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를 통해 평창 겨울올림픽을 카운트다운하는 캐나다올림픽위원회 [사진=COC]

 

소치 올림픽서 러·미 담합 피해 의혹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러시아의 평창 겨울올림픽 참가 금지를 결정한 것과 관련, 캐나다가 IOC에 적극적으로 이를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캐나다올림픽위원회(COC)는 러시아 출전 불허가 발표된 당일 성명을 내 "IOC 결정은 깨끗하고 올바른 스포츠를 위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COC는 공정한 경기를 위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또 스포츠는 모두에게 공정한 규칙이 적용될 때 비로소 스포츠로 인정받는다며 이를 위한 기준은 제한 없이 적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OC는 러시아에 대한 강한 징계를 촉구해왔다. 러시아의 조직적인 도핑 파문이 확산되자 캐나다의 트리샤 스미스 IOC 위원은 지난 10월 도핑 의혹을 적극적으로 조사해 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우선 러시아의 출전 자격 정지라도 취하라고 IOC를 압박한 바 있다.

 

러시아 출전 금지를 끌어낸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캐나다인이 수장이다. 2016년 캐나다인 변호사 리처드 맥래런(LcLaren)이 이끄는 조사위원회는 2011년에서 2015년 사이 1000명이 넘는 러시아 선수가 조직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관리자는 도핑 사실을 은폐했다며 러시아가 국가적으로 개입한 정황을 공개하는 보고서를 몬트리올에서 공개했다.

 

캐나다는 2014년 소치에서 열린 겨울올림픽에서 러시아에 금메달을 내주고 은메달에 머문 기억이 있다. 이 과정에 잡음도 나왔다. 피겨 스케이팅 종목 경기가 치러지는 중간에 러시아와 미국이 금메달을 나눠 갖기로 밀약했다는 보도가 나온 것이다. 당시 프랑스 스포츠 전문지는 단체전에선 러시아가 금메달을 가져가고 아이스댄싱에서는 캐나다와 라이벌인 미국이 금메달을 가져가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와 미국은 극구 부인했지만 결과는 예상대로였다. 공교롭게도 두 경기 모두 캐나다가 은메달을 받았다.

 

러시아가 국가 자격으로 평창올림픽에 나가지 못하게 되면서 캐나다가 메달 수를 늘려 소치에서의 담합 피해 의혹을 갚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57 캐나다 6월 3일부터 몬트리올 구 항구지역 자정에는 폐쇄 file Hancatimes 21.06.17.
6856 캐나다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 '백신 혼합 접종' 관련 지침 발표 file Hancatimes 21.06.17.
6855 캐나다 몬트리올 및 라발 지역 6월 7일부터 ‘주황색 구역’으로 변경 file Hancatimes 21.06.17.
6854 캐나다 대학교 및 세젭들, 백신 접종률 75% 이상이면 9월 대면수업 재개 file Hancatimes 21.06.17.
6853 캐나다 올 여름 밴쿠버의 또 다른 명소...선셋비치 공원의 팝업 플라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2 캐나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모집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1 캐나다 7월 1일 이후 한국 방문 계획 있다면 꼭 확인할 사항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0 캐나다 코로나19 환자, 당뇨병 걸릴 가능성 높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9 캐나다 백신 접종자 7월 1일부터 한국 방문 때 격리면제 방침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8 캐나다 몬트리올 영사관, 반아시아 혐오 및 인종주의 대응 언론회견 참석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7 미국 바이든 "백신 맞고 자유 찾자"... 6월 '백신접종 행동의 달'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6 미국 허리케인 시즌이 돌아왔다... 메이저급 6~10개 전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백신접종 감소 ‘비상’… 7월4일 이후가 위험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4 미국 마이애미서 집 사는 게 힘들다? 다른 도시들만 하랴!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3 미국 플로리다 초대형 크루즈선, 8월부터 운항 재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2 미국 지붕 이음새에 '세 번째 못 박기', 들어보셨나요?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1 미국 활기 찾은 미국 소도시들... '디지털 노마드'가 늘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0 미국 일자리 늘고 실업률 하락 지속...회복세 다지는 미국 경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39 미국 뉴욕 ‘백신지갑’을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21.06.12.
6838 캐나다 버나비 학생을 분노케 한 뉴라이트식 왜곡 역사시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