일 한국 갔다가 8월 11일 몽골로 복귀합니다. GWBizNews 16.07.18. 64
99 맨발의 청춘 file GWBizNews 18.11.04. 64
98 [KBS 월드 라디오 대담] 재외동포언론인협회 김소영 회장(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 대표) file GWBizNews 16.11.01.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