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시 한국 국적 포기" 56%

인크루트 3700명 대상 여론조사

 

대한민국 국민 둘 중 한 명은 이민을 희망하며, 그중 절반 이상은 이민을 가면 한국 국적을 포기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설문조사기관 두잇서베이가 최근 3700여 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살면서 이민을 꿈꿔본 적 있습니까?’의 물음에 54.3%가 “있다”고 답했다. “없다”(31.6%) 및 “잘 모르겠다”(14.1%)를 합친것 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우리나라는 헬조선이다”라는 말에 얼마나 공감하는지를 묻자, 62.7%가 공감의 뜻을 보였다. ‘매우 공감한다’가 24.3%, ‘약간 공감한다’가 38.4%로 한국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수가 많았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14.2%에 그쳤다.

 

이민 희망국은 어느 나라인지 묻자 가장 많은 수가  캐나다(25.2%)를 골랐다. 이어 뉴질랜드(21.2%), 싱가포르(8.6%), 호주(8.1%), 스위스(7.6%) 순으로 5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1, 2위를 합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민 희망국을 결정하는 기준은 우선 의료시스템, 주거설비, 치안환경 등 ‘생활안정 인프라’(55.3%)를 꼽았다. 다음으로 직업보장, 취업기회제공, 합리적인 임금인상률 등을 아우르는 “경제안정 인프라”(30.3%)를, 그리고 공교육 및 아동 보육의 질, 양육비 지원 등 “교육·육아안정 인프라”(13.1%)를 이민 시 주요 고려 요인으로 삼고 있었다. 날씨(기후), 공기의 질, 복지, 언어, 자연환경, 여유 등을 꼽는 응답자도 있었다. 

 

“만약 이민에 성공한다면, 대한민국 국적을 포기할 의향이 있습니까?” 질문에는 35.0%가 “약간 있다”, 21.0%가 “매우 있다”고 답해 응답자의 과반수가 국적포기 의사를 내비쳤다. 이에 비해 “전혀 없다”(5.1%)와 “별도 없다(15.4%)”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설문은 2017년 11월 28일부터 12월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61%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57 캐나다 6월 3일부터 몬트리올 구 항구지역 자정에는 폐쇄 file Hancatimes 21.06.17.
6856 캐나다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 '백신 혼합 접종' 관련 지침 발표 file Hancatimes 21.06.17.
6855 캐나다 몬트리올 및 라발 지역 6월 7일부터 ‘주황색 구역’으로 변경 file Hancatimes 21.06.17.
6854 캐나다 대학교 및 세젭들, 백신 접종률 75% 이상이면 9월 대면수업 재개 file Hancatimes 21.06.17.
6853 캐나다 올 여름 밴쿠버의 또 다른 명소...선셋비치 공원의 팝업 플라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2 캐나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모집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1 캐나다 7월 1일 이후 한국 방문 계획 있다면 꼭 확인할 사항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0 캐나다 코로나19 환자, 당뇨병 걸릴 가능성 높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9 캐나다 백신 접종자 7월 1일부터 한국 방문 때 격리면제 방침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8 캐나다 몬트리올 영사관, 반아시아 혐오 및 인종주의 대응 언론회견 참석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7 미국 바이든 "백신 맞고 자유 찾자"... 6월 '백신접종 행동의 달'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6 미국 허리케인 시즌이 돌아왔다... 메이저급 6~10개 전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백신접종 감소 ‘비상’… 7월4일 이후가 위험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4 미국 마이애미서 집 사는 게 힘들다? 다른 도시들만 하랴!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3 미국 플로리다 초대형 크루즈선, 8월부터 운항 재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2 미국 지붕 이음새에 '세 번째 못 박기', 들어보셨나요?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1 미국 활기 찾은 미국 소도시들... '디지털 노마드'가 늘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0 미국 일자리 늘고 실업률 하락 지속...회복세 다지는 미국 경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39 미국 뉴욕 ‘백신지갑’을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21.06.12.
6838 캐나다 버나비 학생을 분노케 한 뉴라이트식 왜곡 역사시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