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roh=김원일 칼럼니스트

 

 

중국은 한국과의 관계회복에 합의했지만 사드배치와 ‘미니 NATO’로 불리는 한미일 3자 군사동맹을 우려(憂慮)하고 있다고 러시아 일간 네자비시마야 가제타가 24일 보도했다.

 

 

네자비시마야 한미일 미니나토 부수려는 중국 .jpg

 

 

네자비시마야 가제타는 한국과 중국의 경제관계 회복은 양국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양국 모두 한반도 비핵화를 희망하지만 그간 사드 문제가 양측 간의 신뢰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중국군 퇴역 대령 유에한은 “북경은 여전히 사드 배치와 ‘미니 NATO’라고 할 수 있는 한미일 3자 군사동맹을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미국의 극동 미사일방어체계보다 더 심각한 위협이라는 것이다.

 

최근 북경에서 개최된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강경화 외교장관은 미사일방어체계가 중국에 위협이 되지 않음을 설득하고 미국 및 일본과의 3자 군사동맹을 맺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야 했다. 그러나 왕이 외교부장은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네자비시마야는 “북경 회담에서 모든 카드는 왕이 외교부장이 쥐고 있었다. 사드를 둘러싼 논쟁은 한-중 간의 경제와 문화 분야 교류협력을 얼어붙게 만들었다. 중국은 자국 내 한국기업 활동을 제한하고 중국 여행사들의 한국여행상품 판매를 축소(縮小)시켰으며 이는 특히 한국 기업들에게 손해(損害)를 입혔다”고 지적했다.

 

이번 회담의 많은 부분은 강경화 장관 방중 전에 이미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전해진다. 근본적인 합의 내용은 한국의 양보이다. 첫째, 한국은 이미 배치된 것 이외의 추가적인 사드 배치를 하지 않으며 둘째, 미국의 지역미사일방어시스템에 들어가지 않고 셋째, 미국 및 일본과의 3자 군사동맹에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합의했다. 이 합의는 베트남과 필리핀에서 있었던 APEC과 ASEAN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및 리커창 총리 간의 회담을 성사시켰다.

 

따라서 이번 북경 회담은 이미 비공식 합의된 사항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더욱이 왕이 부장은 한국이 미국의 미사일방어체제에 편제되지 않고 배치된 사드가 중국의 안전을 훼손(毁損)하지 않는다는 한국 정부의 발표를 주시(注視)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속담에는 말에는 반드시 신용이 있어야 하고 행동에는 반드시 결과가 따라야 한다는 말이 있다. 한국이 계속해서 이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강경화 장관은 왕이 부장의 요구에 대해 향후 이행을 통해 증명될 것이라고 대응했다. 그녀는 중국이 한국 영화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해 줄 것과 인적 교류와 관련한 협력을 요청했다. 12월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네자비시마야 가제타는 “북경과 모스크바가 사드가 자신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한국의 설득을 믿을 것인가라는 질문이 가능하다. 양국은 사드의 한국 내 배치를 반대했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당연한 질문이다”라고 지적했다.

 

파벨 카멘노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극동연구소의 선임연구원은 “미국인들은 사드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설치한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극동 미사일방어체계의 일부로서 배치된 것이다. 나는 한국의 약속으로 미사일방어체계가 중국을 겨냥해서 사용되지 않음을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의 유효사정거리 200km는 분명히 북한을 겨냥한 것으로서 짧은 사거리를 가진 시스템을 배치했다고 할 수 있지만 중국인들은 순진하지 않다. 레이더는 더 먼 300-400km 까지 볼 수 있을 수 있다. 미국인들은 무선전자 수단을 이용하여 먼 거리까지 내다볼 수 있다. 그리고 소위 적극적인 수단이라는 것만 북한을 겨냥하고 있다”고 맺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북한 2-3년내 미국 미사일 공격능력 보유” 러시아 외무부 (2017.11.10.)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6807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6 홍콩 겨울 이상 기후로 크리스마스 연말 경기 실종 file 홍콩수요저널 15.12.18.
1595 홍콩 홍콩 여성 재벌 수 증가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594 홍콩 홍콩 연말 경기 소폭 개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593 중국 홍콩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오피스 임대료 하락않는 이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592 홍콩 외국여권 소지 홍콩시민에게도 중국법 적용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1.
1591 홍콩 중국 금서 출판 사업자, 2013년 한해동안 15억원 벌어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1.
1590 홍콩 '인기 낮은'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 차기 대권 출마 시사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9.
1589 홍콩 중국 당국 개입한 홍콩 시민 납치 사건 이전에도 있어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9.
1588 홍콩 홍콩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평당 5억 5천만원" 홍콩타임스 16.01.19.
1587 홍콩 1월 강수량 52년 만에 최고 홍콩타임스 16.01.19.
1586 홍콩 홍콩정부, '무상 유치원' 계획 발표 홍콩타임스 16.01.19.
1585 홍콩 홍콩 필리핀 가정부, "고용주가 중국에 데려가 일 시켜" 홍콩타임스 16.01.19.
1584 대만 쯔위 대만 국기 논란, 中 거센 반발 계속돼 홍콩타임스 16.01.21.
1583 홍콩 홍콩달러, 4년 만에 최저수준까지 폭락 홍콩타임스 16.01.21.
1582 홍콩 '쯔위 사태' 홍콩 현지 분위기는? 홍콩타임스 16.01.21.
1581 홍콩 '중국 비판 서적' 관련 실종사건 항의집회 열려 홍콩타임스 16.01.21.
1580 홍콩 다음 주 기온 '뚝', 홍콩에 눈이 올까? 홍콩타임스 16.01.21.
1579 중국 중국 인구 13억 7000만 명, 남자가 여자보다 3000만 명 더 많아 홍콩타임스 16.01.21.
1578 홍콩 홍콩 통화국, 미달러 페그제 고수 ‘天命’ file 홍콩수요저널 16.01.25.
1577 홍콩 세계가 한파에 몸살, 홍콩도 연일 최저 기록 경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