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재단 자금 유용으로, 25년 정치인생 '추락' 위기
 

brown.jpg
▲<뉴욕타임스>가 코린 브라운 전 연방하원의 판결을 보도했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에서 유력 정치인 중 하나로 손꼽혔던 코린 브라운(민주 잭슨빌) 전 연방하원의원이 실형을 선고 받았다.

4일 <올랜도센티널> 등의 보도에 따르면, 잭슨빌 연방지방법원의 티모시 코리간 판사는 브라운 전 의원이 불우한 아동 및 청소년들을 위한 장학재단인 ‘원 도어 포 에듀케이션 파운데이션(One Door for Education Foundation)’ 기금을 빼내 개인용도로 사용한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했다. 법정 판결에서 코리간 판사는 브라운 전 의원이 자신의 명성을 이용해 기부금을 대거 끌어들인 다음 자금을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브라운 전 의원은 사기, 세금환급을 노린 거짓 보고 등 총 22가지 혐의 중 18가지로 지난 5월에 연방 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검찰은 브라운 전 의원과 엘리어스 시몬스 전 보좌관, 칼라 윌리 장학재단 회장 등이 재단 기금을 빼내 호화 파티, 여행, 쇼핑 등에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브라운, 시몬스, 윌리 등 세 사람이 2012년에서 2016 사이에 장학재단 자금 마련 명목으로 골프대회 등 모금 행사를 통해 80만달러 이상을 모금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버지니아주 소재 장학재단은 플로리다 거주 학생 1명에게 1200달러 장학금을 전달한 것 밖에 없다고 검찰은 주장했다.

법정 진술에서 시몬스 전 보좌관과 윌리 회장은 플리바겐(양형거래)에 응하고 브라운 전 의원에 불리한 진술을 펼쳤다. 특히 시몬스는 브라운이 자신에게 장학재단 구좌에서 현금과 체크를 끄집어 내도록 수차례 주문했고, 인출된 돈은 브라운의 개인 구좌로 들어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브라운 전 의원은 검찰의 여러 증거 제시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운은 법정에서 장학재단 자금사용에 대한 세세한 내역은 알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시몬스를 비난했다. 브라운 전 의원의 변호인은 판결에 불복해 항소장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71세인 브라운은 25년동안 하원의원을 지낸 베테랑 정치인이다. 브라운 전 의원은 1992년 잭슨빌을 기반으로 연방하원의원에 올라 남북전쟁 이후 플로리다주에서 연방의원직에 선출된 3명의 흑인 정치인 중 한 명이 되었다.

특히 브라운은 보수 남부지역에서 흑인 여성으로서는 매우 드물게 명망있는 자리에서 오랫동안 대중의 인기를 누렸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57 캐나다 6월 3일부터 몬트리올 구 항구지역 자정에는 폐쇄 file Hancatimes 21.06.17.
6856 캐나다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 '백신 혼합 접종' 관련 지침 발표 file Hancatimes 21.06.17.
6855 캐나다 몬트리올 및 라발 지역 6월 7일부터 ‘주황색 구역’으로 변경 file Hancatimes 21.06.17.
6854 캐나다 대학교 및 세젭들, 백신 접종률 75% 이상이면 9월 대면수업 재개 file Hancatimes 21.06.17.
6853 캐나다 올 여름 밴쿠버의 또 다른 명소...선셋비치 공원의 팝업 플라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2 캐나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모집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1 캐나다 7월 1일 이후 한국 방문 계획 있다면 꼭 확인할 사항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0 캐나다 코로나19 환자, 당뇨병 걸릴 가능성 높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9 캐나다 백신 접종자 7월 1일부터 한국 방문 때 격리면제 방침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8 캐나다 몬트리올 영사관, 반아시아 혐오 및 인종주의 대응 언론회견 참석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7 미국 바이든 "백신 맞고 자유 찾자"... 6월 '백신접종 행동의 달'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6 미국 허리케인 시즌이 돌아왔다... 메이저급 6~10개 전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백신접종 감소 ‘비상’… 7월4일 이후가 위험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4 미국 마이애미서 집 사는 게 힘들다? 다른 도시들만 하랴!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3 미국 플로리다 초대형 크루즈선, 8월부터 운항 재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2 미국 지붕 이음새에 '세 번째 못 박기', 들어보셨나요?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1 미국 활기 찾은 미국 소도시들... '디지털 노마드'가 늘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0 미국 일자리 늘고 실업률 하락 지속...회복세 다지는 미국 경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39 미국 뉴욕 ‘백신지갑’을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21.06.12.
6838 캐나다 버나비 학생을 분노케 한 뉴라이트식 왜곡 역사시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